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는 성장 동력의 핵심이 상상력, 창의성과 같은 문화예술의 영역과 맞닿아 있고, 궁극적으로는 교육을 통해 예술적 상상력, 기술적 상상력을 가진 인재를 키우는 것의 중요성에 정책과 산업 모두 이견이 없는 상황입니다.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은 이를 모두 아우르는 교육으로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도 하고 메타버스를 사유하기도 하는 창조적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책은 메타버스와 함께 가는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오는 거리감을 줄이고 정책과 현장 프로젝트 전반에 메타버스를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메타버스가 짧은 시간 동안 세계적으로 상상력과 확장성에 기반한 창조적 예술의 매체이자 시공간을 초월하는 교육의 장으로 성장하고 활용되었다는 점에 집중하여 메타버스의 개념과 현상, 사례 등을 충분히 검토하고 문화예술교육과의 접합점 및 의제, 제언을 분석 및 도출하는 기초이론서가 될 것입니다.
특히 플랫폼의 성장 패턴(생태계 구축 → 콘텐츠 고도화 → 수익 모델 강화 → 플랫폼 카테고리 확장) 가운데 메타버스는 현재 생태계 구축 및 콘텐츠 고도화 진입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설과 검증에 의한 선행 연구가 부족한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외 다양한 수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의 현상과 실재를 살펴봄과 동시에, 국내외 메타버스 예술 및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정책 책임자, 기획자, 예술가, 예술 교육가, 학교 교사)의 FGI 인터뷰 및 자문을 통한 전문적인 실행 사례와 제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경기문화재단의 ‘메타버스와 함께 가는 문화예술교육 연구(2021.12.)’ 를 기반으로 다빈치books에서 기획출판한 도서입니다. 메타버스의 허브 경기도와 관련한 정책 연구는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ggcf.kr)에서 만날 수 있으며, 이 책은 기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 제언 대신 보다 실제적인 내용들을 반영하여 전국의 문화예술 교육자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Contents
들어가며 04
제1장 메타버스의 실재와 특성 19
제1절 메타버스의 정의와 실재 20
1. 메타버스 개념과 발전배경 20
가. 개념 및 요소 20
나. 발전 배경 25
2. 기술적 · 경제적 측면에서 바라본 메타버스 31
가. 메타버스와 범용기술 31
나. 메타버스와 가상융합경제 38
3. 국내외 메타버스 정책 40
가. 국내 메타버스 정책 40
나. 영국 메타버스 정책 49
제2절 메타버스 생태계 구성 요소 54
1.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메타버스 플랫폼 54
가. 로블록스 54
나. 제페토 57
다. 이프랜드(ifland) 60
2. 무한한 길을 여는 메타버스 하드웨어 64
3. 자발적 소비와 생산의 주체, 메타휴먼 72
제2장 예술 · 교육 영역의 메타버스 사례 79
제1절 메타버스와 예술의 만남 80
1. 메타버스 예술 관련 콘텐츠 산업 및 정책 동향 80
가. 메타버스와 예술 80
나. 메타버스 예술 콘텐츠 산업 동향 85
다. 메타버스 예술 콘텐츠 정책 동향 90
2. 문화예술 분야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사례 100
가. 가상전시플랫폼 100
나. 예술정보 플랫폼 104
다. 대중문화 공연 및 행사 106
3. 메타버스 문화예술 창작 사례 109
제2절 메타버스와 교육의 만남 114
1. 메타버스 교육 관련 콘텐츠 산업 및 정책 동향 114
가. 메타버스와 교육 114
나. 메타버스 교육 콘텐츠 산업 동향 119
다. 메타버스 교육 정책 동향 122
2. 메타버스 교육 활용 사례 131
제3장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현재와 미래 143
제1절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현재 144
1. 문화예술교육의 변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메타버스로 144
가. 온 · 오프라인의 교육효과 비교 146
나.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온라인과 메타버스 149
2.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55
가. 관점별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 156
나. 목적별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 158
3.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접근 방식 160
가.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을 향한 관점 160
제2절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미래 165
1.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165
가. 다중 감각 및 몰입감을 통한 새로운 예술 경험 165
나. 능동적 · 창의적 예술 활동으로 확장 166
다. 한계를 넘어서는 접근성과 시공간을 초월하는 소통 · 협업 제공 171
라. 크리에이터 경제 기반의 예술가적 사고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175
2. 생태계로서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구성 요소 178
가.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창조적 이용자’ 185
나.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 내용 192
다.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기관’ 201
3.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장애 요인 205
가. 접근과 경험의 불평등 205
나. 신체적 · 정신적 영향 및 개인정보 피해 209
다. 법적 표준과 윤리 논의 213
제3절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툴과 활용 217
가.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툴에 대한 접근 217
나. 주제 도입 및 체험을 위한 툴과 활동 225
다. 메타버스 예술 수업을 위한 툴과 활동 233
나가며 242
Author
김태희,이승환
바라예술성장연구소 소장. 예술가이자 예술교육가로서 저술과 강연, 연구와 자문. 예술기획을 해왔으며, 지난 20여 년간의 다양한 예술교육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전국 지자체 문화재단, 교육청 등에서 예술교육 자문 및 심의·컨설팅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부천문화재단과 한화그룹 등에서 예술정책 연구와 전략기획을 했으며, 서울시(서울문화재단) ‘생활문화주간 및 생활문화 캠페인’의 예술감독을 역임하였다.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예술로서 열망과 위로를 얻는 더 나은 세상을 꿈꾸며, 아동권리보호와 생애예술교육. 취향예술옹호 등의 영역에서 도전적이고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수많은 학부모와 예술교사들에게 예술교육에 대한 영감을 준 《행복한 인재로 키우는 예술의 힘》, 유아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쓴 《유아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자원 활용》 등이 있다.
바라예술성장연구소 소장. 예술가이자 예술교육가로서 저술과 강연, 연구와 자문. 예술기획을 해왔으며, 지난 20여 년간의 다양한 예술교육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전국 지자체 문화재단, 교육청 등에서 예술교육 자문 및 심의·컨설팅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부천문화재단과 한화그룹 등에서 예술정책 연구와 전략기획을 했으며, 서울시(서울문화재단) ‘생활문화주간 및 생활문화 캠페인’의 예술감독을 역임하였다.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예술로서 열망과 위로를 얻는 더 나은 세상을 꿈꾸며, 아동권리보호와 생애예술교육. 취향예술옹호 등의 영역에서 도전적이고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수많은 학부모와 예술교사들에게 예술교육에 대한 영감을 준 《행복한 인재로 키우는 예술의 힘》, 유아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쓴 《유아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자원 활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