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경제근대화와 전환기의 지식인들』에서 ‘생산성의 인문학’ 이라는 인식의 틀을 통해서 180년에 걸친 한국의 경제근대화 과정을 주도한 지식인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각 시대에는 스스로를 근대화 주체로서 자임한 지식인이 등장하여 역사적 과업을 감당한다. 근대화 주체는 역할에 따라 근대화 설계자와 생산성 주도자로 구분된다.
창조적 소수로서의 근대화 추진 주체란 근대화 설계자(modernization planner)와 생산성 주도자(productivity implementer)를 지칭한다. 근대화 설계자란 각 시기에 부각된 시대적 과제를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한 핵심 인물 또는 집단이 이의 해결을 위해 선택한 정책방향 또는 방침을 의미하며, 생산역량 확충을 지향하는 정부의 시도로 구체화된다. 한편 생산성 주도자란 당대의 시대적 과제를 특정 산업 현장에서 실행한 행위자를 뜻한다.
제2장 생산성의 인문학
1. 생산성
가. 생산성 형성요인
나. 생산성의 변화기제
2. 생산성의 역사
3. 인간주의 생산성 생산성 생산성
제 Ⅱ 부 민족의 전통과 역사의 유산
제3장 한민족의 정신적 전통
1. 한민족의 시원(始原) 사상 - 산스크리트 어원(語原)으로 추론하다
가. 건강한 정신을 기르는 지혜의 전승
나. 홍익인간
2. 자강정신
가. 자조
나. 자강정신
3. 생산성 운동과 전통사상
제4장 조선의 역사적 유산
1. 국가정체성
가. 성리학적 국가개조
나. 사대주의와 사대모화
다. 세계와의 관계 : 쇄국
2. 역사주체성
가. 한민족 고유의 역사 경시
나. 역사 변조
3. 국가제도
가. 토지제도와 재정
나. 개발과 생산
4. 사회 중심부 공동화(空洞化)
가. 권도의 타락
나. 선비의 퇴락
5. 조선의 생산력
가. 농업생산력
나. 농업생산성
다. 수공업 장인과 기예
6. 조선 근대화를 설계한 박제가
가. 이용후생
나. 부국책
제 Ⅲ 부 경제근대화의 시기별 진전
제5장 개항기 : 근대화의 출발지점
1. 시대의 어려움으로 부상한 미곡 수출
2. 사회의 계층별 분열 : 같은 공간에서 다른 길 찾기
가. 유학자와 위정척사론
나. 개화와 외세
다. 민중의 탄생과 민족주의
라. 지주와 아전
3. 자생적 근대화
가. 개화파의 부국강병책
나. 제도개혁
⑴ 근대화기구
⑵ 경제제도 정비
㈎ 세제 개혁
㈏ 산업육성
4. 근대화 좌절 요인
가. 외세 의존성
나. 합의 결여
다. 자원 결여
제6장 대한제국기 (1897~1910)
1. 국민을 탄생시킨 신채호와 안창호 : 운동 주체의 등장
가. 자발적 결사체
나. 신민회의 신민운동
2. 생활개혁 주창자 손병희 : 사회적 생산성
3. 한성을 새로이 디자인한 박정양 : 공간생산성
4. 산업화 현장을 장악한 이용익 : 산업생산성
가. 에너지 생산성
나. 산업 육성
다. 금융근대화
라. 조세행정
마. 산업화
바. 기술인력 양성
사. 역사적 평가
5. 근대 학문
가. 경제학의 등장
나.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의 노동 가치를 계몽한 유길준
⑴ 노동
⑵ 노동회
제7장 일본강점기 (1910~1945)
1. 조선총독부 식민지정책
가. 농업 부문
⑴ 농촌진흥운동
⑵ 자력갱생
나. 공업 부문
2. 산미증산계획(産米增産計劃)
3. 자생운동 : 청우당과 전진한
가. 청우당
나. 조선에 협동현상을 일으킨 전진한
제8장 건국기 (1945~1953)
1. 공개념
2. 경제 질서를 제시한 조소앙과 조봉암
가. 조소앙
나. 조봉암
3. 농업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한 권태헌
제9장 개발 준비기 (1954~1961)
1. 폐허에서 솟구친 시대정신
2. 경제개발을 기획한 이기홍
가. 산업개발위원회 : 새로운 종자 개발 시도
나. 경제계획 기구의 설계: 실행(implementing)의 요건
3. 샌프란시스코조약과 아시아생산성기구
가. 한국의 지일파, 일본의 지역패권 구상에 동조
나. 한국생산성본부 설립
4. 농촌사회 역량 함양
가. 지역사회의 자조역량 동원
나. 농촌을 개혁한 청년운동가 이재영 : 농촌계몽운동
제10장 경제개발기 (1962~1976)
1. 투자재원 조달과 국제관계
가. 한일국교정상화
나. 서독으로 간 광부와 간호사
2. Kennedy & Johnson 행정부의 개입
가. 수출산업 육성으로 방향 선회
나. 중화학공업
3. 한국 지도층으로 하여금 세계적 안목을 갖게 하라
가. 주한미국원조사절단(USOM)
나, 최고경영자 미국 시찰단
4. 미국, 혈맹 한국에게 ‘물고기 낚는 법’을
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 : 생산성 종자를 개발하는 기구
나. 정보화 사업을 시작한 이주용: 독자적으로 소프트웨어 산업을 일구다
5. 중화학공업을 구축한 오원철 : 방위산업은 중화학공업의 다른 이름
6. 국토개발계획 : 함께 배우고 역량을 키우면서 개발계획 수입
제 Ⅳ 부 인간의 얼굴을 한 생산성
제11장 과거에게 미래를 묻다
1. 근대화의 궤적
가. 생산성 형성요인의 변화 궤적
⑴ 조선의 역사적 유산
⑵ 개항기
⑶ 대한제국기
⑷ 일제강점기
⑸ 건국기
⑹ 개발준비기
⑺ 경제개발기
나. 민족의 전통과 역사의 유산
⑴ 제도와 정치
⑵ 정신과 역사
⑶ 사회 중심부 공동화와 선비의 퇴락
다. 근대화 과정 : 씨앗, 발아 그리고 성장
라. 경제개발전략
마. 과학기술
2. 북한경제
가. 동아시아 근대화가 한반도에 남긴 과제
나. 남북한 공통의 과제에 대한 성격 규명
다. 북한이 결여한 역량
3. 지식인
가. 지식인의 공과 과
⑴ 공
⑵ 과
나. 제국주의에 압도된 한국 지식인
제12장 국가전략
1. 한국인 됨으로서의 유교
가.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
⑴ 예
⑵ 공의
나. 한국적 증상 진단 : 에토스로서의 유교문화
⑴ 응석의 심리
⑵ 긍정적 자기관
다. 공공성 약화는 역사 과정의 산물
2. 한국적 정체성
가. 인간의 얼굴을 한 생산성
나. 유교자본주의
⑴ 유교윤리
⑵ 공생주의
⑶ 신뢰
다. 지식인의 역할 :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
⑴ 근대화의 어두운 측면
⑵ 중심부의 건강성
라. 새로운 네트워크 등장
⑴ 방탄소년단: 새로운 문명의 전령
⑵ 사회적 메시지
3. 세계전략 : 공공외교와 생산성공유사업(Productivity Sharing Program)
가. 지역을 넘어서
나. 문화적 친연성 기반 네트워크
다. 공공외교로서의 생산성 공유 사업
Author
이정훈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이사. 중동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미국 텍사스주립대(North Texas State University)에서 산업관계학(Industrial Relations)을 전공했다. 관동대학교 교수였으며 한국생산성본부에서 28년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생산성연구소장, 조사부장, 노동연구실장을 역임했다. 저서와 보고서로는 『패러독스 경영연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노사관계』가 있다. 1980년대 중반 한국 노사관계 실태를 다룬 유일한 보고서이다. 논문으로는 「유교문화권에서 부모의 양육행위가 자녀 도덕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08, 한국심리학회지:일반)가 있다.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이사. 중동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미국 텍사스주립대(North Texas State University)에서 산업관계학(Industrial Relations)을 전공했다. 관동대학교 교수였으며 한국생산성본부에서 28년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생산성연구소장, 조사부장, 노동연구실장을 역임했다. 저서와 보고서로는 『패러독스 경영연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노사관계』가 있다. 1980년대 중반 한국 노사관계 실태를 다룬 유일한 보고서이다. 논문으로는 「유교문화권에서 부모의 양육행위가 자녀 도덕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08, 한국심리학회지:일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