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황제와 일본 개신교

$14.04
SKU
979116129161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7/13
Pages/Weight/Size 142*220*10mm
ISBN 9791161291611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많은 한국인, 특히 한국 개신교인들은 한·일 간 갈등의 기저에 일본의 ‘천황제’가 자리한다는 것을 모르는 실정이다. 본서는 바로 이런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본서는 단출하게 천황제와 일본 개신교를 각각 다룬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5항목으로 엮어진 1부 “천황제의 태동과 발전”에서는 일본의 천황제가 근대화 과정 속에서 국가 기축적 “천황교”로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군국주의적 침략국가인 일본이 아시아를 전쟁의 참혹으로 몰고가는 데 있어 토대가 되었던 이데올로기로서 천황제의 종교적 이단성을 지적한다.

또한 오늘날까지도 “다이죠우사이”(大嘗祭)를 통해 천황을 국가 제사장으로 찬양하는 군국주의적 일본의 민낯을 고발한다. 2부인 “천황제 안에서 시작된 일본 개신교”는 이러한 천황교 국가의 늪 속으로 깊숙히 녹아들어가는 일본 개신교의 이야기를 19항목으로 묶었다. 당연하게도 일본의 개신교회사에서 국가에 대해 교회가 투쟁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일본의 개신교는 천황교에 점점 더 습합되어갔을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부에서는 일본 개신교가 대동아전쟁 가운데서 어떻게 국가에 충성했고 이웃 나라를 대했는지 그 폭력성을 조명한다.

더 나아가 이런 국가주의적 불씨가 개신교를 넘어 현대 일본 사회까지 맹렬히 사르고 있음을 환기시킨다. 그뿐 아니라 칼 바르트(독일 고백교회의 투쟁)와 일본 개신교의 관계를 통해 천황제와 나치즘의 종교적 유사성을 곁들여 종교의 기만성을 폭로한다.
Contents
서론



제1부 천황제의 태동과 발전

1. 천황제: 사전적 정의

2. 천황제의 유래와 배경

(1) 농경사회와 제사

(2) 고대 일본의 왕권

(3) 신상제

(4) 습합의 시작

(5) 천황의 신격화 시작

(6) 황실 제사의 쇠퇴와 재흥

3. 근대 천황제의 태동

(1) 사상적 배경

① 미토학

② 국학

(2) 정치적 배경

4. 헤이세이 삿쵸동맹

5. 메이지 유신(1868-1889년)

(1) 교학성지(??聖旨, 1879년)

(2) 군인칙유(1882년)

보충 (1) 야스쿠니 신사

6. 국가 통합의 기축으로서의 천황

7. 천황교의 성립

8. 천황교의 법제화: 대일본 제국 헌법

보충 (2) 국민 주권

9. 대상제(大嘗祭: 다이죠우사이)

보충 (3) 상징제 천황제

10. 황국사관 세우기

11. 교육칙어(1890년)

보충 (4) 국체(??)

12. 국가신도 확립

13. 신사참배의 시작

14. 미노미션 신사참배 거부 사건(1930-1939년)

(1) 발단

(2) 제2차 거부

(3) 기독교계의 반응

15. 천황기관설에 대한 국체명징론





제2부 천황교 안에서 시작된 일본 개신교

서론

1. 종교와 권력에 대한 한 단면

2. 기독교의 시작과 천황제 누룩

3. 천황제 이데올로기 안에서의 종교의 자유

4. 교육과 종교의 충돌

5. 천황교에 매몰된 “일본적 기독교”

6. 무사도에 접목된 기독교

7. 일본에서 시작된 교회의 특징

(1) 구마모토 밴드

(2) 삿포로 밴드

(3) 요코하마 밴드

(4) 세 밴드의 합일점

8. 삼교회동(三敎?同)

9. 일본기독교회의 바르트 신학 수용

보충 (5) 칼 바르트: 1920-30년

10. 종교단체법

11. 치안유지법

12. 대동아공영권: 대동아전쟁

13. 국체론(천황교 원리주의)

보충 (6) 국가총동원법

14. 교회의 황민화

15. 일본기독교단의 성립

(1) 일본기독교단의 창립

(2) 일본기독교단의 목적

보충 (7) 황기 2천 6백 년

16. “일본기독교단이 대동아공영권에 있는 기독교인에게 보내는 서한”

(1) 공모

(2) 내용 요약

(3) 비판

17. 패전 후 일본기독교단

(1) 총참회갱생운동

(2) 카가와 토요히코(賀川豊彦)

18. 패전 후 일본기독교단과 전쟁의 책임

19. 일본 기독교의 현재

(1) 역사 새로 쓰기

결어



참고문헌



Author
김산덕
일본그리스도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약 25년간 현지에서 일본인을 섬겼던 일본그리스도교회 목사다. 동경신학대학과 영국의 애버딘 대학교에서 Watanabe Nobuo, David Fergusson, Carl Trueman, Nick Thompson의 지도하에 신학을 공부했다(Th.M., Ph.D.). 주된 연구 분야는 “신조”와 “신앙고백”으로, 굽이치고 요동치는 세상을 향해 교회가 각 시대마다 어떤 신앙을 고백해왔는지를 신학 및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작업이다.

일본동경신학원과 개신대학원대학교(역사신학)에서 가르쳤으며, 현재는 부산고백교회의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다. 신학연구원 “길”의 원장으로 봉직하며, 목회자를 재교육해서 일본 무목(無牧)교회에 선교 파송하는 소명을 감당하고 있기도 하다. 저서로는 신조 본문비평인 『고백하는 교회를 세워라』(CLC)와 『프로테스탄트 스콜라주의 재고찰』(일본)이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논문을 영국과 일본, 한국에서 발표했다. 역서로는 『칼빈의 교회론』(깔뱅 역간)을 비롯해서 다수가 있다.
일본그리스도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약 25년간 현지에서 일본인을 섬겼던 일본그리스도교회 목사다. 동경신학대학과 영국의 애버딘 대학교에서 Watanabe Nobuo, David Fergusson, Carl Trueman, Nick Thompson의 지도하에 신학을 공부했다(Th.M., Ph.D.). 주된 연구 분야는 “신조”와 “신앙고백”으로, 굽이치고 요동치는 세상을 향해 교회가 각 시대마다 어떤 신앙을 고백해왔는지를 신학 및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작업이다.

일본동경신학원과 개신대학원대학교(역사신학)에서 가르쳤으며, 현재는 부산고백교회의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다. 신학연구원 “길”의 원장으로 봉직하며, 목회자를 재교육해서 일본 무목(無牧)교회에 선교 파송하는 소명을 감당하고 있기도 하다. 저서로는 신조 본문비평인 『고백하는 교회를 세워라』(CLC)와 『프로테스탄트 스콜라주의 재고찰』(일본)이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논문을 영국과 일본, 한국에서 발표했다. 역서로는 『칼빈의 교회론』(깔뱅 역간)을 비롯해서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