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의 현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19 팬데믹은 우리의 식량안보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식량위기에 대한 우리의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필요한 법적, 제도적 장치의 유무와 적절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으로 식량안보에 주로 고려되었던 기후변화에 의한 세계적인 식량감소, 해외 수입곡물의 수급 차질, 해외농장 건설 등과 더불어 그동안 소홀히 다루었던 국내 식량생산 증가와 자급률 향상 노력, 전쟁이나 경제 제재 등 국제정세의 불안정 요인들,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신종 전염병의 세계적 유행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식량위기 요인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대책을 강구하고자 했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편집되었으며, 제8장 정책제언에는 ① 식량위기 대응 식량안보법의 제정, ② 식량위기 대응지침(매뉴얼) 제정, ③ 한반도 통일을 위한 식량안보 정책 수립, ④ 비상시 식량 확보를 위한 식품산업의 육성, ⑤ 식량안보를 위한 국가 간 협력체계 구축, ⑥ 식량안보를 위한 국민교육의 강화를 강조했다. 이 책을 통해 우리 국민의 식량안보에 대한 의식이 살아나고 관계당국의 책임감이 고양되기를 바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식량안보 위기의 정의와 발생
1.1. 식량안보의 정의/ 1.2. 식량위기 발생원인 / 1.3. 대규모 식량위기의 발생 사례/
1.4. 코로나19 팬데믹과 식량 위기
제2장. 한국의 식량안보 상황
2.1. 세계 식량자급률과 한국의 현실/ 2.2. 우리나라 곡물 수급 현황/
2.3. 쌀 자급률로 인한 착시현상/ 2.4. 한국 식량안보의 중요성/
2.5. 식량 확보를 위해 논의되고 있는 대처 방안
제3장. 비상시 전투식량 공급계획
3.1. 군과 민간의 비상식량 개념의 상이성/ 3.2 군 식량의 형태 및 상황에 따른 조달 방안/
3.3. 군의 급식소요 판단 및 확보방안/ 3.4. 전투식량의 역사와 변천과정/
3.5 전투식량 분류와 조건/ 3.6. 군납 식품의 품질보증 활동/ 3.7. 식량안보와 전투식량
제5장.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위기 대응 체계
5.1. 위기대응 관련 정책 현황/ 5.2. 식량위기 시 곡물 확보의 당면문제/
5.3. 국제 곡물위기 대응 지침(매뉴얼)/ 5.4. 식량안보 위기대처 방안
제6장. 주요국의 식량안보 위기 대응 정책
6.1. 일본의 식량위기 대응 정책/ 6.2. 중국 식량 위기대응 정책/
6.3. 멕시코 식량 위기대응 정책/ 6.4.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한 중동국가
제7장.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본 식량안보 홍보전략
7.1.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량위기, 식량안보 관련기사 증가/
7.2. 코로나19를 활용한 식량 위기 홍보/ 7.3. 카드 뉴스와 인포그래픽 활용 홍보/
7.4. 온라인 매체와 SNS 활용한 홍보/ 7.5. 식량 위기 대비 식품 소비기한 홍보
제8장. 정책제언
8.1, 식량위기 대응 식량안보법의 제정/ 8.2. 식량위기 대응지침(매뉴얼) 제정
8.3. 한반도 통일을 위한 식량안보 정책 수립/
8.4. 비상시 식량 확보를 위한 식품산업의 육성
8.5. 식량안보를 위한 국가 간 협력체계 구축/ 8.6. 식량안보를 위한 국민교육의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