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현재 도덕교육을 정규 교과목으로 정하고 있는데, 도덕 교육을 정규 교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전세계적으로 몇 개국 되지 않는다. 이는 인성이나 도덕발달을 전문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정규 교과목으로서의 도덕과의 존재 자체를 회의적으로 보게 만든다. 특히 도덕 과목의 국민윤리는 체제 유지를 위한 반공 교육, 국가의 필요로 인한 국민 양성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일종의 국민 정신교육 과목으로 보는 시선도 존재한다.
책은 이런 여러가지 점들로 인해 도덕 교육이 많은 도전과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상황을 알리고, 이 도덕과 교육 자체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정립을 통해 돌파하려 한다. 도덕과 교육이 무엇을 목표로 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또 왜 가르쳐야 하는지, 어떻게 올바르게 평가할 것인지의 문제를 풀어 나가며 도덕과 교육의 위기론을 해쳐나가려 한다.
Contents
머리말
글의 출처
제1부 도덕과 교육 이론의 구축을 위한 토대
제1장 도덕과의 정당성 및 정체성
보론: 갑오교육개혁기의 수신 교육
제2장 인성 교육과 도덕과 교육의 관계
제3장 도덕윤리과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연구 방향
제4장 도덕과 교육의 배경 학문으로서 윤리학
제5장 도덕과 배경 학문으로서 도덕 심리학: 전체적 개관
제6장 도덕과 배경 학문으로서 도덕 심리학: 도덕성에 관한 뇌 과학 연구
제7장 도덕과 배경 학문으로서 도덕 심리학: 나바에츠의 도덕 발달 이론
제8장 도덕과 배경 학문으로서 도덕 심리학: 사회 정서 학습
보론: 미국 앵커리지 학군 사회 정서 학습(SEL) 표준화 실천 기준
제9장 도덕과 배경 학문으로서 도덕 심리학: 긍정 심리학
제10장 도덕과 배경 학문으로서 정치학: 도덕과에서 시민교육 영역의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을 중심으로
제11장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
보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도덕과 내용 구성 원리(가치 관계 확장법)의 수정·보완 배경
제12장 도덕과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
제2부 도덕과 내용 영역별 쟁점과 과제
제13장 글로벌 윤리 교육 영역
제14장 다문화 윤리 교육 영역
제15장 통일 교육 영역
제16장 과학기술 윤리 교육 영역
참고 문헌
Author
정창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인성교육연구센터장이자 국가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도덕과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윤리와 논술Ⅰ』『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존 가트맨식 감정코치법』『실패하는 학교』『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정의와 배려』『다문화주의 윤리학』등이 있다. 조석환 선생님은 송운초등학교 교사이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지은 책으로는『존어린이 한자학습 인성교육을 위한 사자소학(四字小學)』이 있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인성교육연구센터장이자 국가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 자문위원, 국가교육과정기술자문회의 교육과정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도덕과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윤리와 논술Ⅰ』『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존 가트맨식 감정코치법』『실패하는 학교』『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정의와 배려』『다문화주의 윤리학』등이 있다. 조석환 선생님은 송운초등학교 교사이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지은 책으로는『존어린이 한자학습 인성교육을 위한 사자소학(四字小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