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필자가 지난 10년간 연구 발표한 논문들을 하나로 묶어낸 것이다. 이 책은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단행본으로 출판한 2008년 이후부터 학술지 등에 발표한 논문들을 일부 보완, 수정한 것이다. 필자의 북한연구 ‘화두’인 북한 청년들에 대한 연구 논문들과 대북·통일정책 관련 논문들을 엮은 것이다. 필자는 북한의 미래를 가름 할 수 있는 ‘북한 청년’에 주목했다. 김정은 시대, 북한 청년동맹은 모든 청년들을 ‘김일성-김정일주의화’ 시키는 것을 핵심과제로 삼고 있다. 이러한 과제가 어떻게 실현되는지가 북한의 내일을 전망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다. 필자는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통일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기에 대북·통일정책의 현장에 서 있다고 생각한다. ‘민의의 전당’이라 하는 국회라는 현장에서 펼쳐지는 대북정책의 논의 과정에서 고민했던 통일방안, 독일의 통일정책, 남남갈등 해소 방안, 통일교육 관련 연구논문을 모은 것이다. ‘연구자’와 ‘현장 활동가’, 두 개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나름의 노력의 결실이다. (머리말 中)
Contents
머리말
1부 북한체제와 청년
1장 북한 권력승계 담론 연구
1절 북한의 권력승계 경험
2절 권력승계 담론
3절 권력승계 담론에 대한 평가
4절 결론
2장 북한 체제 변화와 ‘청년동맹’: 동유럽 사례와 비교
1절 청년동맹의 약사(略史)와 역할 비교
2절 체제변화 요인 검토
3절 청년동맹의 체제변화 주도세력으로의 부상 가능성
4절 결론
3장 6·25전쟁과 북한 ‘청년영웅’
1절 전시동원 체제에서의 청년의 역할
2절 ‘청년영웅’의 탄생 배경과 활동
3절 북한 위기와 ‘청년영웅’의 부활
4절 결론
4장 북한 김정은 시대 청년동맹 연구
1절 김정은 시대 청년동맹의 활동과 특징
2절 청년동맹 제9차 대회 평가
2부 통일을 위한 노력
5장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계승·발전 방안 연구
1절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내용과 특징
2절 역대 정부의 이행 노력 평가
3절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계승·발전 방향
4절 결론
6장 독일 ‘통일 정책’의 한국 적용 의미와 방안: 프라이카우프, 잘츠기터, 연대세를 중심으로
1절 독일 통일과 한반도
2절 독일 ‘통일 정책’의 내용과 의미
3절 한국 적용 방안 검토
4절 결론
7장 ‘사회협약’형 통일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제20대 국회 역할을 중심으로
1절 통일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
2절 사회협약의 가능성 검토 : 19대 국회 평가를 바탕으로
3절 20대 국회와 ‘사회협약’형 통일정책 수립 추진 방안
4절 결론
8장 대학통일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1절 대학통일교육의 위상과 역할
2절 대학통일교육의 현황
3절 대학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4절 결론
Author
김종수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나 동국대 북한학과에서 2007년에 “북한 ‘청년동맹’의 정치적 역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정책기획 겸 통일전문위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 겸임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통일연구원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문재인정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외교안보분과 전문위원, 통일준비위원회 정치·법제도 분과위원회 전문위원, KYC(한국청년연합회) 평화통일센터 사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나 동국대 북한학과에서 2007년에 “북한 ‘청년동맹’의 정치적 역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정책기획 겸 통일전문위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 겸임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통일연구원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문재인정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외교안보분과 전문위원, 통일준비위원회 정치·법제도 분과위원회 전문위원, KYC(한국청년연합회) 평화통일센터 사무국장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