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19.44
SKU
979118743003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Mon 06/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23 - Mon 05/2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6/20
Pages/Weight/Size 153*215*30mm
ISBN 979118743003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국내 체류 외국인 200만 명 시대의 고민
평화로운 공존인가, 국경의 폐쇄인가?

후기 다문화주의 시대 우리의 고민

지구화 시대의 탈장소화 흐름에 맞서 유동하는 삶에 수반되는 각종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인간의 삶을 위한 장소로서 우리 세계를 재사유하는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의 둘째 권은 당연히 우리의 일차적 디아스포라,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이다.

한국에서 다문화주의가 정책적으로 시행된 것은 2000년대 중반, 이제 10여 년 남짓에 불과하다. 농촌 지역의 출산율 저하와 3D 업종의 노동력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외국인 이주가 정부 차원에서 적극 유도된 것이다. 그러나 체류 외국인 200만 명 시대, 이주민과 그 문화에 대한 선주민의 차별적 인식과 적대적 태도는 여전히 한국 사회의 갈등 요소로 내재해 있다. 이 책은 바로 이 우리 안의 차별과 문화정치학에 관한 이야기다.
Contents
머리말_ 다문화주의를 다시 펼쳐 들며


제1부 ‘다문화주의’라는 문제

1/ 다문화주의의 역설 - 김희강
다문화주의 실패? |다문화주의 성공과 실패 : 무엇이 좌우하는가?|이민자 문화에 대한 평가|이주 수용국의 국경 통제력|이주 수용국의 국익|후기 다문화 시대의 고민

2/ 다문화 시대의 시민권 아포리아 : 누가 시민이며, 시민권 향유의 주체는 누구인가? - 이용승
다문화 시대 시민권과 다문화적 권리의 모순|시민권과 다문화주의|보편성과 특수성의 아포리아|누가 시민인가 : 탐색적 대안

3/ 귀화 이주민과 문화적 권리 - 김현미
외국인은 어떻게 한국인이 되는가? |귀화와 다문화시민권 |외국인의 개명과 ‘국민되기’ |복수의 법치주의Plural Legalism는 가능한가? |품행방정이란? |다문화적 시민권을 향하여

4/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철학적 반성과 선진유가의 다원주의 : ‘分을 높여 合을 이루고(崇分擧合), 異를 구하여 同을 이룬다 (求異存同) - 윤석민
한국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제 제기 |공자의 인仁과 맹자의 심心 : 다원가치의 총칭 |《주역》 경전 체제 : 다원적 구조 |《주역》 역리易理와 음양 관계 : 다원적 세계관 |《주역》 괘효의 수시적변 : 다원적 가치 |다원주의 방법론 제안 : 分을 높여 合을 이루고(崇分擧合), 異를 구하여 同을 이룬다(求異存同)

제2부 한국의 ‘다문화’ 인식 비판

1/ ‘다문화’는 어떻게 이주민 가족을 비하하는 말이 되었나? : 다문화 가족 만들기와 이주민의 범주화 - 구본규
‘다문화’= 불우 가정? |효과적인 민족주의로서의 다문화주의와 이주민의 범주화 |‘가족’의 탄생 : ‘다문화 가족’ 범주의 형성 과정 |‘또 하나의 가족’ : 이국적 국민으로서의 ‘다문화 가족’ |‘다문화 가족’ 만들기에 대한 이주민들의 대응 |‘다문화’를 넘어선 이민자의 사회 통합

2/ 다문화 시대 소수자의 ‘명칭’ 연구 : 결혼을 통해 이주한 여성 집단의 ‘명칭’ 분석을 중심으로 - 이화숙
‘명칭’의 현황 |‘명칭’의 구성 요소 |‘명칭’의 구조 |‘명칭’을 구성하는 의미 요소 |차별 없는 ‘결혼이주민’

3/ 대중매체와 다문화적 토크의 상상 - 이진형 박종명
대중매체와 한국의 다문화주의 |여성, 노동자, 인재人才 |다문화적 ‘토크’의 조건 |‘다문화적 토크’라는 소망 |상상된 다문화주의

4/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 주재원
한국은 다문화 사회인가?|한국 사회의 다인종화 과정과 다문화 담론의 형성 |다문화 사회와 이데올로기적 매체로서의 공영방송 |텔레비전 뉴스 기자들의 게이트키핑 |뉴스 제작 관행 들여다보기 |이주민 관련 뉴스의 정형화 |내재화된 인종적 편견과 언어 권력|뉴스 제작 관행의 현실과 한계 |다문화 사회를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
제3부 다문화사회의 문학, 번역, 교육

1/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 오문석
윤동주와 만주의 지역성 |향수와 그리움, 그리고 만주의 발견 |협력을 통한 저항의 전략 |
불치의 병, 길 위의 주체성 |복수複數의 주체성에서 공허한 주체성으로 |다문화적 주체, 식민지와 제국의 외부

2/ 한국 다문화 문학의 가능성 : 손홍규 소설과 하종오 시의 ‘다문화 상상력’ - 김주영
시대의 표현으로서의 다문화|다문화적 삶과 유목적 사유|《이슬람 정육점》의 입양적 세계관|하종오 시의 ‘이주적 세계관’ |다문화세계와 관계 맺기

3/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화번역 실천 - 박미정 양명심
문화 번역으로 바라본 다문화주의와 혼종성|인류학적 민족지학에서의 문화 번역 |호미 바바의 문화 번역 |혼종성으로서의 문화 번역과 소수화 번역 |타자화 othering 번역 |소수화 번역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화 번역 실천

4/ 다문화 사회를 위한 인격 교육의 성격과 방향 - 박휴용
인격 교육의 개념 및 성격의 재고찰|다문화 인격 교육의 방향 |다문화 교육의 목표를 통해 본 인격 교육의 가치 |다문화 인격 교육의 핵심 원리
Author
김희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