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학, 역사학, 민속학, 한학에 이르기까지
식물의 전 분야를 집대성한 국내 유일무이한 식물의 실용 인문서!
이 땅에 게으른 식물은 없다. 씨를 뿌리거나 물을 주는 사람이 없어도 식물은 홀로 의연하게 씨를 맺고 꽃을 피우며 열매 맺는다. 하찮아 보이는 한 포기의 풀도 주어진 환경을 탓하지 않고 가치 있는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 이처럼 부지런한 식물은 우리에게 중요한 자원과 먹을거리가 되고, 또 몸과 마음을 치유해주는 약을 선물하지만 우리는 무분별한 식물 채취로 자연을 병들게 하고 있다.
이 책은 지난 40여 년간 전국의 명산과 절해고도를 다니며 기록한 식물의 치열한 생장 과정그 자체이자, 역사 속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식물의 설화를 담은 비망록이다. 소박하고 겸손한 식물의 일대기를 통해 독자들은 식물의 소중함과 환경의 중요성을 깨닫게 될 것이다.
Contents
저자의 말 - 꽃으로 만드는 평화로운 사회 4
봄
얼레지 -하늘을 향한 눈부신 날갯짓 16
민들레 - 뿌리에서 느끼는 쌉쌀한 맛 23
복수초 - 수복강녕의 염원을 담은 꽃 30
노랑제비꽃 - 천사의 마음을 가진 고운 자태 37
둥굴레 - 숲에서 들려오는 요정들의 종소리 44
앉은부채 - 얼음을 뚫고 솟아오른 고깔 54
머위 - 담장 밑에서 찾은 봄의 미각 61
선씀바귀 - 겨우내 잃었던 입맛을 되찾아준 산채 68
고사리 - 차례상의 맨 윗자리에 오른 산채 76
수선화 - 신선을 닮은 해맑은 꽃송이 84
할미꽃 - 양지바른 언덕에서 봄을 기다리며 92
금낭화 - 숲속의 비밀을 간직한 비단 주머니 98
미치광이풀 - 벨라돈나가 준 사랑의 묘약 106
띠 - 서정이 담긴 고독한 음료 114
산달래 - 요리의 맛을 살려내는 향신료 120
여름
여뀌 - 물을 맑게 걸러주는 천연 필터 128
울금 - 잎사귀에 떨어지는 낙숫물 소리 134
참나리 - 나리 나리 우리 뫼나리 144
피마자 - 기름이 가득한 얼룩무늬 씨알 153
마름 - 호수 위에 뜬 녹색 비단 자락 160
천남성 - 별나라의 비밀을 간직한 약초 169
꽃창포 - 연못에 나부끼는 푸른 깃발 178
원추리 - 장독대에서 살아난 어머니의 넋 187
하늘타리 - 새하얀 레이스 차림으로 새벽을 여는 꽃 197
부들 - 굽힐 줄 모르는 굳건한 자세 204
창포 - 여인들이 즐겨 찾았던 방향식물 214
순채 - 연못에서 건져 올린 전통의 맛 222
연꽃 - 겨레의 마음속에 피는 성스러운 꽃 233
수련 - 고구려고분에서 살아난 천상계의 꽃 245
박 - 달빛이 몰래 키운 커다란 열매 255
마늘 - 요리의 맛을 내는 대표적인 향신료 264
참깨 - 많은 양을 변화시키는 작은 씨앗 276
파초 - 넓은 잎사귀에서 울리는 거문고 소리 286
명아주 - 종이처럼 가볍고 무쇠처럼 단단한 지팡이 298
상사화 - 인쇄술을 향상시킨 자원식물 305
범부채 - 길섶에서 날아오른 호랑나비 313
엉겅퀴 - 영토를 지키는 초원의 파수꾼 321
호박 - 풍요와 다산의 염원을 품은 황금 열매 328
벼 - 5천 년의 재배 역사를 지닌 주곡 339
콩 - 밭에서 얻은 부드러운 고기 346
마 - 수천 년을 이어온 구황식물 356
인삼 - 사람을 살리는 신선의 명약 364
쑥 - 사자 발을 닮은 향기로운 이파리 373
맥문동 - 지면을 뒤덮은 초록빛 카펫 380
가을
국화 - 시인 묵객들의 작품 소재가 된 가을꽃 390
쑥부쟁이 - 가을을 아쉬워하는 보랏빛 들꽃 398
구절초 - 찬 서리를 이겨내는 향기로운 약초 405
갈대 - 바람을 잠재우는 부드러운 손길 414
참당귀 - 세시歲時에 돋아난 향기로운 새싹 423
곰취 - 말발굽을 닮은 산나물의 제왕 431
투구꽃 - 자연물 중에서 가장 완벽한 독초 438
왕고들빼기 - 생채로 할 수 있는 맛있는 산나물 445
금강초롱꽃 - 한국을 대표하는 하늘빛 초롱 452
억새 - 자연을 극복하는 강인한 의지 462
참고 문헌 471
Author
오병훈
1984년부터 원로 식물학자 고 이창복 박사 문하에서 식물분류학을 익히고 전국의 명산과 도서 벽지를 누비며 자생식물을 연구해왔다. 남쪽 한라산과 북쪽 백두산, 동해의 울릉도와 서해의 홍도 그리고 백령도까지 직접 발로 뛰면서 우리 꽃, 우리 나무의 아름다움을 사진에 담고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 작업에 몰두했다. 현재 한국수생식물연구소 대표이자 한국수생식물연구회 회장이며 한국식물연구회 명예회장이다. 저서로는 《꽃이 있는 삶》 《서울 나무 도감》 《살아 숨 쉬는 식물 교과서》 《한국의 차그림 다화茶畵》 《서울의 나무, 이야기를 새기다》 등이 있으며 현대수필문학상, 종로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1984년부터 원로 식물학자 고 이창복 박사 문하에서 식물분류학을 익히고 전국의 명산과 도서 벽지를 누비며 자생식물을 연구해왔다. 남쪽 한라산과 북쪽 백두산, 동해의 울릉도와 서해의 홍도 그리고 백령도까지 직접 발로 뛰면서 우리 꽃, 우리 나무의 아름다움을 사진에 담고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 작업에 몰두했다. 현재 한국수생식물연구소 대표이자 한국수생식물연구회 회장이며 한국식물연구회 명예회장이다. 저서로는 《꽃이 있는 삶》 《서울 나무 도감》 《살아 숨 쉬는 식물 교과서》 《한국의 차그림 다화茶畵》 《서울의 나무, 이야기를 새기다》 등이 있으며 현대수필문학상, 종로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