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장, 학문의 제도화

한국 언론학의 정체성 탐색
$28.75
SKU
97911855216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2/25
Pages/Weight/Size 147*210*30mm
ISBN 9791185521671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한국 언론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 언론학은 학문적 위상이나 세속적 인기도에서 이른바 ‘잘 나 가는’ 분야로 통한다. 1990년대 후반 IMF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다소 퇴색했지만 언론학은 여전히 학문 세계나 대학 내에서 상당한 위상을 누리면서 자기 분야에 대해 강한 자부심을 보여 준다. 언론학은 20세기 중반 이후 등장한 여러 신생 학문 중에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통한다. 그런데 이러한 통념은 과연 사실일까? 늘 그렇듯 이 통념은 대개 진실과 오류가 혼재된 복합적 판단에 가깝다. 강한 자부심과 자신감은 발전의 원동력이 되지만 때로는 자기반성과 성찰을 방해한다. 지금까지 해오던 방식이 시대 환경이 바뀐 후에도 통할 것이라는 근거 없는 믿음이 끼어들기 쉽고, 이는 새로운 방향 모색에 대한 관심을 해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언론학은 어떤 학문을 해 왔고 앞으로 어떤 학문을 추구해야 하는가? 좀 더 구체적인 수준에서 보자면 이론적 발전이나 현실 세계에 대한 기여도 측면에서 언론학의 각 연구 영역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만일 여기에 문제가 있다면 기존의 학문하기 방식을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재고해야 하는가? 특히 신문과 텔레비전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미디어의 시대가 저물고, 이용자 플랫폼 위주의 새로운 지형이 급속히 떠오르는 지금,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은 현실에서 중요한 이슈를 발굴하고 해답을 찾는 데에도 시사하는 점이 많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해 여러 주제별로 해답을 모색한다.

지식은 학문이라는 장에서 통용되는 관행의 산물이며, 학문 역시 지식이라는 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위다. 이 책은 ‘언론학은 어떤 학문을 추구해야 하는가’ 하는 고민을 오랫동안 해온 언론학자가 원론적인 차원에서의 문제 제기부터 시작해 구체적으로 언론학 내에서 세부 연구 영역별로 접근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 있다.
Contents
1장 한국 언론학, 어떤 학문을 할 것인가
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찾기 | 이론의 영역화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1부 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찾기

2장 언론학의 영역주의와 정체성 위기
1. 무엇이 문제인가 | 2. 영역주의와 정체성의 설정 | 3. 공식적 지식과 비공식적 지식의 이중 구조 | 4. 비공식적 지식의 닮은꼴인 공식적 지식 | 5. 언론학의 현실 연관성: 비판 언론학의 사례 | 6. 현실에 근거한 언론학을 위해
3장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1. 언론학은 성공한 학문인가 | 2. 새로운 지식과 낡은 틀: 언론학 연구의 파편화 | 3. 왜 SMCR 패러다임이 문제인가 | 4. 지식 파편화의 역사적, 구조적 맥락 | 5. 패러다임 대화의 실종과 이론적 다원주의의 허상 | 6. 인문학적 상상력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탐색
4장 수정주의 전통과 비판 언론학
1. 수정주의를 다시 본다 | 2. 수정주의의 현대적 의미 | 3. 영역주의와 방법론적 순수주의 비판: 이론적 차원의 수정주의 | 4. 수정주의의 실천적 함의: 사회주의에서 급진적 다원주의로 | 5. 수정주의와 비판 언론학의 과제
5장 언론학에서 비판적 패러다임의 문제 설정
1. 왜 문제 설정이 문제인가 | 2. 전환기의 비판적 패러다임, 단절과 연속성 | 3. 비판적 패러다임의 정체성 문제 | 4. 1980년대는 무엇을 남겼는가 | 5. 1990년대, 근대와 탈근대의 문제 설정 | 6. ‘근대성’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2부 이론의 영역화와 맥락화

6장 공간 이론과 한국 지역 방송 연구
1. 왜 ‘공간’ 이론이 필요한가 | 2. 기술적?지리적 공간 개념의 한계 | 3. 규범적 공간 개념의 한계 | 4.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지역, 지역 방송 | 5. 방송 연구의 학문 정체성에 대한 반성
7장 지역 언론학의 학문 정체성
1. 지역 언론학은 무엇을 하였는가 | 2. 사회 현상으로서의 지역 언론 | 3. 지역 언론 연구와 규범성 | 4. 지역 언론 연구와 공간성 | 5. 지역 언론학, 어디로 갈 것인가
8장 저널리즘 연구의 지식사
1. 저널리즘 연구를 다시 본다 | 2. 저널리즘 연구란 무엇인가 | 3. 저널리즘 연구, ‘학문의 사생아적’ 기원과 그 유산 | 4. 경험주의 연구의 등장과 학문적 편향화 | 5. 비판 이론의 등장과 저널리즘의 ‘해체’ | 6. 이론적 다원화와 저널리즘의 귀환 | 7. 탈저널리즘 시대와 저널리즘 연구의 미래
9장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진단
1. 왜 생산 연구인가 | 2. 텔레비전 생산 연구란 무엇인가 | 3. 한국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주요 흐름과 특징 | 4. 문제 제기와 대상 설정에서의 문제점 | 5. 연구방법론의 문제점 | 6. 두 걸음 전진을 위한 한 걸음 후퇴
Author
임영호
서른 즈음에 미국 유학길을 떠나면서 비행기를 처음 타본 촌사람이자 40대 중반에야 영국 여행으로 유럽이라는 신세계에 눈을 뜬 늦깎이 여행자다. 이후 전 세계를 다니면서 새로운 문화에 대한 탐구를 시작해, 코로나19로 길이 막히기 전까지 76개국의 수많은 도시와 시골을 여행했다. 이러한 여행을 통해 이 책 외에도 《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 조지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를 썼다.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저널리즘과 문화연구, 이론의 지식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학문의 장, 지식의 제도화》 등을 비롯해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으며, 신문과 잡지 등에도 다양한 주제의 글을 써왔다.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장,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 〈중앙일보〉와 〈부산일보〉 독자위원,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
서른 즈음에 미국 유학길을 떠나면서 비행기를 처음 타본 촌사람이자 40대 중반에야 영국 여행으로 유럽이라는 신세계에 눈을 뜬 늦깎이 여행자다. 이후 전 세계를 다니면서 새로운 문화에 대한 탐구를 시작해, 코로나19로 길이 막히기 전까지 76개국의 수많은 도시와 시골을 여행했다. 이러한 여행을 통해 이 책 외에도 《유럽과 소비에트 변방 기행: 조지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를 썼다.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저널리즘과 문화연구, 이론의 지식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학문의 장, 지식의 제도화》 등을 비롯해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으며, 신문과 잡지 등에도 다양한 주제의 글을 써왔다.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장,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 〈중앙일보〉와 〈부산일보〉 독자위원,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