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란 끝과 끝이 만나는 지점이다. 그곳은 열려 있을 수도, 닫혀 있을 수도 있다. 열려 있는 곳에서는 새롭게 시작할 수 있지만, 닫혀 있는 곳에서는 그럴 수 없다.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곳에서는 교류와 소통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갈등과 대립이 있다. 우리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삼면에서 교류와 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막혀 있는 한 곳은 역시나 갈등과 대립이 반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경향이 특히 심화되고 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지금까지 여러모로 제기되어 왔지만, 체제나 이념의 우월성을 내보이는 명분용의 쓸모 외에는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경계에서 분단을 다시 보다]는 경계 연구를 토대로 긴장과 대립, 전쟁의 위기를 고조시키는 분단 체제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다.
Contents
탈분단경계연구 총서를 내며_ 최완규
엮은이의 말
I. 냉전, 분단, 경계
1. 21세기 경계 연구의 새로운 과제_ 데이비드 뉴먼
2. 동아시아 접경지역 경제특구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공간정치_ 박배균
3. 한국학의 자기 분열: 공간적 경계에서 한국학의 분단적 사고로_ 발레리 줄레조
4. 역사의 상처에서 새로운 유럽의 실험장으로: 독일-폴란드의 사례로 보는 두 개의 한국_ 니콜라이 토이플
II. 반도에서 경계의 중층성
5. 남북한의 경계 허물기: 강, 바다, 그리고 죽은 자_ 도진순
6. 북한 여성 월경자들이 경험하는 북·중 접경 지역_ 김성경
7. 경계를 넘나드는 자연·과학·기술_ 최용환
8. 샴쌍둥이 국가: 경계 상 분리와 합체성에 대한 문제_ 프랑크 비예
9. 금지된 국경 지대의 생태 공간: DMZ와 러시아 극동 지역의 안보와 자연_ 박현귀
10. 다른 방식으로 번역하기: 틈새/망령/균열로서의 경계_ 제인 진 카이젠
Author
최완규,신한대학교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
경희대학교 정치학 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역임. 현 신한대학교 설립자석좌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북한의 정치경제』, “북한의 체제전환 전략과 국제협력: 평가와 과제”, “김대중 정부 시기 NGO 통일교육의 양극화 현상”, “남북한 통일방안의 수렴가능성 연구: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 등이 있다.
경희대학교 정치학 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역임. 현 신한대학교 설립자석좌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북한의 정치경제』, “북한의 체제전환 전략과 국제협력: 평가와 과제”, “김대중 정부 시기 NGO 통일교육의 양극화 현상”, “남북한 통일방안의 수렴가능성 연구: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