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조 문학 연구

$43.20
SKU
979118587725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3/02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91185877259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한국 근대소설과 이해조

[이해조 문학 연구]는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과정에서 가장 활발한 작품 활동을 했던 작가 이해조의 문학 세계를 근대 출판?인쇄 매체와의 관련 양상을 통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해조의 문학 세계는 신문?잡지?단행본 등 새롭게 형성된 근대 매체와의 결합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동시기의 작가들 중 가장 많은 수의 작품을 발표하였기도 하거니와 다양한 문학적 실험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도 특징적이다. “굳이 한 작가의 작품 세계를 다룬 이유는 한 작가의 일관된 문학적 지향점이 그것을 담고 있는 매체와의 관련 양상 속에서 각각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방법은 이 시기 근대문학이 지닌 핵심적 속성을 드러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되었다”고 책의 저자는 말한다. 따라서 이해조 문학 텍스트 전체의 규모를 확인하고, 이를 신문?잡지?단행본 등 당시의 출판?인쇄 매체와의 관련 양상 속에서 입체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특히, 1907년 5월 이후에 발행된[제국신문(帝國新聞)] 원본을 입수하여, 그동안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던[제국신문] 연재소설의 특성을 밝히고,[제국신문]에 연재된 ?륜리학?의 소재를 파악하여 이해조 소설의 사상적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한[대한민보(大韓民報)]에 수록된 ?만인산(萬人傘)?이 이해조의 작품임을 입증하고,[강명화실기(康明花實記)]와[여(女)의귀(鬼)강명화전(康明花傳)]이 각기 다른 작품임을 밝혔다. 그밖에[신해음사(辛亥?社)]에 수록된 한시 두 편의 소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매일신보] 재직 중 작가의 내면 심리를 살피기도 하였다.

이 책은 근대 초기의 문학이 당대의 신문이나 잡지, 서포상들이 발행한 단행본 등 새로운 미디어적 조건과 결합하는 양상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이해조 문학과 관련한 다양한 사진 자료들은 근대 초기 문학의 실상을 살필 수 있는 꽤나 흥미로운 볼거리가 될 것이다. 책 말미의 부록에는 미공개[제국신문]에 수록된 이해조의 ?윤리학?을 발굴하여 그 원문을 수록하였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3. 연구의 대상과 방법

제2장 1900년대 이해조 문학의 특질과 의미
1. 근대 잡지와 이해조 소설
1) 1906년 이전의 행적과 문학 활동의 계기
2)[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와 한문현토소설 ?잠상태(岑上苔)?
2. 근대 신문과 이해조 소설
1)[제국신문(帝國新聞)] 소재 이해조 소설의 특질과 의미
(1) 1907년[제국신문]의 체제 변화와 소설 배치
(2) 이해조 연재소설의 특질과 의미
2)[대한민보(大韓民報)] 소재 이해조 소설의 특질과 의미
(1)[대한민보]의 편집 체제와 소설 배치
(2) 현실 비판의 목소리와 개별 주체의 욕망
3. 단행본 소설과 교육?계몽운동

제3장 1910년대 이해조 문학의 특질과 의미
1.[매일신보(每日申報)] 소재 이해조 소설의 특질과 의미
1)[매일신보] 국한문판의 독자전략과 초기 이해조 연재소설의 특징
(1)[매일신보]의 소설 기획과 이해조
(2) 남성독자와 보수적 가치의 재현
2) 1912년 체제 변화와 이해조 문학의 두 가지 갈래
(1) 독자 통합과 지면 분할
(2) 식민담론의 삼투(?透)와 균열
(3) 판소리 산정(刪正)의 특질과 의미
3)[신해음사(辛亥?社)]에 수록된 이해조의 한시 두 편
2.[매일신보] 이후 이해조 문학의 향방

제4장 결론

보론 ‘정탐소설’ ?박쥐우산?의 작자 문제
1. 머리말
2.[조선일보] 소재 ?박쥐우산?과 이해조
3. ‘정탐소설’의 계보와 ?박쥐우산?
4. 맺음말

부록 [제국신문] 소재 이해조의 ?륜리학?

참고문헌
간행사
Author
배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