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월원각

대한불교 천태종 창종조
$28.75
SKU
97911620127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1/25
Pages/Weight/Size 160*225*30mm
ISBN 9791162012703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난세에 상실한 불교의 가치를
새 불교운동으로 다시 일으킨 시대의 선구자
상월원각대조사의 삶과 수행을 돌아보다


서울 성룡사 주지 세운 스님이 근현대 한국불교의 중흥을 이끈 상월원각대조사의 일대기를 집대성한 『대한불교 천태종 창종조 상월원각』을 출간했다.

『상월원각』은 세운 스님이 2016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당시 발표한 논문 「상월 원각의 연구-천태종 중창과 새 불교운동」의 내용을 재구성한 것이다. 불경 원전, 단행본, 논문 등 기존에 발표된 130여 종의 관련 자료와 인터뷰, 구술, 답사 등을 통해 얻은 내용을 총망라해 상월원각대조사의 생애 전반과 수행, 사상, 천태종단의 발전사를 꼼꼼하게 기록했다.
Contents
서문 _004

제1장 근현대 한국불교를 중심으로 한 시대적 배경
제1절 조선시대 억불숭유 정책하에서의 불교 _015
1.조선시대 역대 왕조의 배불정책
2.조선시대 말 불교의 피폐상
제2절 구한말과 일제 식민지배하에서의 불교 _023
1.구한말 일본불교의 조선 진출과 도성해금
2.일제의 식민지배와 조선총독부의 사찰령
3.서구에서 발단한 근대 불교학의 도래
4.근대에 주창된 여러 가지 불교의 혁신책
제3절 해방 이후 혼란기와 다종교사회의 도래 _034
1.남한에 주둔한 미군정의 불교정책
2.이승만 정권하에서의 한국불교계
3. 5·16 군사정권과 불교재산관리법
소 결 _047

제2장 구인사 정착 이전 대조사님의 생애
제1절 상월원각대조사님의 생애에 관한 기록들 _053
1.『천태종약전』과 『천태종성전』
2.「상월원각대조사비문」과 「적멸궁비문」
3.『상월원각대조사 오도기략』과 기타 자료
제2절 상월원각대조사님의 탄생과 성장 과정 _062
1.상월원각대조사님 탄생에 얽힌 설화
2.한학 교육과 조부님의 죽음
제3절 출가의 계기가 되는 최초의 백일기도 _069
1.삼태산에서의 백일 천수다라니 기도
2.백일기도로 성취한 이적의 능력
제4절 출가와 국내외 순례 및 중생구제행 _075
1.출가와 국내외 순례를 통한 수도생활
2.귀국 후 강원도 등지에서의 중생구제행
소 결 _082

제3장 구인사 창건과 수행 및 대각의 성취
제1절 구인사 창건과 최초의 대중결사 _087
1.소백산 정착과 구인사의 창건
2.구인사 대중들의 수행생활
3. 6·25 동란 중 마곡사로의 피난과 귀사
제2절 상월원각대조사님의 수행과 대각의 성취 _101
1.대조사님의 본격적인 수행
2.깨달음의 성취와 오도송
3.대각 이후 대조사님의 행적
소 결 _116

제4장 천태종 중창과 새 불교운동
제1절 천태종 중창선언과 종단설립의 과정 _122
1.천태종 중창선언과 천태종대각불교 시절
2.대한불교천태종으로의 개명과 종헌·종법 선포
제2절 『개종이념과 교지요강』 속 천태종 중창의 취지 _128
1.천태종의 기원과 고려 천태종의 의의
2.새로운 종단을 건립하는 목적
3.천태종대각불교가 나아갈 길
제3절 「대조사 교시문」과 대한불교천태종의 지향점 _144
1.「대조사 교시문」 전문의 내용
2.삼대강령에 입각한 실천과제
3.삼보에 대한 재해석, 인간·생활·사회
소 결 _164

제5장 출·재가를 위한 새로운 수행법
제1절 천태종 출·재가 공통의 계율, 십선계 _170
1.십선계의 구체적 내용과 그 성격
2.십선계 채택의 불교사적 의의
3.십선계를 수지하는 올바른 태도
제2절 관음주송 수행법과 대중적인 반향 _181
1.불교수행 일반의 신비성 문제
2.관음주송 수행의 구체적 방법
3.관음주송의 여러 가지 공덕
소 결 _201

제6장 새 불교운동을 위한 구체적 지침
제1절 대중불교, 대중이 주체가 되는 대승교단 _207
1.대중불교에 대한 원론적 정의
2.불교혁신 방안으로서 대중불교의 의의
제2절 생활불교, 삶의 현장에 구현되는 불법 _219
1.생활불교에 대한 원론적 정의
2.신앙회복 방안으로서 생활불교의 의의
제3절 애국불교, 민주시대에 걸맞은 복지사회 건설 _229
1.애국불교에 대한 정의와 그에 대한 추론
2.불교의 사회화를 위한 올바른 애국불교
소 결 _245

제7장 본격적인 종단체계 구축
제1절 총본산 가람 정비와 수행풍토 조성 _251
1.총본산 구인사의 가람 정비와 조림사업
2.천태종 고유의 수행풍토와 종교문화 조성
제2절 전국적인 조직 구축과 그를 도운 인사들 _268
1.중앙신도회 구성과 말사 신도회 운영
2.대조사님을 보필했던 인물들
제3절 대조사님의 입적과 유훈으로 진행된 사업 _275
1.대조사님 입적에 즈음해 보이신 행적
2.대조사님의 유훈으로 완성된 사업
3.불국토 건설을 위한 천태종의 사회사업
소 결 _288

제8장 상월원각대조사님의 종교사상
제1절 대조사님 가르침에 나타나는 불교사상 _294
1.무사독행과 체험적 통찰에 의한 가르침
2.불교 근본교리에 대한 대조사님의 이해
3.『법화경』 사상과 천태교의에 대한 이해
제2절 「대조사 법어」에 담긴 깨달음의 내용 _328
1. ‘실상은 무상’이란 문구에 대한 해석
2.「법어」의 인식론·존재론·가치론적 체계
3.실상에 대한 통찰과 처염상정의 인생관
소 결 _350

제9장 맺음말
제1절 천태종 중창의 불교적·사회적 의의 _356
제2절 천태종 새 불교운동의 향후 과제 _362
1.영험靈驗의 원력, 교화의 방편方便
2.가피 영험담
3.신행수기

참고문헌 _370

부록 믿음을 일으키는 글
1. 영험靈驗의 원력, 교화의 방편方便 _380
2. 가피 영험담 _387
3. 신행수기 _397
Author
세운
1960년 평창 출생으로 1978년 대한불교 천태종 제2대 종정 남대충 대종사를 은사로 구인사에서 출가했다. 1983년 구인사 강원을 수료했으며, 2015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과정을 수료했다.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일반대학원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전공했다. 2016년 논문 「상월원각대조사님의 연구-대한불교 천태종의 중창과 새불교 운동을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총무원 교육부 교육부장, 금강대학교 총무처장, 제13?15대 종의회 의원, 대구 대성사, 청주 명장사, 대전 광수사, 울산 정광사, 서울 삼룡사, 인천 황룡사 외 20여 사찰의 주지, 서울 관문사 부주지를 역임했으며, 현재 제16대 종의회 부의장, 삼광사 주지, 정법사 주지, 해영사 주지, 부산광역시불교연합회 수석부회장, 부산불교복지연합회 이사, 천태종복지재단 부산지부장, 부산지방경찰청 경승, 부산장애인총연합회 고문으로 활동중이다.

『천태소지관』, 『초발심자경문』, 『천태대사제참법』 을 번역했으며, 『가려 뽑은 법화경 명구』 외 다수를 편찬했다.
1960년 평창 출생으로 1978년 대한불교 천태종 제2대 종정 남대충 대종사를 은사로 구인사에서 출가했다. 1983년 구인사 강원을 수료했으며, 2015년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과정을 수료했다.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일반대학원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전공했다. 2016년 논문 「상월원각대조사님의 연구-대한불교 천태종의 중창과 새불교 운동을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총무원 교육부 교육부장, 금강대학교 총무처장, 제13?15대 종의회 의원, 대구 대성사, 청주 명장사, 대전 광수사, 울산 정광사, 서울 삼룡사, 인천 황룡사 외 20여 사찰의 주지, 서울 관문사 부주지를 역임했으며, 현재 제16대 종의회 부의장, 삼광사 주지, 정법사 주지, 해영사 주지, 부산광역시불교연합회 수석부회장, 부산불교복지연합회 이사, 천태종복지재단 부산지부장, 부산지방경찰청 경승, 부산장애인총연합회 고문으로 활동중이다.

『천태소지관』, 『초발심자경문』, 『천태대사제참법』 을 번역했으며, 『가려 뽑은 법화경 명구』 외 다수를 편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