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출현과 융복합적 세계화가 갈수록 진전되는 시대 상황에서 인간의 삶의 주요 영역인 사회, 역사, 언어 등의 문제들을 종교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다양한 상상력과 시각을 종합하여 인문학적 텍스트로 풀어나가면서,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인간의 정체성을 찾아나간다. [함석헌평화연구소]의 본격적인 인문학 탐색의 첫 번째 결과물이다.
Contents
제1부 _ 인간과 역사적 삶의 해석
01. 『장자(莊子)』의 철학상담적 해석 _ 신성열
1. 왜 『장자』인가?
2. 철학상담과 텍스트
3.『장자』와 철학상담
4. 『장자』의 가치
02. 농촌의 도시자본농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_ 황보윤식
1. 농촌의 자본시장화 문제
2. 농촌 파괴의 역사적 배경
3. 농촌/농민의 계급분화와 그 현장
4. 농촌은 인문주의 교육장이다
5. 농촌은 자본주의 사회로 가면 안 된다!
03. 노인의 삶에 대한 역사인문학적 지평 _ 황보윤식
1. 발달 과정에 따른 인간의 변화
2. 노인들의 의식세계
3. 노인들의 당면 과제
04. 인간학적 장으로서의 사람책도서관 _ 박요섭
1. 지혜와 사람책도서관
2. 책, 도서관에 대한 발상의 전환과 가치 혁신
3. 만남과 새로운 창조적 동력
4. 사람책도서관으로 바라본 인문학적 텍스트와 상상력
5. 사람책도서관과 인문학의 만남
6. 사람책도서관을 통한 인간성의 회복과 사회적 실천
05. 시대에 따른 삶의 지표_ 이소흔
1. 어른이 된다는 것
2. 어른으로 산다는 것
3. 사람답게 산다는 것
4. 더불어 산다는 것
5. 어른답게 산다는 것
06. 지각의 열림과 상황적 공간에서의 언어의 상관관계 해석 _ 정은희
1. 의미의 몸으로서의 이중성
2. 의식하는 주체로서의 몸과 세계와의 관계
3. 몸의 내적 공간으로서의 끌어당김
4. 언어의 애매성 안에서의 열림
5. 세계에 던져지는 상황의 공간성
제2부 _ 종교적 삶의 해석
07. 성서에 나타난 우리말 읽기_ 이소흔
1. 성서와 언어
2. 한자의 영향
3. 표기로 인해 달라진 의미, ‘하느님’과 ‘하느님’
4. 성서에 나타난 인칭대명사, 그리고 문체
5. 오늘날의 성서가 되기까지
08. 변찬린의 ‘새 교회’론에 대한 의미와 전망 _ 이호재
1. ‘새 교회’ 이야기
2. 변찬린의 생애
3. 한국 교회의 종교 현상 비판
4. 성경적 의미의 교회
5. ‘새 교회’의 성립 이념
6. ‘새 교회’ 운동의 여명
09. 종교 간의 대화를 위한 해석학적 범주 _ 박정환
1. 결국, 벽을 넘는 대화다
2. 대화의 개념
3. 대화의 영역
4. 대화의 유형
5. 대화의 준칙들
6. 오라, 우리와 함께 대화하자
10. 종교와 이성 사이의 긴장 _ 김대식
1. 종교의 이성적 상상력의 금기
2. 종교에 대한 합리적 사유
3. 함석헌의 종교현상학
4. 종교를 넘어서 정신의 성숙을 향하여
5. 종교의 이성적 텍스트화의 가능성
11. 존 웨슬리의 현대 교육학적 조망 _ 박광수
1. 웨슬리 인문교육의 대두
2. 웨슬리의 교육개혁과 조망
3. 웨슬리의 교육사상의 태동과 전개
4. 웨슬리에게 영향을 끼친 교육사상
5. 웨슬리의 교육개혁과 실천의 장, 킹스우드 학교
6. 웨슬리 교육의 핵심적 가치
7. 현대사회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언
12. 인간 도야로서의 영성과 교육 _ 김대식
1. 도야로서의 영성 교육
2. 신앙 언어와 영성 교육
3. 영성 교육의 주제로서의 환경
4. 종교 죽음 이후의 영성과 교육
5. 계몽 시민으로서의 그리스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