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는 민주적인가요?
그런데 민주적인 학교란 도대체 무엇일까요?
‘교육’이 아닌 ‘삶’으로 배우는 학교자치!
‘학교민주주의’, ‘교육자치’, ‘학교자치’는 계속해서 교육계의 화두다. 또한 교육의 목적을 민주 시민 양성에 두고 자치에 관심을 갖는 교사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자치’라는 개념이 갖는 다양성과 무게감 때문에 자치를 실천하기란 쉽지 않다. 이런 현실에서 광주광역시 상무초등학교 김경희 외 9명의 교사가 ‘자치’라는 공통 관심사로 모여 전문적 학습 공동체로 활동한 결과를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자치가 어렵게만 느껴지는 교사들, 새로운 자치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싶은 학교 관계자들에게 이 책 『교사, 자치로 깨어나다』를 추천한다.
Contents
프롤로그 - 자치로 깨어나는 행복 여행
1장 학생자치, 넌 누구니?
학생자치가 뭐예요?
학생자치, 학생인권에서 출발한다
학생인권, 인간의 존엄성에서 시작된다
선생님이 우리가 학교의 주인이라고 했어요
교사가 말하는 학교의 주인, 학생이 이해한 학교의 주인
우리 학생들이 달라졌어요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
학생자치, 결과가 아닌 과정
어떻게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을까?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학생자치를 위한 두 가지 소통의 기술
학생과 하나가 되어보는 경험
나로부터 시작하는 변화
2장 우리 반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요
원모양 좌석 배치가 바꾼 수업 분위기
쉬는 시간 놀이 문화를 바꾸다
우리가 팽이놀이 규칙을 만들게요
아이디어가 샘솟는 포스트 잇 사용법
나만의 인사법으로 기분 좋은 아침을
학급문고, 학생들이 직접 골라요
칠판 청소만 세 명이라고?
화장실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다
선생님의 훈계보다 강한 친구들의 말
다툼을 학생들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을까?
감정에 빠지지 않고 다툼을 해결하는 법
우리 반 학급 회의를 소개합니다
3장 ‘우리’를 함께 고민하는 학생자치
교사와 학생이 함께 하는 학생자치활동
상바시 프로젝트, 어떻게 진행되나요?
학년 축제가 된 상바시 프로젝트
학년 연계 프로젝트, 고소한 오일
전 학년이 함께 풀어낸 놀이 공간 문제
30명의 학생들이 회의를 한다면?
5학년과 6학년이 싸웠어요
학기말, 학생 교육과정 평가회
6학년이 학생들을 인터뷰한 이유
대한민국 어린이 국회동아리
4장 전교학생자치회, 새롭게 바꿔봐요
학생자치업무는 누가 맡아야 할까
리더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닌 것 같아요
공약을 만드는 과정도 교육의 기회
달라진 전교어린이회의
회의 안건, 무엇이 좋을까?
건의사항, 언제 어디에서 말해야 할까?
학생참여예산제, 초등학생도 가능하다
학생들이 스스로 준비하는 동아리 발표회
캠페인 활동, 무엇을 목적으로 해야 할까
효과적인 학생 캠페인 활동
5장 학생자치는 교사자치에서 시작된다
학생자치활동으로 성장하는 교사
시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전략
어머니, 저 믿으시죠?
반 전체가 아닌 한 명 한 명을 바라보자
교사의 두려움은 학생의 자율성을 막는다
교직원 간의 소통, 어떻게 시작해볼까?
회의를 위한 규칙 만들기
학교 공개 워크숍이 알려준 것
행복한 수업 탐구 공동체
워라밸 사회, 나는 어디쯤에 있을까?
설득과 타협으로 균형 이루기
교장선생님이 인생 선배가 될 수 있을까?
6장 이런 정책, 우리 함께 만들어볼까요?
학사력에 자치활동 1년 계획 세우기
학생자치역량강화워크숍과 교사 연수를 함께한다면
강의 시작 5분 전
교사연수를 따뜻한 만남으로 디자인하다
반 친구 모두가 함께하는 학생자치 워크숍
작은 개인 공간이 필요한 이유
교사자치와 학부모자치가 하나되다
현장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끄는 법
학생자치, 참관이 아닌 참여
느린 우체통 편지
에필로그 -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하며
Author
김경희
광주상무초등학교 교사이며 교육부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 인권교육 강사,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인성교육 선도교사로 활동하였다. 학생자치역량 강화 워크숍 및 리더십캠프, 회의진행법, 후보자 교실, 유권자 교실, 학생자치 코칭직무연수 등을 기획하고 진행하면서 교사와 학생이 학교의 주인,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주체성과 독립성 신장 방안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어떻게 사는 것이 잘사는 것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교사로서 학생인권에 기초한 학생자치활동을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교사들과 실천해오고 있다.
광주상무초등학교 교사이며 교육부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 인권교육 강사,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인성교육 선도교사로 활동하였다. 학생자치역량 강화 워크숍 및 리더십캠프, 회의진행법, 후보자 교실, 유권자 교실, 학생자치 코칭직무연수 등을 기획하고 진행하면서 교사와 학생이 학교의 주인,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주체성과 독립성 신장 방안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어떻게 사는 것이 잘사는 것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교사로서 학생인권에 기초한 학생자치활동을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교사들과 실천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