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관계는 대결, 경쟁, 협력을 반복하면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왜냐하면 미국의 대중국 정책은 구조적이기 때문이다. 비록 독자적 이데올로기, 진영에 기초한 경제블록, 안보딜레마를 심화시켰던 냉전이 그대로 재현되지는 않겠지만, 비냉전형 양극체제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점에서 세계질서는 당분간 궐위(interregnum)가 나타날 것이다.
그동안 한국은 중국의 부상과 미중 간 전략경쟁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선택의 딜레마를 피하기 위해 외교 유연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균형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미래 한국의 대중국 정책은 신흥 선도국가의 정체성 속에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미중 간 전략경쟁의 폭과 깊이를 예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안별, 시기별로 기민하게 움직이는 헤징 중심의 접근법은 선택의 난도를 더욱 높이고, 외교비용을 초래하며 외교자산을 축적하는 데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책을 보내며 中)
Contents
책을 펴내며
서문 | 국제질서의 대분화와 한중관계의 재구성 _이희옥(李熙玉)
제1부 미중 전략경쟁의 새로운 위상
1. 미중 패권경쟁 동학에 대한 구조적 분석 _공민석(孔敏碩)
2. 바이든-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외 전략: 강대국과 주변국 _순리핑(孫麗萍)
3. 바이든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_김지운(金智雲)
4. 인도·태평양 재균형과 ‘일대일로’ _쉐리(薛力)
5. 시진핑 시기 중국의 동북아 전략과 동북아협력의 미래 _차정미(車正美)
6. 완화와 조정: 미중경쟁 속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 _장무후이(張暮輝)
제2부 새로운 동북아 안보 아키텍처(architecture)
1. 미중 전략경쟁 속 한반도 정세 변화와 전망 _첸융(千勇)
2. 탈냉전기 북한의 대외전략과 바이든 시대 북미관계 _안경모(安京模)
3. 문재인 정부 말기의 남북관계 _리자청(李家成)
4.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세 가지 제안 _정일영(丁一榮)
5. 바이든-시진핑 시대 중일관계 변화와 일본의 지역전략 _텐칭리(田慶立)
6. 일본의 지역전략: ‘연결성의 지전략’으로서의 인도·태평양 _박창건(朴昶建)
제3부 지역 가치사슬의 재편과 중국
1. 중미 경제 디커플링과 중국의 대응 _리웨이(李巍)
2. 미중 기술경쟁과 중국 첨단기술정책의 변화 _백서인(白西寅)
3. 한중일 FTA의 쟁점과 전망 _최영미(崔英美)
4. 중일한 FTA의 기회와 도전 _추이밍쉬(崔明旭)
5. 중국의 FDI 개방과 그 함의 _이율빈(李聿彬)
6. 중국 자본시장의 개방과정 및 현황 _덩신(鄧?)
제4부 한중관계의 새로운 모색
1. 한중관계의 도전 요인과 극복의 길 _김현주(金賢珠)
2. 중한 공공외교의 비판적 회고 _진신(陳晨)
3. 미디어를 통해 본 한중관계의 변화 _허재철(許在喆)
4. 중한 연대와 협력의 가치 구축: 영상 작품 속 이미지를 중심으로 _이상우(李翔宇)
5. 중한 어업 문제 현황 및 제언 _왕자자(王佳佳)
6.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의 탄소 중립 및 기후정책 변화 _이재영(李在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