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득한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세계종교사의 주 무대는 유라시아 대륙이 차지해 왔다. 상고대로부터 한국종교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일어난 의미 있는 종교문화전통을 거의 모두 수용하면서 오늘에 이르렀고 세계종교문화의 보존창고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 사회에는 유교, 불교, 기독교와 같은 전형적 고전(古典) 또는 세계 종교, 그리고 천도교, 대종교, 원불교와 같은 우리나라 자생 한국민족종교와 함께 구석기시대에서부터 전해 내려오는 무속이라 불리는 샤머니즘 등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그 가운데 어떤 종교전통도 우리나라의 종교문화를 대표하진 못하고 있다. 이는 시간적 인류문화사의 전 시간대에 속하는 종교들과 공간적 동서양의 중요한 모든 종교들이 오늘의 한국 사회 안에 서로 공존하며 다종교상황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처럼 한국의 다종교상황은 실로 세계종교사에서 중요한 종교사적 의미와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론 세계종교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다종교사회(多宗敎社會)에 이르게 된 것이다.
Contents
[제1장] 서론: 한국의 종교와 종교사
1. 한국종교사의 특성과 개관
2. 한국종교사의 흐름
3. 한국종교사를 보는 시각과 방법론
[제2장] 상고대의 문화
1. 상고대의 문화상황
2. 상고대의 문화교류
[제3장] 상고대 종교
1. 소도의 이해와 문제
2. 상고대 종교연구의 발자취
3. 상고대 종교에 대한 종합적 접근
4. 상고대 한국 고유 종교전통
[제4장] 삼국의 종교
1. 삼국시대 초기 종교문화의 변동
2. 고구려의 종교
3. 신라의 종교
4. 백제의 종교
5. 삼국종교의 종합고찰
[제5장] 고려의 종교
1. 고려종교의 전환기적 복합성
2. 종교의 유형별 흐름
3. 고려종교문화 복합성의 실상
4. 고려종교, 그 복합적 혼돈과 일관성
[제6장] 조선전기의 종교
1. 조선종교의 개관
2. 조선전기의 유교
3. 조선전기의 불교
4. 도교의 전래와 전개
5. 비교단 종교와 민간신앙, 그 전통과 민족의식
6. 조선전기 종교의 종합
[제7장] 조선후기의 종교
1. 조선후기의 개관
2. 유교 국교기능의 변화
3. 조선후기의 불교
4. 조선후기의 대중종교와 비결신행
5. 한국자생 신종교, 한국민족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