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별의 순간을, 와이낫

효과적 학습과 폭발적 창조의 뇌과학적 핵심 원리
$15.12
SKU
979116545738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31 - Thu 02/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8 - Thu 01/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20
Pages/Weight/Size 152*224*20mm
ISBN 9791165457389
Categories 자기계발
Description
‘기억 메커니즘’ 등의 새로운 뇌과학적 발견들은 우리 두뇌를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글들은 두뇌의 작동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두뇌의 가장 핵심적 기능인 학습, 탐구, 창조 과정의 과학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과정을 뇌신경의 간단한 등가회로 모델과 피드백 개념을 이용하여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였다.

쉬운 모델을 통한 두뇌 작동 설명은 우리에게 미처 깨닫지 못하던 뇌의 무한한 잠재력을 이해하게 하고 삶의 동기를 불러일으키고 삶의 의미와 비전을 재조명할 수 있게 한다. 또 두뇌의 과학적 이해는 특히 청소년들에게 (실제 청소년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향상심을 고취하고 자기계발에 자신감을 갖게 하는 글들이다.

Contents
프롤로그
나도 별의 순간을, 와이낫(why not)

제1장 뇌가 전하는 메시지

1 뇌에 대한 나의 관심
2 뇌과학은 현재 어떤 질문에 답을 줄 수 있을까?
3 뇌가 깔아놓은 잠재력의 운동장

제2장 두뇌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

1 메시지는 좋으나 나와는 거리가 좀
2 왜 나는 기억력의 한계를 느끼는가
3 ‘생각대로 이루어진다’ 메커니즘 I
4 ‘생각대로 이루어진다’ 메커니즘 II
5 ‘정말로 마음먹기’와 정주영 회장
6 별의 순간을 잡아라

제3장 뇌신경의 구조와 인식 작용

1 시각 인식 작용과 모호성
2 뇌기능의 국지성과 분산처리

제4장 자유정신과 두뇌의 취약성

1 무엇이 나를 날지 못하게 하는가?
2 뇌과학 관점의 긍정 낙관의 힘
3 뇌과학 관점의 자녀교육 이중성
4 타성의 법칙, 관성의 법칙
5 정자세
6 주삿바늘 공포, 공포의 패턴

제5장 양의 피드백: 배움과 창조의 폭발성

1 나를 춤추게 하는 양의 피드백 신호
2 릴랙스의 창조 효과
3 첫 칭찬 기억
4 나비효과

제6장 생활 속 뇌과학

1 백 가지 생각 중 하나를 딱 집어내기
2 학이시습, 배우고 때때로 익히다
3 정말로 사소한 습관 하나가
4 계시는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5 펜과 진펜사
6 요술램프 지니와 인생의 의미
7 살라미 행복, 진화의 축복
8 슬픔의 승화, 반전의 계기
Author
방형찬
워싱턴대(시애틀) Ph. D. 그리고 콜로라도대, 메릴랜드대에서 연구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교수 (1983~2011)
동경대 방문교수 (1993~1994)
일본 고에너지연구소(KEK)에서 20여 년간 연구책임자로 실험 프로젝트들(PS E307, E508, Jparc E18)을 수행하며 최고의 학술지 PRL(Physical Review Letters) 등 SCI 저널에 많은 연구 결과를 발표

주요 업적: 희귀핵(람다 하이퍼핵)의 생성과 붕괴에 관해 연구. 난제였던 탄소 람다하이퍼핵 붕괴폭 문제를, 3체 붕괴폭을 최초로 측정함으로써(PS E508 실험) 해결하여 동핵의 붕괴폭들 을 결정하여 PRL(2009)에 발표
워싱턴대(시애틀) Ph. D. 그리고 콜로라도대, 메릴랜드대에서 연구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교수 (1983~2011)
동경대 방문교수 (1993~1994)
일본 고에너지연구소(KEK)에서 20여 년간 연구책임자로 실험 프로젝트들(PS E307, E508, Jparc E18)을 수행하며 최고의 학술지 PRL(Physical Review Letters) 등 SCI 저널에 많은 연구 결과를 발표

주요 업적: 희귀핵(람다 하이퍼핵)의 생성과 붕괴에 관해 연구. 난제였던 탄소 람다하이퍼핵 붕괴폭 문제를, 3체 붕괴폭을 최초로 측정함으로써(PS E508 실험) 해결하여 동핵의 붕괴폭들 을 결정하여 PRL(2009)에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