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저명한 인류학자이자 영장류학자인 세라 블래퍼 허디의 책이다. 다윈 이래로 진화생물학 전반에 깔린 여성에 대한 편견을 깨는 데 일생을 바쳐온 허디는 이 책에서 ‘남성 사냥꾼 그리고 섹스 계약 패러다임’이라는 진화론의 고정관념을 송두리째 뒤흔든다. 협동 번식, 돌봄 공유라는 새로운 양육 방식은 인류의 진화에 엄청난 변곡점이 되었다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다른 유인원에게서는 찾아보기 힘든 마음 읽기, 공감, 나누고자 하는 충동 그리고 상호 이해와 같은 인간만이 가진 특질은 ‘어머니,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돌봄 공유를 통해 진화했다는 이야기다. ‘인간 진화에 대한 통념을 깨는 지적 시한폭탄’이라는 평이 무색하지 않을 만큼 파격적 주장과 탄탄한 증거자료를 토대로 쓴 이 책은 수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상, 하웰즈상, 스테일리상’ 등을 수상했다.
Contents
1. 비행기를 탄 유인원들 9
협력의 배선 | 정서적 현대성의 의미 | 생존하기 위한 배려와 공유 | 침팬지와 사람의 비교 | 주고자 하는 충동 | 인간은 어떻게 협력적인 유인원이 되었나? | 이 책에 대해서
2. 왜 그들이 아니라 우리인가? 54
논리적으로 볼 때, 언어가 더 나중에 진화했다 | 포유류 역사와 함께한 희미한 공감의 빛 | 마음을 읽는 엄마 가설 | 마키아벨리 지능 가설 | 원숭이도 보면, 느낀다 | 눈은 알고 있다 | 다른 유인원도 응시하고 모방한다 | 새로운 차원의 상호작용 기반 | 기이한 탈선 | 퍼즐 다시 풀기
3. 왜 아이를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한가 98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시작 | 다른 유인원들과의 확실한 결별 | 새로운 세상에서 태어난 아기 | 애착 이론가들이 간과한 것 | 나머지 절반의 육아 | 완전한 형태의 협동 번식 | 협동 번식의 어두운 면 | 돌봄 공유의 인구학적 함의 | 대행 부모는 인간에게도 대단히 중요하다 | 동전 던지기
4. 독특한 발달 과정 163
인간 아기들이 찾는 추가적인 그 무엇 | 헌신 감별사 | 어머니 휴식 시간의 결과 | 떨어져 있는 동안 연락하기 | 캐스팅을 많이 할수록, 이야기가 탄탄해진다 | 애착 이론의 확장 | 다중 애착과 그 통합 | ‘베풀어 주는’ 곳으로서의 세계 | 공감적, 또는 정서적 현대 인류로의 변화 | 돌봄 공유의 심리학적 함의
5. 진짜 홍적세 가족 여러분, 앞으로 나와 주시겠어요? 208
비싼 아이들을 키우기 위한 “섹스 계약” | 섹스 계약의 단점 | 아버지가 가장 중요한 경우 | 추가적 아버지, 또는 부분적인 아버지 두기 | 문화적으로 만들어진 키메라 | 남성의 여러 가지 동기 | 선택적인 아버지 노릇의 역설 | 전략적 유연성 | 아빠와 건달의 생물학적 기반 | 마모셋, 그리고 남자
6. 대행 부모를 소개합니다 255
조류와 유유상종, 왜 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가 | 음식 나누기의 결정적 중요성 | 폴 셔먼의 “진사회성의 연속선” | 해밀턴 법칙은 혈연 선택을 넘어선다 | 돕지 않는 것이 더 비용이 큰 경우 | 선량한 도움은 찾기 힘들다 | 집단 멤버십의 혜택 | 협동 번식 진화의 생태적 요인 | 협동 번식 진화의 행동적 요인 | 인간에게도 불임계급과 동일하게 여길 만한 것이 있는가?
7. 감각을 사로잡는 아기들 304
유아에 대한 본능적인 반응 | 태반 섭취에 대한 의문 | 아기의 가치 | 신생아의 매력 | 인기를 끄는 옷 입히기 | 돌봄 공유를 위한 유망한 지원자
8. 그중에서도 할머니 337
혈연 근처에서 출산하는 것의 중요성 | 헬렌 알바레즈의 정정 | 만약 딸에게 근처의 어머니가 있었다면, 그 이후에는… | 그리 멀지 않은 과거의 거주 형태에 대한 유전학적 증거 | 나이 든 암컷의 이타주의에 대하여 | 이제 음식에 대해 이야기할 시간이다 | 할머니 만들기 | 언제, 그리고 정확히 어떻게 할머니들이 도와주는 걸까? | 어머니의 어머니 vs. 아버지의 어머니 | 홍적세 이후의 가부장제 | 할아버지는 뭘 하고 있는가? | 인구통계학적 행운 | 할머니가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을 때 | 대행 어머니 만들기
9. 유년기와 인간의 유래 395
연장된 수명, 길어진 유년기, 더 큰 두뇌 | 협동 번식은 언제 처음으로 시작되었을까? | 정서적 현대 인류의 출현 시기 | 사회적 결속의 새로운 차원 | 우리는 본성을 잃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