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혁신고등학교 학생의 생활에 대한 접근
왜 혁신고등학교 학생의 생활에 주목했는가?
어느 학교의 누가 참여했는가?
혁신고등학교 선정 | 혁신고등학교의 특성
혁신고등학교별 참여자 어떻게 무엇을 알아보았는가?
면담과 기록물 수집 | 반복적 비교분석
제2장 학생, 혁신고등학교의 일원이 됨
고등학교 선택 기준은 무엇이었는가?
경쟁 회피와 내신성적 쟁취 | 현재적 안전 추구와 중학교 경험 극복
실속 확보와 차별성 지향 고등학교에 대하여 어떤 기대를 했는가?
성공적 학업 수행과 내신성적 | 변화된 환경과 행위 방식
중학교 생활의 연장 고등학생의 생활시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반복적 소비 | 계절과 같은 학년 | 낮과 밤을 잇는 루틴
고등학생은 어떤 공간에서 생활했는가?
거처하며 생활하는 학습공간 | 분화된 편의를 제공하는 지원공간 쉼과 만남이 있는 매개공간
공부와 여가활동을 위한 학교 밖 공간
교과 공부와 시험은 어떠했는가?
학생 주도의 수업 | 함께 하는 공부 | 학습 방법 체득
삶과 연결된 배움 대 기본을 위한 공부
가르친 만큼만 평가하고 배움을 자극 비교과 활동은 어떻게 했는가?
주도성을 바탕으로 활동 | 공적인 삶의 연습 | 활동 결과로서의 성장과 성과
혁신학교 학생의 총체적 삶을 수용하는 입시 전형 마련 | 비진학자를 위한 여지 확보
제3장 진로, 세상을 향한 여정
진로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가?
시기에 닥쳐 생각 | 삶의 가치와 형편을 생각
대학은 당연히 가는 곳 진로 계획, 어떻게 수립하고 변경했는가?
선호성과 결단에서 출발
성적에 따라 수정되는 종착점 진로를 어떻게 구체화했는가?
교과 적성과 관심사의 촉매 작용 | 교과 공부와 체험을 통한 가시화 상담을 통한 지지와 확신
비진학, 주체적 판단과 개척
진로를 향해 갈 준비는 어떻게 했는가?
교과 수업 활동에서 자원 획득 | 체험활동 중심 스토리 구성
대학 진학 여부와 대학의 수준에 따른 소외
입시 학원을 통한 불안 해소 스스로 찾아서 체험
진로를 향해 가는 길을 누가 안내했는가?
교사의 탄력적 입시 조력
비진학 결정에 대한 지지 혹은 응시 진로 이행의 맥락은 어떠했는가?
혁신고등학교 수업과 활동에 대한 만족과 불안 | 수시 전형 편중 가정환경의 굴레
주관적 최선에 대한 회의
진로 이행 여정을 돌아보면서 어떤 요구가 생겼는가?
개인 및 진로 탐색의 기회 보장 | 혁신학교와 교육과정의 가치 및 정체성 공유
왜 혁신고등학교 학생의 생활에 주목했는가?
어느 학교의 누가 참여했는가?
혁신고등학교 선정 | 혁신고등학교의 특성
혁신고등학교별 참여자 어떻게 무엇을 알아보았는가?
면담과 기록물 수집 | 반복적 비교분석
제4장 살아가기, 현재와 연결된 혁신고등학교 삶의 성찰
혁신고등학교의 생활에 이어지는 현재의 삶은 어떠한가?
학업과 직업의 연결 가능성 타진 | 학업 능력 관리와 진로 준비
직업에의 정착과 또 다른 탐색
혁신고등학교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얻었는가?
즐거움과 행복 | 사람들과의 소통과 성장 | 자아 회복과 터닝포인트
삶과 가치의 학습 혁신고등학교 생활 경험은 현재 삶에 어떻게 스며들었는가?
사회적 기술 | 학습 방법 | 삶의 가치 | 자신감
혁신고등학교의 존재 가치는 무엇인가?
입시 외 삶의 방향 제시 | 관계 학습의 장 | 주체성과 자율성 실험 삶의 토대 구축 | 변혁의 가치 실천
제5장 미래, 지속가능한 혁신고등학교
혁신고등학교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삶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접근 | 주체적 삶의 능력 | 교육과정의 특색
대안적 삶에 대한 정보 공동체성 내에서 존중되는 자율성 | 고른 기회와 지원 | 구조 변화를 동반한 학교 혁신
혁신고등학교의 지속을 위한 요건은 무엇인가?
제도 및 인식의 변화 | 혁신학교 안팎의 실천 점검
혁신고등학교의 실천을 어떻게 반성하고 재정비할 것인가?
실천적 지식의 기록과 공유 | 소외 학생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교과별 실천의 편차 극복 교육과정 자치의 모델 구현 | 혁신고등학교에 관한 성과 정리 및 전략적 홍보
혁신고등학교의 실천으로 어떻게 사회 변화에 기여할 것인가?
일반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다양화 실험 | 교육과정 편제 혁신을 통한 고교학점제 실험
학생들의 교육 거버넌스 참여를 위한 학생회 네트워크 구축
고등학교-대학 연계 입시 모델 수립 혁신교육을 통한 사회 혁신 추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