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도서는 장애인 본인이 중심이 된 건강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의료인과 예비의료인이 의료현장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의 정의 및 기본 특성, 유형별 특성을 다루었으며, 국내 등록장애인 현황 및 관련 법과 제도, 보조기기 등의 내용을 수록하여 기존 질병 중심의 지식 전달과 다르게 장애인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노력하였다. 장애인 환자를 진료하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장애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방법과 예절, 올바른 용어 사용, 관련 필수적인 고려사항을 수록하였다.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서비스를 소개하여, 의료인이 질병에서 회복한 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복귀나 혹은 평소에 건강관리와 관련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장에 관련 사례와 생각해 볼 문제를 삽입하여 관련 주제를 가지고 심화 논의와 토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Contents
Section 1. 장애의 정의 및 장애 특성
1. 국내 장애의 정의, 장애 유형 및 등록 심사
1) 장애의 정의
2) 장애인등록 및 심사제도
3) 장애유형별 판정 분류
2. 장애 유형별 특성
1) 신체적 장애
2) 정신적 장애
3. 국내 등록장애인 현황
1) 장애인구 변화
2) 재가장애인 실태
4. 장애인 모성권 보장 등 성별 특성
1) 재가장애인 결혼 및 자녀
2) 여성장애인 임신과 출산
3) 여성장애인 필요서비스
5. 장애인의 삶의 질 보장: 교육, 주거, 소득, 직업 등
1) 총론: 삶의 질 보장, 행복권 추구
2) 장애인교육
3) 장애인주거
4) 장애인소득
5) 장애인직업
Section 2. 장애인 인권과 권리보장을 위한 국내·외 장애인 관련 법령 및 정책
1.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1) 세계인권선언
2) 정신지체인 권리선언
3) 장애인 권리선언
4) ‘세계 장애인의 해’ 선포
5) UN세계장애인 10년
6) 아시아·태평양 장애인 10년 행동계획
7) UN장애인권리협약(UNCRPD)
8)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
2. 장애인 권리보장을 위한 국내 주요 법령 및 정책
1) 「장애인복지법」
2) 장애인정책종합계획
3)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4)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5) 장애인인권헌장
6)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7)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8)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Section 3. 장애인의 건강현황
1. 장애인 건강 현황 및 건강 조사를 위한 주요 자료원
1) 건강보험자료 및 장애인 건강보건통계
2) 장애인 실태조사
3) 한국의료패널과 장애인 삶 패널
4) 사망률과 조기사망
Section 4. 장애인 보조기기의 이해
1. 보조기기 개론
1) 보조기기 정의 및 범주
2) 보조기기법
3) 보조기기 서비스 전달체계
2. 보조기기의 종류
1) 이동 보조기기
2) 보행 보조기기
3) 자세 보조기기
4) 일상생활 보조기기
5) 정보접근 보조기기
6) 의사소통 보조기기
7) 3D 프린팅 기술과 맞춤 보조기기
3. 행정 부처별 보조기기 지원제도
1) 보건복지부
2) 고용노동부
3) 기타 정부 부처 지원사업
Section 5. 장애 유형별 에티켓
1. 에티켓과 매너
1) 에티켓과 매너
2) 장애인에 대한 기본 에티켓
2. 올바른 용어 사용
1) 장애인과 장애우, 장애자
2) 장애인과 비장애인
3) 장애관련 올바른 용어
3. 장애 유형별 에티켓
1) 지체·뇌병변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2) 시각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3) 청각·언어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4) 안면변형(화상)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에티켓
5) 지적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6) 발달장애인(자폐성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7) 정신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8) 신장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9) 심장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10) 호흡기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11) 간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12) 장루·요루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13) 뇌전증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Section 6. 장애인과의 의사소통
1. 의사소통장애 정의와 개념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2) 장애인복지법(2008년): “언어장애인”의 정의
3) ASHA의 “의사소통장애”정의
4) DSM-5에서 사용되는 의사소통장애의 분류
5) 말언어장애의 평가
2. 의사소통장애 주요 특성
1) 발달성 언어장애
2) 조음장애
3) 유창성 장애(말더듬)
4) 지적장애를 동반한 언어문제
5) 자폐아에서 관찰되는 언어문제
6)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7) 청각장애인의 언어문제
3. 의사소통장애 유형 및 통계 200
1) 의사소통장애의 유형, 중복장애 현황: 통계청 자료(2020)
2) 의사소통방법: 문화체육관광부(2017년)
4. 장애유형별 의사소통 방법 및 기술
1) 의사소통장애인과의 의사소통
2)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경험
3) 사회적 장애인식 개선교육: 한국장애인개발원
4) 장애유형별 의사소통방법 교육자료 소개
5. 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현황
1) 장애인 의사소통 관련 법체계
2) 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사업
6. 토론 및 제안
1) 장애인 의사소통 관련 포괄적인 법체계 정비
2) 장애인 의사소통 관련 지원
3) 청각장애인 의사소통 관련 지원
Section 7.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서비스
1. 지역사회장애인의 건강보건서비스 제공기관
1)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장애인건강보건 관리사업의 전달체계에 따른 이용가능서비스
2) 「장애인건강권법」을 지원하는 다양한 보건의료기관
3) 기타 이용가능한 건강보건 관련 서비스
2. 지역사회장애인의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기관
1) 장애인종합복지관
2)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복지서비스
3) 기타 복지지원서비스
3.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통한 서비스 제공 사례
1)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의 사례관리 실제
2) 학습목표에 제시된 네 가지 사례의 자원 연계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