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 해 한국에서만 1만 명이 훌쩍 넘는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한국인의 자살률은 몇 년 째 OECD 1위이고, 10대~30대의 사망원인 1위는 질병이나 사고가 아니라 자살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자살을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문제가 심각하다는 데에는 누구나 동의하면서도, 이야기가 나오면 ‘우울증’이니 ‘신변 비관’이니 ‘경쟁사회 탓’이니 표면적인 이유를 대고 넘어간다. 학교나 직장에서 자살이 발생해도 쉬쉬하고 감추기 바쁘다. 이렇다 보니, 본격적으로 한국 사회에 자살 문제가 대두된 지 이십여 년이 지났음에도 자살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이해는 근본적으로 나아진 것이 없는 듯하다. 자살예방 정책도 제자리걸음이다.
『심리부검: 사람은 왜 자살하는가』를 쓴 서종한은 자살이 남긴 상처를 치유하고 나아가 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먼저 자살이 왜 일어나는지, 자살 사망자가 어떤 아픔을 지니고 있는지 근거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경찰청 프로파일러로 재직하면서 자살에 관심을 둔 이후 현장 전문가로서, 또 연구자로서 자살 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예방책을 마련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책은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이를 탐색하고 위험성을 판단해야 하는지를 저자의 경험과 연구를 기반으로 상세하게 밝힌다. 상담교사, 의사, 상담사 혹은 주변 사람들과 가족이 자살 위험에 처한 이들을 어떻게 알아차리고 도울 수 있는지, 청소년 자살에 커다란 요인을 차지하는 학교폭력과 따돌림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등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 말 없는 죽음의 전모를 밝히는 등불,심리부검
1장 심리부검은 무엇인가
1. 심리부검의 정의
01 심리부검이란
02 죽음에 이르기까지를 재구성하다
2. 심리부검의 역할
01 왜 죽었는가를 밝힌다
02 어떻게 죽었는가를 밝힌다
03 죽음의 책임 소재를 밝힌다
04 자살 생존자를 치유한다
05 군의문사와 심리부검
3. 전문가 대담으로 보는 심리부검
01 심리부검의 시작
02 LA자살예방센터 전문가 심리부검
2장 사람은 왜 자살하는가
1. 자살은 어떻게 벌어지는가
01 자살 문제에 정답은 없다
02 의도, 치명성, 동기
2. 자살행동을 이해하라
01 자살행동과 자기 위해 행동
02 자살생각의 이해와 탐색
3. 자살 위험요인 이해하기
01 자살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
02 자살에 영향을 주는 정신과적 증후군
03 자살 위험성을 낮추는 보호요인
4. 유서에 나타난 사망자의 심리
01 유서는 무엇을 담는가
02 가장 미심쩍은 유서
03 망자의 유서는 진실을 말하는가
04 언어에 담긴 마릴린 먼로의 마음
3장 심리부검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심리부검은 무엇을 다루나
01 가장 무거운 질문, 자살인가 아닌가
02 어떻게 자살을 판단하는가
03 심리부검에서 반드시 살펴야 할 것
2. 심리부검의 출발점, 현장 조사
01 사망 현장 조사와 검시보고서
02 검시보고에 기반한 사망 유형 판단
3. 심리부검 면담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01 심리부검의 목적 설정
02 면담 대상자의 선정
03 면담의 진행과 면담 도구
04 심리부검 면담의 유의사항
05 정보의 분석과 관리
4. 심리부검 자살경로분석
01 생애 사건 탐색을 통한 자살경로분석
02 자살경로분석1: 위험 소인과 급성 촉진 요인 결합 사례
03 자살경로분석2: 위험 소인을 계기로 한 고립 강화 사례
5. 심리부검 군집분석
01 심리부검 군집분석의 의의와 절차
02 포인트 군집분석 사례로 보는 위험요인 평가와 대책 마련
4장 심리부검과 청소년 자살
1. 청소년 자살의 특성
01 청소년의 취약함을 이해하라
02 청소년 자살의 주요 위험요인
2. 학교폭력과 청소년 자살
01 학교폭력의 심각한 위험성
부록) 진화하는 학교폭력 양상, 사이버괴롭힘
02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자살경로분석
03 심리부검으로 분석한 학교폭력 진행 경로
04 학교폭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05 성소수자 청소년과 학교폭력
3. 군집분석을 통한 청소년 심리부검
01 아주대학교 심리부검
02 오슬로대학교 심리부검
03 유타대학교 심리부검
5장 어떻게 자살을 예방할 것인가
1. 심리부검 자살경로분석으로 본 자살예방
01 정신질환과 자살예방
02 대인관계 갈등과 자살예방
03 상실과 자살예방
2. 자살예방을 위한 자살 위험성 평가
01 자살 위험성 평가의 의의와 방법
02 자살 위험성 구조화와 자살 의심 요목
03 자살 위험성 구조화 사례
04 나의 위험성 수준은? 자살 위험성 진단표
3. 심리부검과 자살예방
01 자살의 의사결정 과정과 그 대처
02 자살생각 완화를 위한 인지치료
03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의 위험 징후
04 생명을 살리는 게이트키퍼 교육
05 자살예방을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인식 변화
나가는 말 | “왜”라는 끝없는 의문에 답을 찾아
참고문헌
Author
서종한
아주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심리학과에서 Stephen D. Hart 교수의 지도아래 임상법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자살예방협회 Lanny Berman 박사로부터 심리부검 자격을 취득했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심리학과 부속 정신건강법정책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링을 연구했다. 현재 대통력직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심리부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에서 상담과 심리학 강의를 했고 경찰청 프로파일러(profiler)로 6년간 범죄현장에서 프로파일링과 심리부검을 맡았다. 이 후 보건복지부 심리부검 프로젝트, 법무부 심리부검 교정 프로토콜 제작 등을 주도했고 보건복지부 지정 중앙심리부검센터 설립에 참여하였다. 현재 영남대학교 심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사이코패스, 위험성평가, 심리부검 등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매년 심리부검과 폭력위험성 평가, 사이코패스 평가 워크셥을 개최하고 있다. 저서로 《심리부검; 나는 자살한 것을 후회한다》, 《심리부검; 사람은 왜 자살하는가》, 《HCR-20; 한국형 폭력위험성 평가》, 《RSVP; 성폭력위험성평가 프로토콜》 등이 있다.
아주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심리학과에서 Stephen D. Hart 교수의 지도아래 임상법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자살예방협회 Lanny Berman 박사로부터 심리부검 자격을 취득했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심리학과 부속 정신건강법정책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링을 연구했다. 현재 대통력직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심리부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에서 상담과 심리학 강의를 했고 경찰청 프로파일러(profiler)로 6년간 범죄현장에서 프로파일링과 심리부검을 맡았다. 이 후 보건복지부 심리부검 프로젝트, 법무부 심리부검 교정 프로토콜 제작 등을 주도했고 보건복지부 지정 중앙심리부검센터 설립에 참여하였다. 현재 영남대학교 심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사이코패스, 위험성평가, 심리부검 등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매년 심리부검과 폭력위험성 평가, 사이코패스 평가 워크셥을 개최하고 있다. 저서로 《심리부검; 나는 자살한 것을 후회한다》, 《심리부검; 사람은 왜 자살하는가》, 《HCR-20; 한국형 폭력위험성 평가》, 《RSVP; 성폭력위험성평가 프로토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