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모포시스 시학

$32.40
SKU
979116068315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1/30
Pages/Weight/Size 158*231*30mm
ISBN 9791160683158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 시학’은 숭실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의 연구과제인 [근대 전환공간의 인문학, 문화의 메타모포시스]의 탐구과정에서 생성(生成)된 의미 있는 문학적 개념이다. 개항과 일제 침략 등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변화를 피할 수 없었던 한국근대시는 ‘메타모포시스 시학’이라 불러도 좋을 근대적인 양상을 다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서(本書) 『메타모포시스 시학』은 총 4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 개항장과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단초는 개항 이후 찬송가의 유입과 근대시의 등장을 주목한 최근 글을 앞세웠다. 선언문이라도 되는 듯, 이 글을 통해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Contents
간행사
머리말 : 메타모포시스 시학과 시의 변화

제1부 개항장(開港場)과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단초

찬송가의 유입과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가능성-창가, 신체시, 자유시의 등장을 중심으로
Ⅰ. 서론 : 19세기 말 찬송가의 유입과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단초들
Ⅱ. 신체시의 등장과 근대시 형성에 관한 오해 : 창가는 신체시로 이행된 것인가
Ⅲ. 가(歌)에서 시(詩)로의 분화 혹은 변화의 모색 : 신체시는 찬송가의 영향인가
Ⅳ. 결론에 대신하며 : 메타모포시스 시학으로서 신체시의 의의

19세기 말 근대번역문학의 출현과 한국전통회화와의 변용양상-텬로력뎡 한글번역과 김준근 텬로력뎡 삽도의 비교 고찰
Ⅰ. 서론
Ⅱ. 19세기 말 서양선교사의 번역문학 참여와 텬로력뎡 삽도의 의미
Ⅲ. 동서양의 예술적 콜라보(collaboration), 그 근대적 성과들
Ⅳ. 결론

제2부 서도(西道)와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형성

근대시와 ‘서도성(西道性)’-김소월, 주요한, 김동환의 시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서도’의 개념과 ‘서도’ 로컬리티
Ⅲ. 근대시의 서도성(西道性)과 그 의미
1. 김소월의 경우
2. 주요한의 경우
3. 김동환의 경우
Ⅳ. 결론

주요한의 시와 서도(西道) 로컬리티
Ⅰ. 서론
Ⅱ. 주요한 시의 서도성(西道性)
Ⅲ. 주요한 시의 서도 로컬리티 양상과 장르인식
1. 자유시의 형성과 서도성 : 「수심가」의 내면화와 「엮음수심가」 형식의 영향
2. 정형시의 현현(顯現)과 서도성 : 「노랫가락」의 운율미와 서정성의 영향
Ⅳ. 결론

김소월 진달래꽃, 초혼과 서도민요 「영변가」, 「제전」의 비교 분석
Ⅰ. 서론 : 문제제기
Ⅱ. 진달래꽃과 「영변가」의 비교 분석
Ⅲ. 초혼과 「제전」의 비교 분석
Ⅳ. 결론

주요한 불놀이와 「엮음수심가」의 상관성
Ⅰ. 서론
Ⅱ. 서도민요와 근대자유시의 형성
Ⅲ. 불놀이와 유성기음반 「엮음수심가」의 영향관계와 그 의미
Ⅳ. 결론

제3부 가요시(歌謠詩)와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논리

‘시’와 ‘노래’의 (탈)경계-가요시의 형성과 유성기음반
Ⅰ. 서론 : 유성기(留聲機)의 등장과 가요시의 형성
Ⅱ. 가요시(歌謠詩)의 형성과 1930년대 시인들의 매체 인식
Ⅲ. ‘시’와 ‘노래’의 탈(脫)경계
1. 시의 가요화(歌謠化) : 김동환 종로네거리의 경우
2. 노랫말의 시화(詩化) : 김억 꽃을 잡고의 경우
3. 순수 가요시의 창작과 유행 : 조명암 선창의 경우
Ⅳ. 결론 : 매체는 다양화되고 시는 진화한다

「수심가(愁心歌)」의 양상과 유성기음반 노랫말 구현(俱現)
Ⅰ. 서론
Ⅱ. 20세기 초 잡가집에 수록된 「수심가」의 양상
Ⅲ. 유성기음반 「수심가」의 출현과 노랫말의 양상
Ⅳ. 「수심가」의 노랫말 구현 양상 비교
Ⅴ. 결론 : 남은 문제들

판소리 유행대목의 가요화 양상과 그 의미-「쑥대머리」, 「추월만정」, 「군사설움타령」의 시적 구조를 중심으로
Ⅰ. 서론 : 판소리 유행대목의 형성과 서정성의 발견
Ⅱ. 춘향가의 「쑥대머리」 : 님을 향한 기다림의 정조와 시적 구조 분석
Ⅲ. 심청가 「추월만정」 : 부친을 향한 그리움의 정조와 시적 구조 분석
Ⅳ. 적벽가의 「군사설움타령」 : 사향(思鄕)의 정조와 시적 구조 분석
Ⅴ. 결론 : 판소리 유행대목 가요화의 의미

조명암의 개작(改作) 시 연구
Ⅰ. 서론
Ⅱ. 해방 이전 시와 이후 개작 시와의 상관성
Ⅲ. 자유시와 개작 가요시와의 상관성
Ⅳ. 결론 : 조명암 시의 개작의 특성과 의미

제4부 전통(傳統)과 메타모포시스 시학의 국면들

이하윤 시의 전통 수용과 근대성의 탐구
Ⅰ. 서론
Ⅱ. 이하윤 시의 전통 수용과 근대성
1. 토속적 제재와 자연 회귀 : 전통성의 수용
2. 외래 문명과 도시지향 : 근대성의 탐구
3. ‘가요시초’의 형성과 가요시 : 시문학 전통의 변혁과 타협의 기로에서
Ⅲ. 결론

조명암의 남사당 연작시 연구
Ⅰ. 서론
Ⅱ. 민속시초(民俗詩抄) 남사당 6편의 분석과 그 의미
1. 유년시절 고향마을의 전통 연희 체험과 시적 구현
2. 남사당 연작시의 현현(顯現)
Ⅲ. 결론 : 남사당 연작시의 시문학사적 가치와 의의

여상현의 시세계-칠면조(七面鳥)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시세계의 통시론적(通詩論的) 변모양상
1. 전기적 고찰
2. 제1기 : 절제된 언어와 현실묘사
3. 제2기 : 비판의식과 풍자의 시학
Ⅲ. 현실수용에 따른 이미지 고찰
1. “밤”, “바다”의 이미지
2. “고향”의 이미지
3. 장미 이미지
Ⅳ. 여상현 시의 문학사적 평가
Ⅴ. 결론

한성기 초기시의 ‘자연’ 인식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전영주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문학평론가(필명 전해수)로 현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1950년대 시와 전통주의』(2006), 『목어와 낙타』(2013), 『비평의 시그널』(2018), 『메타모포시스 시학』(2019) 등이 있다.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문학평론가(필명 전해수)로 현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1950년대 시와 전통주의』(2006), 『목어와 낙타』(2013), 『비평의 시그널』(2018), 『메타모포시스 시학』(2019)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