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 캄보디아

『진랍풍토기』 역주
$36.29
SKU
979116742298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25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6742298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본 역주서는 폴 펠리오가 주달관의 『진랍풍토기』를 두 차례 역주한 것을, 다시 우리말로 역주한 책이다.
Contents
역자의 서문?4

I. 1902년 1차 역주본19
들어가며[Introduction]21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42
진랍의 풍토에 관한 기술47
개관[總敍]47
1. 담으로 둘러싼 도시[城郭]55
2. 주거[宮室]61
3. 의복[服飾]64
4. 관리들[官屬]68
5. 세 종교[三敎]70
6. 사는 사람들[人物]75
7. 출산[産婦]78
8. 소녀들[室女]79
9. 노예[奴婢]83
10. 언어[語言]85
11. 미개인[野人]88
12. 쓰기[文字]89
13. 원단과 절기[正朔時序]90
14. 재판[爭訟]95
15. 질병과 나병[病癩]97
16. 죽은 사람[死亡]98
17. 농사[耕種]101
18. 나라의 지형[山川]103
19. 산물[出産]103
20. 상업[貿易]109
21. 갈망하는 중국 상품들[欲得唐貨]109
22. 식물[草木]111
23. 조류[飛鳥]112
24. 네발짐승들[走獸]113
25. 채소[蔬菜]114
26. 물고기와 파충류[魚龍]115
27. 발효 음료[?釀]116
28. 소금, 식초, 간장, 누룩[鹽醋醬麴]117
29. 누에와 뽕나무[蠶桑]118
30. 기물[器用]119
31. 수레와 가마[車轎]120
32. 배와 노[舟楫]121
33. 속국들[屬郡]122
34. 마을[村落]123
35. 쓸개 채취[取膽]123
36. 기이한 일[異事]126
37. 목욕[?浴]126
38. 이주[流寓]127
39. 군대[軍馬]127
40. 국왕의 출입[國主出入]128

II. 조르주 세데스의 1918, 1933년 추가 주석133
참고자료 II-1.135
사남(?南), 불촌(佛村), 간방(干傍)135
암정팔살(暗丁八殺)138
시랄적(?辣的)138
저고(苧姑)139
진가란(陳家蘭)141
흘뢰(吃賴)141
애람(?藍)143
포릉각(包稜角)143
참고자료 II-2. 144
XXXI. 주달관에 관한 새로운 주석(Nouvelles notes sur Tcheu Ta-kouan). 『BEFEO』, II, 148~151쪽. 144
팔사유(八思惟)144
비세(備世)146
정월 초하루와 절기[正朔時序]146
피란(皮?)150

III. 유고: 보완편집본153
일러두기155
III-1. 서문157
III-2. 번역문160
총서(總敍)160
1. 담으로 둘러싼 도시[城郭]163
2. 주거[宮室]165
3. 의복[服飾]166
4. 관리들[官屬]167
5. 세 종교[三敎]168
6. 사는 사람들[人物]170
7. 출산[産婦]171
8. 소녀들[室女]172
9. 노예[奴婢]174
10. 언어[語言]175
11. 미개인[野人]176
12. 쓰기[文字]177
13. 원단과 절기[正朔時序]177
14. 재판[爭訟]179
15. 질병과 나병[病癩]180
16. 죽은 사람[死亡]181
17. 농사[耕種]182
18. 나라의 지형[山川]183
19. 산물[出産]183
20. 상업[貿易]185
21. 갈망하는 중국 상품들[欲得唐貨]185
22. 식물[草木]186
23. 조류[飛鳥]186
24. 네발짐승[走獸]187
25. 채소[蔬菜]187
26. 물고기와 파충류[魚龍]187
27. 발효 음료[?釀]188
28. 소금, 식초, 간장[鹽醋醬麴]189
29. 누에와 뽕나무[蠶桑]189
30. 기물[器用]191
31. 수레와 가마[車轎]192
32. 배와 노[舟楫]192
33. 지방들[屬郡]193
34. 마을[村落]193
35. 쓸개 채취[取膽]193
36. 기이한 일[異事]195
37. 목욕[?浴]195
38. 이주[流寓]196
39. 군대[軍馬]196
40. 국왕의 출입[國主出入]196
III-3. 판본에 관하여200
III-4. 『성재잡기(誠齋雜記)』219
III-5. 주달관이 전사(傳寫)한 캄보디아어 단어들226
III-6. 원문 해설252
총서(總敍)252
1. 주성(州城)300
2. 주거[宮室] 324
3. 의복[服飾]341

IV. 부록 : 14세기 이전 캄보디아 연관 자료 번역371
부록 IV-1. 『수서』, 권82373
부록 IV-2. 『북사』, 권95378
부록 IV-3. 『구당서』, 권197384
부록 IV-4. 『신당서』, 권222386
부록 IV-5. 『송사』, 권489389
부록 IV-6. 두우(杜佑, 735~812) 『통전(通典)』, 권188,
변방(邊防)4391
부록 IV-7. 1178년 주거비(周去非), 『영외대답(嶺外代答)』395
부록 IV-8. 1225년 조여괄(趙汝适), 『제번지(諸蕃志)』396
부록 IV-9. 진원정(陳元?, 1195~1265년 전후 생존)의
『사림광기(事林廣記)』, 전집, 권5400
부록 IV-10. 1349년 왕대연(汪大淵), 『도이지략(島夷誌略)』401

찾아보기?404
Author
주달관,폴 펠리오,박세욱
폴 펠리오(Paul Pelliot, 1878~1945)는 프랑스 동양학자이자 언어학자이다. 에두아르 샤반느(Eouard Chavannes)의 소개로 저명한 동양학자 실뱅 레비(Sylvain Lei)의 제자가 된다. 어학 능력이 뛰어나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티베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크어 등 13개 언어를 구사했다.

극동프랑스학교(Eole Francise d’Extreme-Orient)의 유급연구생이 되어 1900년 하노이로 갔고, 곧바로 중국 도서를 확보하기 위해 북경으로 여행했다. 마침 의화단 사건이 발발하여 프랑스 대표부를 방어하는 군사작전에 참여했는데, 그 공로로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이후 겨우 23세의 나이로 극동프랑스학교 중국 문학 교수가 되었다. 1906년 6월 중앙아시아 탐사대를 이끌고 카슈갈에 도착하여, 툼슈크, 쿠차, 투루판, 둔황 막고굴을 탐사했다. 둔황 장경동에서 일일이 확인하며 선별한 6000여 필사본을 얻어냈다. 이러한 펠리오의 행운과 탁월한 혜안은 프랑스를 유럽 중국학의 중심으로 이끌었고, 20세기 동서양의 중국학계를 둔황학으로 향하게 했다. 1909년 프랑스로 돌아온 1911년부터 그는 콜레주 드 프랑스(Collee de France)에서 중앙아시아, 역사, 문화, 언어의 교수로 활동했고 1920년부터는 유럽 중국학의 산실인 『통보(T’oung Pao)』를 앙리 꼬르디에(Henri Cordier)와 함께 편집했으며, 이듬해에는 금석문 및 문학 아카데미(Acade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의 임원으로 선출되었고 1930년부터는 파리 엔느리(Ennery) 박물관장을 역임했다.
폴 펠리오(Paul Pelliot, 1878~1945)는 프랑스 동양학자이자 언어학자이다. 에두아르 샤반느(Eouard Chavannes)의 소개로 저명한 동양학자 실뱅 레비(Sylvain Lei)의 제자가 된다. 어학 능력이 뛰어나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티베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크어 등 13개 언어를 구사했다.

극동프랑스학교(Eole Francise d’Extreme-Orient)의 유급연구생이 되어 1900년 하노이로 갔고, 곧바로 중국 도서를 확보하기 위해 북경으로 여행했다. 마침 의화단 사건이 발발하여 프랑스 대표부를 방어하는 군사작전에 참여했는데, 그 공로로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이후 겨우 23세의 나이로 극동프랑스학교 중국 문학 교수가 되었다. 1906년 6월 중앙아시아 탐사대를 이끌고 카슈갈에 도착하여, 툼슈크, 쿠차, 투루판, 둔황 막고굴을 탐사했다. 둔황 장경동에서 일일이 확인하며 선별한 6000여 필사본을 얻어냈다. 이러한 펠리오의 행운과 탁월한 혜안은 프랑스를 유럽 중국학의 중심으로 이끌었고, 20세기 동서양의 중국학계를 둔황학으로 향하게 했다. 1909년 프랑스로 돌아온 1911년부터 그는 콜레주 드 프랑스(Collee de France)에서 중앙아시아, 역사, 문화, 언어의 교수로 활동했고 1920년부터는 유럽 중국학의 산실인 『통보(T’oung Pao)』를 앙리 꼬르디에(Henri Cordier)와 함께 편집했으며, 이듬해에는 금석문 및 문학 아카데미(Acade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의 임원으로 선출되었고 1930년부터는 파리 엔느리(Ennery) 박물관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