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이 조선의 네 번째 왕으로 등극하시던 시기에 조선에서는 당시 명나라였던 중국의 한자를 썼습니다. 그래서 말과 글자가 서로 다르니 백성은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어도 쉽게 전하지 못한 것을 가엽게 여긴 세종대왕은 1443년, 새로운 글자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만들었습니다. 훈민정음을 만들어 모두가 함께 사용하기를 바랐던 세종대왕의 뜻과 달리 최만리를 비롯한 많은 신하는 명나라를 섬기는 조선에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은 오랑캐나 하는 것이라면서 강력하게 반대했습니다. 또한, 양반 사대부도 한자 사용에 익숙했었기 때문에 새로운 글자를 만들 필요 없다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글자를 ‘암글’ 또는 ‘아햇글’이라면서 비하했습니다. 그렇지만, 세종대왕은 이를 지혜롭게 물리치시고 자음 17자와 모음 11자 모두 스물여덟 자인 훈민정음으로 『용비어천가』를 정인지와 권제, 안지 등에 편찬하게 한 뒤 1446년 9월에 새롭게 만든 글자의 창제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전체 33장으로 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정식으로 반포했습니다. 이 중 26장이 훈민정음에 대한 풀이[해]와 예시[례]를 담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훈민정음 해례본』이라고 합니다.
Contents
시작하는 말
추천하는 글
차례
이 책의 특징과 미리 알아두면 좋을 내용 정리
첫 번째 훈민정음에 대해서 먼저 알아볼까요?
하나 세종대왕은 어떤 왕일까요?
둘 훈민정음 해례본은 무슨 책인가요?
셋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떻게 발견되었나요?
넷 훈민정음 창제 때 세종 대왕을 도와준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다섯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여섯 훈민정음을 다르게 부른 이름은 어떤 것이 있나요?
일곱 훈민정음의 자모음 이름은 누가 지었나요?
두 번째 훈민정음 해례본을 쉽게 풀이해 볼까요?
하나 훈민정음 창제 이유와 목적[어제 서문]
둘 새로운 글자 보기와 뜻 간단 소개[예의]
셋 글자를 만듦에 대한 풀이[제자해]
넷 첫소리에 대한 풀이[초성해]
다섯 가운뎃소리에 대한 풀이[중성해]
여섯 끝소리에 대한 풀이[종성해]
일곱 글자를 어울려 쓰는 방법에 대한 풀이[합자해]
여덟 실제 글자를 사용하는 보기[용자례]
아홉 훈민정음의 우수성과 편찬자 등[정인지 서문]
《훈민정음 해례본》 집필에 참여한 8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