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다시쓰기

고전소설을 읽는 욕망에 관하여
$18.36
SKU
97911687300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3/29
Pages/Weight/Size 140*210*30mm
ISBN 9791168730076
Categories 사회 정치 > 여성/젠더
Description
여성들의 다시쓰기/다시읽기 욕망은 어떻게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비틀고 전복해왔는가?

20세기 초 최초의 춘향전 영화에서 1970년대 호스티스 멜로드라마를 거쳐 지금의 웹툰에 이르기까지,
고전소설의 개작 양상을 통해 여성적 다시쓰기의 변천사를 면밀히 추적한 문화연구서.


저자가 고전소설의 개작에 주목한 것은 그 텍스트들이 젠더 트라우마, 그리고 가부장제에 대한 다양한 저항의 스펙트럼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저자는 젠더적 차별과 불평등으로 인해 생기는 트라우마를 가리켜 ‘젠더 트라우마’라고 명명한다. 그러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다시 쓰고 싶은 충동과 욕망을 불러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들은 ‘다시쓰기’라는 저항의 행위를 통해 서사의 주체가 된다.

고전소설, 그 가운데서도 대표적 여성 서사인 춘향전, 장화홍련전, 심청전은 가부장제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전형적인 여성상을 보여준다. 그 자체로 여성들이 고난을 극복하는 승리의 서사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가부장제의 규칙을 잘 따르는 여성들의 승리였다. 그런데 젠더 관계가 점점 복잡한 양상을 띠는, 즉 여성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점점 더 크게 내고 싶어 하는 20세기에 들어 이 세 편의 소설은 폐기되지 않고 개작이라는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 이들 소설이 다양하게 개작될 수 있었던 것은 매우 잘 알려져 있기에 이를 통해 여성 집단이 일종의 공감과 해석의 공동체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었다.
Contents
서문

프롤로그: 다시읽기와 다시쓰기의 여성 욕망
1장 누구의 것도 아닌 춘향
2장 춘향전의 이데올로기와 프로파간다
3장 자매애와 모성애 다시쓰기
4장 누가 심청을 착취하는가
5장 도시로 간 심청 혹은 70년대 여성 프롤레타리아

에필로그: 새로운 시대의 춘향, 장화·홍련, 심청
Author
노지승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현대문학을 공부했고, 현재는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과 영화를 가르치고 있다. 문학과 영화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치는 것은 거기에 담긴 누군가의 말과 삶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이해하고 때로는 공감한 뒤 그것을 다른 이들에게 해설과 주석을 달아 전달해주는 일이라 생각하고 있다. 또한 잘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삶의 흔적을 찾는 작업 혹은 유명한 이들의 감춰진 내면을 새롭게 발견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유혹자와 희생양: 한국 근대소설의 여성표상》(2009)과 《영화관의 타자들: 조선영화의 출발에서 한국영화 황금기까지 영화 보기의 역사》(2016)를 썼고, 번역한 책으로는 《페미니즘 영화이론》(2012), 함께 번역한 책으로는 《여공문학》(2017)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현대문학을 공부했고, 현재는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과 영화를 가르치고 있다. 문학과 영화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치는 것은 거기에 담긴 누군가의 말과 삶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이해하고 때로는 공감한 뒤 그것을 다른 이들에게 해설과 주석을 달아 전달해주는 일이라 생각하고 있다. 또한 잘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삶의 흔적을 찾는 작업 혹은 유명한 이들의 감춰진 내면을 새롭게 발견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유혹자와 희생양: 한국 근대소설의 여성표상》(2009)과 《영화관의 타자들: 조선영화의 출발에서 한국영화 황금기까지 영화 보기의 역사》(2016)를 썼고, 번역한 책으로는 《페미니즘 영화이론》(2012), 함께 번역한 책으로는 《여공문학》(2017)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