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민주주의 국가의 건설이 최대명제가 되었다. 이를 위한 교육이 요구되었고, 민주적이고 평등한 교육제도의 시행이 과제가 되었다. 그러나 제도가 제대로 시행되기도 전에 한국전쟁으로 중단되었고, 이후 1950년대는 전후수습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었다. 교육에 대한 열망이 컸지만, 신생 대한민국의 기틀을 잡아나가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많았고, 정부의 힘은 부족한 형편이었다.
이러할 때, 기독교는 국가교육의 한 부분을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규교육제도 내에서 포함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감당하였다. 해방 후 한국기독교인에 의해 설립된 기독교계 학교는 일제시기 외국선교부가 주도하여 세운 학교 수에 비하여 4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성경구락부, 웨슬레구락부, 기독교대안학교는 정규교육제도로 수용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넘쳐나는 교육열을 수용하였다.
그동안 기독교계의 교육사업에 대한 연구는 일제시기에 집중되어 왔다. 해방 후 설립된 학교의 수가 그 이전보다 월등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했다고 할 정도이다. 이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는 ‘한국사회의 형성과 기독교 학교’라는 주제 아래 기독교 학교 및 기독교 교육이 해방 후 한국사회의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지 찾아보았다. 앞으로도 꾸준히 천착할 주제이지만, 우선적으로서 해방 후 교육제도 수립과 민주주의 교육에서 기독교의 역할, 새롭게 설립된 기독교계 학교의 실태와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제도권 밖의 기독교 학교 운영현황과 그 역사를 살펴보았다.
Contents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를 펴내며
『한국 지역사회와 기독교』에 관하여
제1부 민주주의 교육의 전개와 민주국가건설의 구상
제2차세계대전 직후 한반도와 동유럽에서 미국의 민주주의 교육 구상 | 양준석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에서 민주주의 교육의 가동
Ⅲ. 동유럽에서 민주주의 교육의 지탱과 소멸
Ⅳ. 맺는말
미군정기 국정 공민교과서의 성격과 집필진의 구성 | 김동선
Ⅰ. 서론
Ⅱ. 미군정기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정책과 편수관
Ⅲ. 미군정기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위원의 구성과 성격
Ⅳ. 미군정기 국정공민교과서의 목차구성과 내용
Ⅴ. 결론
일제 강점기 미국유학생의 기독교 인식과 학습 | 장경호
Ⅰ. 머리말
Ⅱ. 기독교와 선교 인식
Ⅲ. 신앙생활과 기독교 학습
Ⅳ. 맺음말
제2부 기독교 학교의 모색과 제안-성경구락부, 기독교대안학교의 운영과 활동
프란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와 성경구락부(Bible Club) 운동 | 장금현
Ⅰ. 들어가는 말
Ⅱ. 킨슬러의 생애
Ⅲ. 성경구락부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Ⅳ. 킨슬러와 성경구락부
Ⅴ. 나가는 말: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 기독교의 성경구락부 운동 전개와 학교로의 전환 | 윤은순
Ⅰ. 들어가는 말
Ⅱ. 성경구락부의 설립과 전개
Ⅲ. 성경구락부의 교육내용과 운영방식
Ⅳ. 학교로의 전환 양상
Ⅴ. 나오는 말
웨슬레 구락부의 발전과 특징: 지역사회 교육과 개척 교회 | 윤은석
Ⅰ. 서론
Ⅱ. 웨슬레 구락부의 발전과정과 선교부의 후원
Ⅲ. 웨슬레 구락부와 개척교회
Ⅳ. 웨슬레 구락부와 지역사회 교육
Ⅴ. 웨슬레 구락부의 정규 학교로의 발전
Ⅵ. 결론
한국 기독교 대안학교의 발전과 전망 | 박창훈
Ⅰ. 글을 시작하며
Ⅱ. 대안학교의 발생배경과 그 유형
Ⅲ. 기독교 대안학교의 발생과 유형
Ⅳ. 기독교 대안학교의 전망과 과제
Ⅴ. 글을 마치며
제3부 기독교 학교의 발전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강홍모와 전주 영생학원의 설립과 운영의 역사적 의의 | 이은선
Ⅰ. 들어가는 말
Ⅱ.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 전주의 초중등 교육기관의 발전 과정
Ⅲ. 강홍모의 교육관과 영생학원 설립
Ⅳ. 영생중학교와 영생여자중학교의 설립과 폐교
Ⅴ. 영생고등학교와 영생여자실업학교의 설립과 발전
Ⅵ. 영생대학 설립의 역사적인 의의
Ⅶ. 영생전문대학의 설립
Ⅷ. 영생교회의 설립과 역할
Ⅸ. 나가는 말
해방 이후 개신교 학교와 사회적 영향력: 대전 대성학원을 중심으로 | 윤은석
Ⅰ. 들어가는 말
Ⅱ. 대성학원의 설립 배경: 6·25전쟁과 교육 수요의 증가
Ⅲ. 대성학원의 발전과 지역사회의 교육 분담
Ⅳ. 개신교 신앙을 통한 인성교육
V. 나가는 말
해방 후 경북지역 성경구락부(Bible Club)의 변화: 경북 경안노회를 중심으로 | 장금현
Ⅰ. 들어가는 말
Ⅱ. 해방 후 성경구락부 재건과 변화
Ⅲ. 경북 경안노회와 성경구락부
Ⅳ. 경안노회 지역의 성경구락부 정규학교
Ⅴ. 마무리하는 말
개신교 계통 중등학교 연구: 인천과 서부 경기 지역(부천/시흥/안산)을 중심으로 | 최현종
Ⅰ. 들어가는 말
Ⅱ. 개신교 계통 학교 현황
Ⅲ. 인천의 개신교 계통 중등학교
Ⅳ. 서부 경기 지역(부천/시흥/안산)의 개신교 계통 중등학교
Ⅴ. 나가는 글: 개신교 계통 학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Author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정치외교사,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미관계와 기독교』, 「1948년 한국대표단의 유엔 승인외교」 등의 논저가 있다.
한국정치외교사,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미관계와 기독교』, 「1948년 한국대표단의 유엔 승인외교」 등의 논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