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 대 기자 세 명이 일 년 동안 100여 명의 소년범을 만났다. 심층 인터뷰와 설문 조사를 통해 소년범의 삶을 깊이 있게 들여다본 것은 ‘국내 언론 사상 첫 시도’이다. 매년 충격적인 소년범죄가 일어나고 있다. 그만큼 소년범을 향한 여론의 분노가 들끓고 있으며 소년범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다. 범죄를 저지른 소년범은 처벌받아야 마땅하다. 하지만 처벌을 강화한다고 해서 소년범죄가 줄어들까?
“좋은 어른을 만나본 적 없다”고 말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우리 사회를 향해 “이대로 괜찮은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많은 사람이 소년범을 ‘괴물’이나 ‘악마’로 규정하고 엄중한 ‘처벌’만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회적 성찰 없는 ‘엄벌’은 대책이 될 수 없다. 소년범죄는 ‘양극화’ ‘결손가정’ ‘가정폭력’ ‘공교육의 붕괴’ ‘물질만능주의’ 등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이 주된 원인이기 때문이다. 범죄를 저지른 아이들을 처벌한다고 해서 우리 사회의 책임이 사라지는 걸까? 우리 사회가 공동으로 나눠야 할 책임을, 아이들에게 오롯이 묻는 것이 과연 책임 있는 사회와 국가의 역할일까? 이 질문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쳤지만, 애써 외면했던 아이들의 이야기를 지금 들어야 할 이유다.
Contents
1 소년범의 탄생
보통 어른│한 통의 메일│첫 인터뷰│소년의 죄│어른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2 소년범에 대해 알아야 할 몇 가지 것들
인터뷰_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일러두기│접촉│인터뷰
3 십 대의 세계
가영이│부모를 위한 가이드라인│울타리│죄의 무게│배제된 아이들│도움이 필요할 때_청소년 지원 시설 목록
4 소년범죄와 언론
기사의 자극성│소년범죄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인식│소년범죄란 무엇인가│소년범죄 주요 사건 및 여론 흐름표│청소년 성범죄
199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에서 지리교육과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다. ‘좀 더 나은 세상’을 바라는 마음으로 기자가 되었다. 2018년 서울신문에 입사해 사회부와 정치부에서 일했다. 이달의 기자상, 양성평등미디어상 보도부문 최우수상, 자살예방 우수보도상, 올해의 여기자상 등을 수상했다.
199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에서 지리교육과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다. ‘좀 더 나은 세상’을 바라는 마음으로 기자가 되었다. 2018년 서울신문에 입사해 사회부와 정치부에서 일했다. 이달의 기자상, 양성평등미디어상 보도부문 최우수상, 자살예방 우수보도상, 올해의 여기자상 등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