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잘하는 사람은 분명히 보통 사람과는 다른 방식으로 공부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가 공부를 못하는 이유가 머리가 나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죠. 그리고, 천재는 태어나면서부터 선천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 속에서 특수한 환경에 자주 노출되면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Contents
책을 쓰면서
1장 ST에 관해서
○ 세 가지 공부법 핵심 정리
○ 세 가지 공부법
1. 「1번 공부법」
2. 「2번 공부법」
3. 「3번 공부법」 --- 빨리 공부해야 할 때, 중요한 시험 볼 때
○ ST를 쏘고 맞는다는 개념
○ ST의 중요성
○ 천재란?
○ 마음속 자동설정
○ 중요한 결정을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나?
○ 중요한 시험을 볼 때 잘 볼 수 있는 방법
○ 과목마다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
○ 부모가 자녀의 공부를 도와주고 싶다면?
○ 몸의 컨디션을 회복시키는 방법
○ 속마음의 ST
○ 공부할 때 발생하는 ST 장(field)이란?
○ ST를 얼마나 자주 쏘아야 하나? 또한 상대방이 공부를 안 하고 다른 일을 한다면?
○ 세상 물정 모르는 순수하고 순진한 학생은 (이 학생을 A라 하자) 어떻게 공부하나요?
2장 머릿속으로 그리는 Review(리뷰)에 관해서
○ 한 번 공부 시작하면 얼마나 쭉 해야 하나요? 공부한 후에는 리뷰도 해야 하나요?
○ 반드시 30분 공부해야 하나요?
○ 쉴 때는 왜 편안하게 쉬어야 하며, 왜 ST를 쏘고 맞지 않아야 하나요?
○ 뇌 과학적 조사가 필요한가요?
○ 그러면 리뷰는 몇 번 해야 하나요?
○ 연구는 어떻게 하나요?
○ 리뷰를 전부 다 했어요, 그러면 어떻게 하나요?
○ 리뷰(review)에 대해서 다시 한번 얘기해 주세요
3장 새로운 환경에서의 학습
○ 물리학에서 새로운 환경
○ 영어 리스닝 공부에서 새로운 환경
○ 수학에서 새로운 환경
○ 좀 더 많은 새로운 환경의 예를 들어보자
○ 세상 물정 모르는 순진하고 순수한 사람(=A)은 공부를 어떻게 하나요?
○ 새로운 환경들에서 공부할 때 좀 더 굉장히 강렬하게 하려면?
Author
정호용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8년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졸업하였다. 젊은 시절에 많은 방황을 하였고, 사회적응도 하기 힘들었다. 그러던 중에 세라믹기술원 학생연구원으로 1년 정도 근무하고, 근데 나에겐 방황이었는데 나의 천재성은 향상되었던 것이다. 지금 돌이켜 생각하면 그렇다. 그리고 이제 조직 사회에 들어가긴 싫다. 2018년 중앙대 화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이 책을 쓰기 위해 연구했다. 이 책이 나오게 되어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다.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8년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졸업하였다. 젊은 시절에 많은 방황을 하였고, 사회적응도 하기 힘들었다. 그러던 중에 세라믹기술원 학생연구원으로 1년 정도 근무하고, 근데 나에겐 방황이었는데 나의 천재성은 향상되었던 것이다. 지금 돌이켜 생각하면 그렇다. 그리고 이제 조직 사회에 들어가긴 싫다. 2018년 중앙대 화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이 책을 쓰기 위해 연구했다. 이 책이 나오게 되어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