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광의 문호를 열고자 기존의 인식을 뛰어넘는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관광인프라 개선을 위해 자체의 국가재정과 인력을 동원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징후 속에서 중국과 서방세계로부터 관광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는 기대와 자신감을 볼 수 있다. 어쩌면 그들은 관광을 통해 내부 문제의 해법을 찾고 세계와 통하는 접점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은 북한의 변화를 추동하는 관광산업의 등장에 주목하고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기별 변화와 지속성을 도출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관광의 기본 개념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관광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현실을 다룬다. 이어서 북한과 대비되는 사회주의 국가들의 관광개방 사례를 제시하고, 북한이 이들 대열에 동참하지 못하게 된 원인인 북한의 경제발전 이데올로기와 사회주의 관광산업 정책을 고찰한다. 궁극적으로는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기로 이어지는 지도자들의 관광인식과 인식의 지속성 및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북한이 김정은 시기 들어 이념관광에서 실리관광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주의 경제 이데올로기의 한계와 그 대안 찾기의 과정이라고 본다. 또한 북한의 관광산업이 북한의 개방과 낙후된 제조업을 살리는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으리란 조그만 기대를 담고 있다. 북한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국경을 닫아 버림으로써 북중 간 관광교류마저 단절된 현실이지만 언제고 이 인류적 재앙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다면 북한도 다시 세계를 향해 관광의 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 (머리말 中)
Contents
·머리말
제1장 왜 북한의 관광산업인가
제1절 앞선 북한관광 연구들 살펴보기
제2절 북한의 관광산업 살펴보기: 범위와 방법
제2장 사회주의 관광개방과 북한의 인식
제1절 관광의 개념과 관광산업의 역할 이해
1. 경제발전과 관광산업의 상관성
2. 북한의 관광인식과 현실
제2절 사회주의 국가들의 관광개방과 북한
1. 탈냉전과 관광개방
2. 사회주의 쿠바의 관광개방과 경제발전
3. 사회주의 베트남의 관광개방과 경제발전
제3절 북한의 경제발전 이데올로기와 관광산업정책
1.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발전론: 내용과 한계
2.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관광산업의 비교우위 담론
제3장 김일성 시기의 관광정책 고찰
제1절 전기 김일성 시기 관광정책 전개(1953~1984년)
1. 사회주의 관광산업의 등장
2. 사회주의 국가 간 연대성 관광 추진
제2절 후기 김일성 시기 관광정책 전개(1984~1994년)
1. 서방자본의 북한 관광투자 허용: 합영법의 성과와 한계
2. 국가관광총국 개편과 세계 관광시장 진출
3. 고난의 행군을 초래한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과 무료관광 실시
4. 제한적 관광개방 실험: 나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성과와 한계
제4장 김정일 시기의 관광정책 고찰
제1절 전기 김정일 시기 관광정책 전개(1991~1998년)
1. 체제위기와 관광 빗장 닫기
2. 북한 예술작품에 반영된 고난의 행군기의 관광개방 논쟁
제2절 후기 김정일 시기 관광정책 전개(1998~2011년)
1. 우리민족제일주의의 등장과 남북한 민족공조 전개
2. 남북관광협력을 통한 체제·경제위기 돌파
3. 남북관광협력 중단의 대안 찾기: 북중 관광협력
제5장 김정은 시기의 관광정책 변화 고찰
제1절 이념관광(정치)에서 실리관광(경제)로의 전환기
1.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한계와 대안 찾기
2. 세계를 향한 북한관광 빗장 열기
제2절 지역개발과 함께하는 관광산업전략
1. 경제개발구를 통한 지역별 관광개방
2. 관광개방의 상징 거점: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
3.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사례)
4. 자립경제식 관광개발 병행: 삼지연시 건설
제6장 마무리하며
제1절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기의 관광정책 변화와 지속성 분석
제2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장영주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에 재직 중이다. 현재 중앙대학교 및 새로운 코리아 구상을 위한 연구원(KNSI)에서 연구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북한 분야 언론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북한의 산업과 과학기술 R&D 분야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남북한의 산업 간 협력을 위한 상생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주요 연구 논문으로는 ?북한의 ‘주체철’ 현황과 산업적 의미(2018)?, ?북한의 관광정책 변화 연구(2021)?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에 재직 중이다. 현재 중앙대학교 및 새로운 코리아 구상을 위한 연구원(KNSI)에서 연구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북한 분야 언론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북한의 산업과 과학기술 R&D 분야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남북한의 산업 간 협력을 위한 상생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주요 연구 논문으로는 ?북한의 ‘주체철’ 현황과 산업적 의미(2018)?, ?북한의 관광정책 변화 연구(202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