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에게 ‘국제정치사상’이 있을까?”
전 지구적 쟁점의 부상과 정치사상 연구의 ‘국제적 전환’
정치사상 영역에서도 전통적인 정치사상가들의 중심 주제가 그들의 국제적 사고와 연계되어 있음을 주목하는 소위 정치사상의 ‘국제적 전환’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전환’의 추세는 최근 지구화로 인해 전 지구적 쟁점들이 부상하면서 보다 가속화되는 양상을 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정치사상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현재 없다. 전통적인 정치사상이나 국제정치이론, 지성사 등은 각기 다른 방식대로 국제정치사상을 이해하고 각기 다른 목적과 강조점을 갖고 국제정치사상에 접근하고 있다.
Contents
제1장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국제정치사상 - 정의(正義)의 국제정치적 확장 가능성(박성우)
I. 서론: “플라톤적” 국제정치사상?
II. 국제정치적 맥락에서의 「국가」 다시 읽기
III. 「국가」의 핵심논제와 정의의 국제적 확장 문제
IV. 플라톤적 국제정치사상을 향하여
V. 맺음말: 플라톤적 정의의 국제적 확장과 현재적 함의
제2장 위기의 국제정치사상 - 휴고 그로티우스의 정전론(김준석)
I. 들어가며: 그로티우스와 베스트팔렌 평화조약
II. 그로티우스와 회의주의
1. 리처드 턱의 그로티우스 해석
2. 턱의 그로티우스 해석에 대한 평가
III. 회의주의와 그로티우스 국제정치사상의 이해
1. 16세기 유럽에서 회의주의 철학의 부상
2. 회의주의와 그로티우스의 정전론
IV. 마치며
제3장 스피노자에게 국제정치사상이 있을까?(공진성)
I. 왜 스피노자인가?
II. 스피노자의 국가이성론 또는 현실주의 국제정치학
III. 스피노자의 자연주의적 정치학과 내재적 비판
제4장 홉스를 넘어서 홉스로- 생-피에르 신부의 사중 영구 평화론(안두환)
I. 서론
II. 홉스와 더불어: 열정의 전쟁
1. 자연 상태
2. 정부 형태
3. 시민 종교
III. 홉스를 넘어서: 이성의 상업
IV. 결론
제5장 영원한 평화와 국제법의 집행
-최근 국제법철학 논의와 함께 보는 칸트의 국제관계론(송지우)
I. 서론
II. “국가들의 국가”가 아닌 국제연맹: 칸트의 국제관계론 수정
1. 칸트의 사회계약론
2. 국제관계에의 유추 논변과 논변 수정
III. 칸트의 이론 수정 해석: 립스틴과 클라인겔드
1. 립스틴의 불필요성 논변
2. 칸트의 이론 수정 해석: 클라인겔드의 자결권 논변
IV. 국제연맹의 규범적 자원: 법집행의 문제
1. 배제 이론과 근대국가형 집행논제 비판
2. 보충성을 전제한 제3국 집행력 부여의 일반화?
V. 결론: 단절론과 연속론의 경계와 국제법의 진화
제6장 국제정치이론으로서 헤겔의 인정이론- 국가정체성과 국제협력의 규범적 체계(김동하)
I. 들어가는 말
II. 국제정치에서 인정은 필연적인가?
III. 인정의 방법론적 토대와 성찰적 지식
IV. 인정 체계의 객관적인 구성 요소와 국가정체성: 인정투쟁, 성찰적 지식, 공동체의 권력
V. 인정의 규범적 질서로서의 국제체제와 국가정체성의 인정이론적 맥락
VI. 나가는 말
(자유주제) 제7장 제도적 행위이론을 통한 동북아지역 다자협력의 제도화 과정 분석
- 두만강개발계획의 사례연구(김예지)
I. 서론
II. 제도적 행위이론의 적용
1. 제도적 행위
2. 제도적 변화와 ‘제도적 혁신가’
3. 이론적 분석틀
III. 두만강개발계획의 제도화 과정
1. 두만강개발계획의 제도화 과정 분석
2. 한계점
I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