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의 귀환’, ‘김유정과의 만남’, ‘김유정과의 산책’, 그리고 ‘김유정과의 향연’을 통해 김유정의 문학세계를 탐사하고 음미, 재창조해온 김유정학회에서는 이제 좀 더 넓고 확 트인 ‘김유정의 문학광장’으로 나가려고 한다. 김유정이 요절한 후 78년이라는 긴 세월이 흘렀지만, 김유정의 문학을 사랑하고 연구하는 많은 이들이 있어 그의 주옥같은 글들은 여전히 생생하게 살아 있는 듯하다. 이번에 그의 글이 어떤 식으로 연구되고 해석되었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기 바란다. 특히 따뜻한 봄날을 맞아, 우한용의 [나리도꽃]을 통해서 현대에 다시 태어난 점순이와 ‘나’를 만나보는 것을 추천한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김유정 문학과 전통
서대석-김유정 문학과 구비문학
1. 들어가며
2. 작품세계의 전반적 대비
3. 작품세계의 개별적 대비
4. 나오며
제2부 김유정 문학의 토대
전신재-김유정의 ‘위대한 사랑’
1. 들어가며
2. 남녀 간의 사랑의 양면성-숭고와 우아
3. 인간 구원의 사랑의 두 유형-종교적 사랑과 모성애
4. 지상적인 사랑의 두 유형-정과 ‘위대한 사랑’
5. 나오며
조동길-김유정의 창작 동력에 관한 연구
1. 들어가며
2. 소설 작가의 유형화 시론
3. 김유정의 창작 동인 및 특성
4. 나오며
유인순-김유정 문학에 대한 인문지리적 접근
1. 들어가며
2. 춘천의 인문지리
3. 김유정 문학, 그 인문지리적 접근
4. 나오며
김미영-병상(病床)의 문학, 김유정 소설에 형상화된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
1. 들어가며
2. 병상(病床)의 문학으로서 김유정 소설
3. 육체성의 한계, 그 진실 앞에서의 ‘실소(失笑)’
4. 채색한국화 같은 토속적 이미지의 소설
5. 김유정의 문학이 복사(複寫)한 진실-인간의 한계와 비극성
6. 나오며
제3부 김유정 문학의 분석적 접근
박상준-반전과 통찰-김유정 도시 배경 소설의 비의
1. 도시 배경 소설 검토의 의의
2. 현실적 패배의 심정적 역전-도시 하층민의 생명력
3. 단순한 구성이 발하는 반전의 미학
4. 소결 및 남는 문제
윤흥로-김유정의 은유에서 길을 묻는다
1. 들어가며
2. 잃어버린 길 찾기-은유의 지도
3. 위기 탈출의 기회-도박은유
4. 증언의 마지막 목소리
5. 나오며
최성윤-김유정의 현실 인식과 아이러니의 한 양상단편 -[떡], [만무방]의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어린아이의 형상
3. 1930년대 후반기의 현실과 김유정의 작가적 대응
4. 나오며
최명숙-김유정 소설의 명명법과 인물성격에 관한 연구
1. 들어가며
2. 공간적 배경과 명명
3. 명명의 방법과 인물 성격
4. 나오며
제4부 김유정 자전소설 속 슬픔의 양상과 기능
송선령-김유정 자전소설에 나타난 슬픔의 기능 연구 -[형], [따라지], [생의 반려]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형]-슬픔의 고통
3. [따라지]-슬픔을 통한 자아 성찰
4. [생의 반려]-슬픔의 연대감
5. 나오며
임정연-김유정 자기서사의 말하기 방식과 슬픔의 윤리
1. 들어가며
2. ‘복화술(複話術)’의 구조와 불투명한 주체
3. 상호 의존성의 원리, 슬픔의 윤리성
4. 나오며
제5부 김유정과 문학비평
박근예-김유정 문학의 비평적 수용 양상 연구
1. 들어가며
2. 인상비평 수준의 초기 비평
3. 근대성의 전통과 낙관적 니힐리즘
4. 참여의 리얼리즘과 토속적 예술성
5. 소설미학적 분석과 민족문학적 접근
6.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