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끄럽고 탈도 많은 세상.
좌-우, 동-서로 나뉘어 다투는 우리 정치 현실.
분단된 겨레, 전쟁과 폭력의 위협.
이런 일들을 부추기는 정치, 경제, 학문, 종교 권력과 그들의 체제가 구축한 세계를 온당히 바라볼 '눈'이 필요하다.
더 나은 세상, 더 나은 삶을 소망하는 이들은 ‘이제 여기’에만 머물러 있을 수 없다. ‘그 너머’의 눈에 잇대어 세상을 보아야 한다. 그 너머의 눈은 이른바 가장 높은 가르침이라는 종교의 눈이다. 신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윤리학자 구미정, 사회와 종교에 켜켜이 세워진 칸막이를 허무는 역사학자 박정신. 두 사람의 눈으로 세상 돌아가는 일들을 바라본다. 이들의 눈은 ‘그 너머’를 지향한다. 초월에 잇대어 세상을 성찰하는 두 지식인의 눈이 오늘을 사는 우리의 눈이 되기를 바라본다.
Contents
글 머리에 - 곁님들께
프롤로그 - 외눈, 두 눈, 그 너머의 눈
구미정의 눈 - 신학과 인문학, 그 경계에서 춤추다
ㆍ한 처음에 말이 있었다
ㆍ내 숨은 내가 쉬어야지
ㆍ낀 자리
ㆍ기억의 배반 - 메멘토 0416!
ㆍ사랑이 답이다 - 옴란의 옆자리
ㆍ노래가 힘이다
ㆍ잃어버린 18년
ㆍ강철비는 무서워
ㆍ염소 할아버지
ㆍ‘처럼’이라는 말의 무게
ㆍ진리를 추구하는 사람의 운명
ㆍ그녀의 타락이 슬픈 이유
ㆍ무통문명을 애도함 = 다시 꿈을 비는 마음
ㆍ사과의 정석 =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신다
ㆍ사순절 묵상 - 어느 날치기 재판의 사정
ㆍ낙타에게 배우는 지혜
ㆍ옥시, 성준이, 그리고 모세
ㆍ알파고와 포스트잇
ㆍ1데나리온의 경제학 = 예수의 복지
ㆍ음빙실(飮氷室) = 플뢰르 펠르랭 김종숙
ㆍ빗소리는 비의 소리가 아니다
ㆍ어떤 실종사건 = 예수사람, 숭실사람
ㆍ선한 사마리아인을 기다리며
ㆍ암살 그리고 회개
ㆍ킬리만자로의 표범 그리고 자고새
ㆍ이 몹쓸 기억력
ㆍ밥상을 부탁해
ㆍ가을 수업
박정신의 눈 - 초월의 역사학, 칸막이를 허물다
ㆍ칸막이를 허무는 기독교
ㆍ사랑방 교회
ㆍ플뢰르 펠르랭 김종숙
ㆍ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신다
ㆍ한국교회여, 가시관을 쓰자
ㆍ가시관을 쓰신 예수·역사는 진보 하는가
ㆍ뒤틀린 해방의 뒤안길
ㆍ다시 맞섬의 예수를 본다
ㆍ나비야 나비야·다시 꿈을 비는 마음
ㆍ한글성서, 이 땅에서 소통의 혁명을 일으키다
ㆍ목사님들께 드리는 편지
ㆍ수치심의 힘
ㆍ구십구 대 일
ㆍ우리 이야기를 듣고 싶다 = 내 숨은 내가 쉬어야지
ㆍ세상이 교회에 바라는 것
ㆍ천박해진다는 것
ㆍ탐욕의 끝, 원전 = 밥상을 부탁해
ㆍ예수의 복지 = 1데나리온의 경제학
ㆍ티나에서 타타로 = 밥상을 부탁해
ㆍ케이팝 열풍을 바라보며
ㆍ절기행사의 두 얼굴
ㆍ괴물인가 친구인가
ㆍ태극소녀와 마르틴 루터
ㆍ박정신의 근본주의 해부
- 기독교 근본주의, 한국 지성사에 길을 묻다
- 역사의 반동, 종교근본주의
ㆍ예수사람, 숭실사람
Author
구미정,박정신
다양한 인문학적 글쓰기와 강연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기독교여성학자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대학원 기독교학과를 졸업했으며 기독교윤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초빙교수, 대구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거쳐 현재는 숭실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지은 책으로 『이제는 생명의 노래를 불러라』,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윤리』, 『한 글자로 신학하기』, 『두 글자로 신학하기』, 『야이로, 원숭이를 만나다』, 『호모 심비우스』, 『핑크 리더십』, 『구약 성서: 마르지 않는 삶의 지혜』 등이 있고, 옮긴책으로 『교회 다시 살리기』, 『생명의 해방』(공역), 『과학의 윤리』(공역), 『낯선 덕: 다문화 시대의 윤리』 등이 있다.
다양한 인문학적 글쓰기와 강연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기독교여성학자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대학원 기독교학과를 졸업했으며 기독교윤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초빙교수, 대구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거쳐 현재는 숭실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지은 책으로 『이제는 생명의 노래를 불러라』,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윤리』, 『한 글자로 신학하기』, 『두 글자로 신학하기』, 『야이로, 원숭이를 만나다』, 『호모 심비우스』, 『핑크 리더십』, 『구약 성서: 마르지 않는 삶의 지혜』 등이 있고, 옮긴책으로 『교회 다시 살리기』, 『생명의 해방』(공역), 『과학의 윤리』(공역), 『낯선 덕: 다문화 시대의 윤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