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그렇듯 ‘나의 집’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할 때쯤이면 살기 좋은 곳, 살기 좋은 건물을 찾기 시작한다. 그러나 건설경제에 관심을 가지는 이들은 얼마나 존재할까. 건설경제의 현장과 현 문제점을 낱낱이 파헤쳐 가감 없이 짚으면서도, 집과 도시라는 사람이 사는 공간을 보다 더 쾌적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나가는 일이야말로 건설경제의 본래 기능이라고 말하는 저자의 넓은 안목을 이 책 『건설경제의 어제와 오늘』을 통해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그림 색인
표 색인
발간사
제1편 건설경제의 현주소
01장 건설경제, 무엇이 문제인가?
02장 국민계정으로 본 건설경제: 건설생산과 건설투자
건설생산
건설투자
건설생산과 건설투자의 관계
03장 기업활동으로 본 건설경제: 건설수주와 건설기성
하도급
건설수주, 건설기성, 건설생산, 건설투자의 상호관계
잠깐만 1 생산의 본질, 가치란 무엇인가?
제2편 건설경제의 생산물 1 - 집
04장 우리는 얼마나 많은 집을 지었고, 지어야 하나?
주택보급률
주택보급률 120%를 달성하려면
05장 아파트의 씨앗, 국민주택
주택의 면적과 유형
06장 한국의 집, 아파트
아파트의 명과 암
07장 집값 1 - 집값의 공공연한 비밀
08장 집값의 역사
09장 집값 2 - 경제규모와 집값
우리가 지어야 할 집은?
잠깐만 2 집값의 역사(1969~1985년)
제3편 건설경제와 노동
14장 도시와 인프라
인프라의 바로미터, 도시의 지하
우리나라 인프라의 실상
15장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어떻게 만들어졌나?
도시의 생명
우리나라 도시화의 과정
우리나라 도시화의 특징
16장 살리는 도시, 죽이는 도시
인구감소: 안동, 임실 → 지역성 확보와 인구증가
서울 교외화: 성남 → 재건축 재개발의 공공성 강화
자원도시의 몰락: 고한·사북 → 도시 재활
제5편 건설경제와 금융
17장 사라진 금융, 나타난 금융
건설업 여신이 급감한 지난 10년
건설업 생산양식의 변화
건설금융의 변화
18장 건설경제에 부는 금융 방식의 변화
자산유동화
메자닌 채권의 확산
건설·부동산 특화 금융의 활성화(Reits, 부동산펀드, 부동산신탁)
19장 건설금융의 혁신
금융제도: 사업성평가와 금융의 결합
금융기관: 지역개발금융센터
금융시장: 공급자 다변화와 진입장벽 완화
20장 건설경제의 미래
Author
김갑진
어린 시절 태백선, 중앙선, 영동선 기차를 자주 탔다. 태백산맥 줄기를 따라 안동과 고한을 오르내리며 자랐다. 1992년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KAIST 금융전문대학원에서 금융공학을 전공하였고(MBA) 현재 서울시립대 일반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1999년 건설공제조합에 입사했다. 건설생산, 건설금융 등과 인연을 맺고 건설경제의 일면들을 보고 있다. 2011년에 『건설보증론』(공저)을 저술하였다.
어린 시절 태백선, 중앙선, 영동선 기차를 자주 탔다. 태백산맥 줄기를 따라 안동과 고한을 오르내리며 자랐다. 1992년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KAIST 금융전문대학원에서 금융공학을 전공하였고(MBA) 현재 서울시립대 일반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1999년 건설공제조합에 입사했다. 건설생산, 건설금융 등과 인연을 맺고 건설경제의 일면들을 보고 있다. 2011년에 『건설보증론』(공저)을 저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