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격(巫覡)’은 신과 인간의 중재자이다. 무격은 신과의 소통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무의 역할을 찾기 위해서는 소통이 관건이 된다. 신과 무격의 소통을 통해 치병이나 祈雨, 원한의 치유 등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즉, 무격의 역할은 ‘소통을 통한 치유’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인간의 정신과 육체의 치유는 물론이고 지구적 치유를 ‘소통’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는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라는 말을 곧잘 듣는다. 자연의 소리란 곧 하늘(신)의 소리이며, 이것은 결국, 인간의 소리이다. 그 소리를 전해 주는 존재가 바로 무격(巫覡)인 것이다.
Contents
I. 序論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동향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Ⅱ. 巫覡의 기원과 전개
1. 무격의 기원론과 고유성
2. 무격의 종류
1) 신내림에 의한 분류
2) 전문성에 의한 분류
3. 무격의 전개
1) 고대사회 무격의 원형
2) 고려시대 占卜을 통한 국가정책 반영
3) 조선시대 淫祀 비판과 무격의 배제
1. 司祭와 神靈의 뜻 전달 기능
1) 사제적 기능
2) 神靈의 뜻 전달과 神堂 관리의 기능
2. 豫言과 기우제 주재의 기능
1) 예언과 점복의 기능
2) 농경문화와 기우제의 주재 기능
3. 醫療와 놀이의 기능
1) 주술적 의료의 기능
2) 가무와 놀이의 기능
Ⅴ. 巫覡信仰의 특징과 과제
1. 무격신앙의 특징
1) 무격신앙의 의례적 특징
2) 무격신앙의 미학적 특징
3) 무격신앙의 종교적 특징
2. 무격신앙의 과제
1) 무격 불신 역사의 극복
2) 기복신앙 극복
3) 저주와 주술적 이미지 극복
4) 무격 대중화의 과제
Ⅵ. 結論
參考文獻
1.원전
2. 단행본
3. 논문류
1)학위논문
2)연구논문
4.기타
부록
Author
한규진
전공
명리학, 관상, 수상학, 타로점성학, 성명학
학력
원광대학교 동양학석사 졸업
원광대학교 한국문화동양학박사 졸업
현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명리학 외래교수
호산 역학연구원 운영
집필
「大韓民國의 四柱에 대한 硏究」_원광대학교 석사 논문
「韓國巫覡에 대한 硏究」_원광대학교 박사논문
『?南子』의 陰陽五行에 관한 고찰_원광대학교동양학연구소
巫覡의 役割과 統制_원불교사상연구원
『실전에 강한 명리학』 도서출판 부크크 간행
『실전 타로』 도서출판 부크크 간행
전공
명리학, 관상, 수상학, 타로점성학, 성명학
학력
원광대학교 동양학석사 졸업
원광대학교 한국문화동양학박사 졸업
현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명리학 외래교수
호산 역학연구원 운영
집필
「大韓民國의 四柱에 대한 硏究」_원광대학교 석사 논문
「韓國巫覡에 대한 硏究」_원광대학교 박사논문
『?南子』의 陰陽五行에 관한 고찰_원광대학교동양학연구소
巫覡의 役割과 統制_원불교사상연구원
『실전에 강한 명리학』 도서출판 부크크 간행
『실전 타로』 도서출판 부크크 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