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7월에 열린 첫 모임과 같은 해 10월에 열린 두 번째 모임에 이어 2016년 6월 창원에서 ‘교사가 만들어가는 교육 이야기’ 세 번째 마당을 열렸다. ‘실천교육교사모임’이라는 이름으로 열린 첫 번째 행사로 이전 두 번의 행사 때처럼 전국에서 300명에 이르는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교육의 변화에 대한, 실천하는 교육에 대한, 혼자가 아니라 함께 교육의 길을 걷고자 하는 열의가 무더운 날씨보다 더 뜨거웠던 교사들의 이야기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1부에서는 먼저 3회 모임이 있기 전의 일과 그 이후 변화한 점들, 그리고 행사 당일의 간략한 정리를 담았다. 세 번째 마당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행사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출범식을 했다는 것이다. 이전 두 번의 행사와 달리 3회에서는 운영진과 준비위원회를 분리하였고, 젊은 교사들을 중심으로 꾸려진 준비위원회에 준비 과정과 운영을 모두 위임했다. 새로운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위원회의 노력과 과정을 볼 수 있다. 1부의 마지막에는 ‘실천교육헌장’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소개한다. 몇몇 활동가나 일부 적극적인 회원의 주장을 정리한 것이 아니라, 설문 조사를 통해 모든 회원의 의견을 모았다. 실천교육헌장과 그 과정, 그리고 아깝게도 담지 못한 다른 목소리도 들어볼 수 있다.
2부에서는 행사 당일 강연자 7명의 강연 내용을 담았다. 평범한 교사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교육자로서 빛날 때 별빛이 아름다운 밤하늘을 만들 듯 교육문화를 아름답게 만들 것이라는 내용의 드로잉쇼(drawing show)(정원상), 이동도서관에 책을 싣고 학부모와 아이들을 만났던 교육감의 이야기(박종훈), ‘그저 말 잘 듣고, 말 잘 듣는 아이들로 교육시키는 교사가 아니라, 먼저 스스로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교사가 되겠다’는 다짐(김미연)이 담겼다. 또한 교사의 행복과 치유, 그리고 그것을 위한 교사치유센터의 필요성(서준호), 학교를 공동체로 세우기 위한 수업나눔(김효수), 시를 통해 아이들이 행복을 느끼게 하고 아이들과 하나 되기(최종득), 청소년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프로젝트 학교인 ‘꿈이룸학교’ 이야기(김현주) 등을 담았다. 각 강연은 글뿐만 아니라 QR코드를 통해 영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참가자의 입장에서 창원에서 열린 세 번째 마당이 이전과 달랐던 특징적인 면은 오후 행사에서 참여자가 직접 ‘교육 이야기’에서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진행할 기회를 주고,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참여자가 직접 자신만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진행할 기회를 주고,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하여 20개가 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자발적으로 만들어졌다. 참가자들은 자신과 같은 고민과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만나 이야기 나누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 책의 3부에서는 그중 몇 개의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있다.
Contents
축하의 글_ 장휘국, 광주광역시 교육감
1부 나답게, 자유롭게, 함께
우연한 시작, 열망의 폭발 그리고 실천교육교사모임의 태동_ 차승민
세 번째 마당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_ 지항수
실천교육헌장이 만들어지기까지_ 편집부
2부 교육톡톡
우리는 서로의 별빛입니다_ 정원상
북버스에 꿈을 싣고_ 박종훈
말 잘 듣는 학생, 말 잘 듣는 교사_ 김미연
선생님 힘내세요!_ 서준호
수업나눔, 학교를 공동체로 세우다_ 김효수
시를 통해 아이들과 하나 되기_ 최종득
청소년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프로젝트 마을학교, 꿈이룸학교_ 김현주
3부 주제톡톡
생각을 쑥쑥 키워주는 ‘물음표노트’ 비법_ 김재진
옆 반 선생님의 고민상담소_ 나건우
호기심은 전염병, 하늘강 이야기_ 변영호
왜(why)라는 호기심에 새싹을 달다_ 안다비
연극놀이 그리고 꿈을 찾는 여행_ 이동민
학부모 상담 이야기_ 이상우
그림책은 맛있다_ 인경화
우리학교 영화제 만들기_ 정재성
21세기 교육과 거꾸로교실_ 최우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