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양문제연구소(소장 정문수)는 2023년 2월에 인문한국플러스(HK+) 지원사업 ‘바다인문학’ 기획총서인 『바다의 외교-신흥지역과 국제관계』(우양호 저, 도서출판 선인)를 출간했다. 이 책의 단독 필자인 우양호 교수는 사회과학(행정학)을 전공하였으며, 우리 대학 국제해양문제연구소 및 교양교육원에서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제해양문제연구소는 「바다인문학」을 아젠다로 설정해서, 2018년 교육부의 ‘인문한국플러스(HK) 지원사업(7년)’에 선정되었다. 바다인문학의 주요 목적은 현실세계의 문제해결형 인문학을 지향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천학문으로서 바다와 국가, 해양사회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현안에 대한 여러 해법을 제시한다.
이 책의 필자인 우양호 교수는 바다를 둘러싼 국가와 사회의 현안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외교와 국제관계라고 보았다. 국제사회가 해양강국이라 인정을 할 때, 해양외교를 통해 국제사회에 얼마만큼 기여를 하고 이바지했는지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해양강국은 국제사회의 이슈와 현안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민첩하게 대응해야 함을 말한다. 그래서 이 책은 최근 바다를 건너는 대한민국의 국제협력 및 신흥지역 외교와 관련된 이슈와 현안을 두루 담았다고 했다. 또한 필자인 우양호 교수는 최근 해양과 해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정세와 국제 질서가 전혀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고 말한다. 지금의 패권경쟁과 냉전이 마감되면 한반도의 북방과 남방의 교류, 국제협력도 모두 해양을 중요한 매개로 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또한 필자는 이 책에서 해양이 국가발전에 필요한 국력의 한 부분이라는 개념을 깔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책에서 21세기는 해양외교의 시대이며, 해양을 둘러싼 국가와 외교의 문제는 국민의 삶과 직결된다고 말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우리나라의 해양 외교에 길잡이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Contents
발간사
머리말
제1장 태평양 외교와 ‘태평양동맹(PA)’의 결성
Ⅰ. 머리말
Ⅱ. 해양 외교 이론과 논의의 틀 : ‘해역네트워크’와 ‘개방형 지역주의’
Ⅲ. ‘태평양동맹(PA)’의 형성과 주요 경과
Ⅳ. ‘태평양동맹(PA)’의 특징과 성공요인
Ⅴ. 맺음말
제2장 카리브해 외교와 도서국 공동체의 결성
Ⅰ. 머리말
Ⅱ. 카리브해의 지역 개관 및 상황
Ⅲ. 카리브해 초국경 네트워크의 형성과 특징
Ⅳ. 카리브해 국제협력의 발전방향과 과제
Ⅴ. 맺음말
제3장 중앙아시아 카스피해의 국제관계와 협력
Ⅰ. 머리말
Ⅱ. 중앙아시아 카스피해 지역 개관과 주요 현황
Ⅲ. 카스피해를 둘러싼 국제적 분쟁과 경과
Ⅳ. 카스피해의 국제적 분쟁 해결과 의미
Ⅴ. 맺음말
제4장 동남아시아 신남방정책의 해양외교적 평가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 해역과 해양 ‘아세안(ASEAN)’의 의의
Ⅲ. 신남방정책의 추진경과 및 성과
Ⅳ. 신남방정책의 외교 정책적 평가와 과제
Ⅴ. 맺음말
제5장 동북아시아 한국·일본·중국의 협력과 제도화
Ⅰ. 머리말
Ⅱ. 동북아시아 외교와 협력의 이론적 준거
Ⅲ. 한·중·일 도시교류와 지역협력의 제도적 수준
Ⅳ. 한·중·일 도시교류와 지역협력의 제도화 평가
Ⅴ. 미래의 협력 방향에 대한 함의들
제6장 | 환동해권 북한·중국·러시아의 접경지역 개발
Ⅰ. 머리말
Ⅱ. ‘환동해(環東海)’의 현재적 의미와 국제관계
Ⅲ. 환동해권 두만강 유역의 접경지역 개발
Ⅳ. 환동해 접경지역에 대한 국제관계의 다양성
Ⅴ. 맺음말
제7장 | 호주와 동아시아의 새로운 해양지정학
Ⅰ. 머리말
Ⅱ. 해역과 항구의 지정학에 대한 논의
Ⅲ. 호주 ‘다윈항’의 개관과 현재적 의미
Ⅳ. 해역과 항구의 지정학적 재조명
V. 맺음말
제8장 | 한국의 극지외교와 국제질서의 쟁점
Ⅰ. 머리말
Ⅱ. 극지 지역의 개관 및 국제질서의 흐름
Ⅲ. 한국의 극지외교 현황과 국제질서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