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냉전 이후 다시 한번 새로운 냉전 시대로 돌입하고 있는 오늘날, 우크라이나전쟁 이외에도 전 세계전역에 분쟁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사실 돌이켜보면 국가라는 개념이 생기고 난 후 인류 역사에서는 전쟁과 분쟁이 지속되었고, 분쟁을 어떻게 관리하여 개별국가뿐만 아니라 국제사회가 평화를 구축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늘 가져왔다.
분쟁에 있어 중요한 용어는 분쟁 관리와 분쟁 해결 개념이다. 이 두 개념 모두 소극적 평화(폭력이나 전쟁의 부재)를 추구한다. 분쟁 해결은 여기서 더 나아가 ‘적극적 평화(사회정의 달성, 폭력의 원인 제거)’까지 추구한다. 그러나 분쟁관리와 분쟁해결은 상호연관 관계에서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평화를 이루려고 한다.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국제분쟁관리』는 분쟁과 관련하여 국제정치, 외교정책에서 다루는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즉 북핵 문제가 등장하고 국제사회가 ‘제재’를 하고, 19790년대 중동분쟁, 1990년대 유고분쟁에서는 국제사회가 ‘중재’를,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2003년 미국의 이라크 공격에서 국제 ‘개입’의 문제가 제기되며, 분쟁 지역에 평화유지군이 파견되어 평화활동을 하는 등 다양한 핵심 주제를 이 책에서 다루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무인무기의 발전이 이야기되고 인공지능의 대단함과 그 위험성도 동시에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내전, 국제화된 내전, 국가 간 전쟁 등 국제분쟁의 수와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분쟁을 어떻게 완화하고 폭력을 중단할 것인지, 초기 분쟁 관리 실패의 원인은 무엇인지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제기하며 분쟁과 분쟁관리의 중요성을 협상, 조정, 중재, 판결, 평화활동, 제재, 군사적, 인도적 개입과 같은 여러 가지 접근 방식과 요인들을 통해 설명한다. 휴전 상황인 한국 역시 이 평화문제에 대한 관심을 늘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제분쟁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고민함으로써 앞으로의 평화문제를 함께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역자서문
1장 국제분쟁관리의 소개
분쟁관리 대 분쟁해결
책의 개요
2장 주요 아이디어와 틀
관통하는 개념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분쟁 추세
일부 분쟁이 관리되지 않거나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분쟁관리의 성공을 판별하기
3장 개입
전통적인 군사적 개입
인도주의적 개입
개입을 위한 법적 고려사항
개입의 양상
개입의 행위자들: 국가와 국제기구
개입은 언제 시작되는가?
개입은 분쟁관리를 촉진하는가?
결론
4장 제재
제재의 논리와 동기
제재의 유형: 전통적 대 ‘스마트’
시간 경과에 따른 제재 사용의 양상
제재의 대리인: 국가 및 국제기구
제재는 언제, 얼마나 자주 효과가 있는가?
결론
5장 협상
협상의 논리
협상을 위한 맥락
당사자들은 언제 그리고 왜 협상 테이블에서 마주하는가?
당사자들은 언제 합의에 도달하는가?
이행 단계에서의 함정
결론
6장 조정
협상과의 차이
조정의 논리
조정의 양상
조정의 행위자들
언제 조정이 발생하는가?
언제 얼마나 자주 행해질 때 조정은 효과적인가?
결론
7장 법적인 접근
협상 및 조정과의 차이점
중재 대 판결
국제재판소의 형태
법적 접근의 논리
당사자들은 언제 법적 접근을 선택하는가?
법적 접근에 의한 분쟁해결은 효과적인가?
결론
8장 평화활동: 평화유지와 평화구축
전통적 평화유지 대 평화구축
평화활동의 논리
평화활동의 양상
평화활동의 행위자들
평화활동은 효과적인가? 그리고 어떤 조건에서 효과적인가?
결론
9장 분쟁관리 접근 방식의 교차점
분쟁관리 궤적
접근 방식의 호환성: 보완과 모순
지침: 무엇을 언제 선택할 것인가?
결론
참고문헌과 읽기자료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소개
도해목차
글상자
3.1 리비아내전 개입
3.2 코소보 개입
4.1 보스니아전쟁
4.2 시리아내전
5.1 콜롬비아내전에서 시도된 협상의 성공과 실패
5.2 미국과 북한 간의 합의와 이행
6.1 미국과 쿠바 관계에서의 조정의 성공 사례
6.2 페루-에콰도르분쟁 조정의 성공과 실패
7.1 베냉과 니제르 국경분쟁
7.2 남중국해 중재
8.1 전통적인 평화유지의 성공과 실패
8.2 평화구축의 성공과 실패
9.1 분쟁관리 궤적의 예
표
2.1 접근법에 따른 분쟁관리 성공 지표의 차별성
2.2 국제분쟁관리 전략의 특성
3.1 지역별 개입, 1947~2005년
3.2 제3자 개입의 동기
4.1 제재 사안의 빈도, 1945~2005년
4.2 제재 위협이나 제재 부과의 유형별 빈도, 1945~2005년
4.3 최상위 제재 발신자-국제기구, 1945~2005년
8.1 평화활동 임무 유형
8.2 평화활동 임무 유형 분포, 1948~2015년
8.3 파견 기관별 평화 활동, 1946~2016년
도표
2.1 분쟁의 추세, 1946~2016년
3.1 개입, 1947~2005년
4.1 시간 경과에 다른 제재 활동, 1945~2004년
4.2 제재 위협의 결과, 1945~2004년
4.3 제재 부과의 결과, 1945~2004년
5.1 협상으로 타결된 군사화된 국가 간 분쟁의 비중, 1816~2010년
5.2 내전을 종결시킨 평화협정에서 가장 공통된 조항
6.1 분쟁유형별 조정빈도, 1946~2006년
6.2 분쟁유형별 조정 개시자, 1946~2006년
6.3 분쟁유형별 조정 제공자, 1946~2006년
6.4 제3자에 의한 내전 조정빈도, 1946~2006년
6.5 제3자에 의한 국가 간 분쟁 조정빈도, 1946~1999년
6.6 분쟁유형별 조정 결과, 1946~2006년
7.1 국제법기구, 1816~2011년
8.1 새로운 평화유지 임무의 수, 1948~2016년
9.1 부르키나파소-말리분쟁의 갈등 관리 궤적, 1985~1986년
Author
J. Michael Greig,Andrew P. Owsiak,Paul F. Diehl,김용민,김지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