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 등 최근 우리 교육 현장의 급격한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수수께끼처럼 나타난 미래 상황에 직면하여, 우리 시대의 전위적 교육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내놓은 도발적인 역작. 도처에서 뜨겁게 달구어지고 있는 주제들이 흔히 대하기 어려운 안목과 방법으로 다루어진다. 20세기 진보적 사회사상가 12인의 교육이론을 한꺼번에 접할 수 있다. 이들의 핵심적인 화두와 명제가 21세기 한국 교육에 어떤 시사점과 통찰력을 줄지 궁금하신 분들의 필독서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미래 사회를 열어나가야 한다는 교육의 시대적 사명 앞에 실천적 성찰이라는 학문적 사유의 힘을 쌓는 것이 왜 필요한지 말해 준다.
Contents
서문 | 역사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교육의 미래 · 이윤미 5
제1부 권력과 실천
역사, 사회, 발달: 듀이와 비고츠키의 접점 · 이윤미 13
엥게스트롬의 문화역사적 활동이론과 교육 · 성열관 45
번스타인의 교수 기제와 교육에서의 거시-미시 구조 · 이윤미 78
콜버그의 정의공동체로서의 학교와 권한부여 · 전아름 117
제2부 주체와 타자
푸코와 ‘자기 배려’의 주체 · 김세희 149
호네트와 ‘상호 인정’을 위한 교육 · 조나영 193
레비나스의 타자성 철학과 교육 · 우정길 233
제3부 평등과 민주주의
메리토크라시에서 데모크라시로: 마이클 영의 교훈 · 성열관 267
윌리엄즈와 노동계급 교육: 공적 페다고지 관점 · 이윤미 297
랑시에르와 지적 해방을 위한 평등주의 교육 · 신병현 330
제4부 유토피아와 미래
오웬의 유토피아적 공동체와 교육 · 이윤미 367
미래교육 담론: 축복인가? 재앙인가? · 심성보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