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권리인가, 사회 체제 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인가
교육칙어 체제의 성립 과정을 고찰하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가 맞물리는 시기에 한국의 근대교육 시스템이 일본의 근대교육 시스템을 따라가는 방식으로, 혹은 일본에 의해 강제로 이식당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이에 한국 근대교육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려면 일본 근대교육의 형성 과정을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관계사나 비교사, 그리고 트랜스내셔널적 접근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이 강조되는 최근의 연구 동향에 비추어 본다면 일본 근대교육의 역사를 한국 연구자의 입장에서 검토하는 것은 한국 근대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교육은 개인에게 자아를 실현하고 인간으로서의 권리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주지만, 사회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를 전수해 인간이 체제에 순응하도록 하는 힘도 가진다. 메이지 시기의 교육은전자보다는 후자의 힘이 훨씬 강하게 작용했다. 그 바탕에 교육칙어가 존재했다. 이 책에서는 메이지 시기의 교육 정책 및 교육론에 대해 교육 관료, 지식인, 여론 등 각 집단이 지니고 있었던 입장을 드러내면서, 이들이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며 하나의 방향으로 귀결되는 과정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일본 근대교육의 전개과정이 천황제교육체제 혹은 교육칙어체제를 구축해 가는 과정이었음을 분명히 하고자 했다. _머리말에서
Contents
머리말 5
제1장 종교행정과 교육행정의 분리 논쟁: 1870년 전후 15
Ⅰ. 메이지 유신 전후의 사회상 18
Ⅱ. 국민통합과 신·유·불 합동 포교 체제의 구상 26
Ⅲ. 문부성과 교부성의 갈등 32
Ⅳ. 종교적 교화에서 근대적 교육으로 38
제2장 도덕교육 논쟁: 1870~1880년대 45
Ⅰ. 서구화 풍조의 유행과 1879년 교육령 48
Ⅱ. 교육의敎育議 논쟁 54
Ⅲ. 덕육德育 논쟁의 전개 59
Ⅳ. 지육 편중의 교육에서 덕육 편중의 교육으로 76
제3장 신민교육과 국민교육 논쟁: 1880년대 중반 79
Ⅰ. 1880년대 사회사상의 흐름 82
Ⅱ. 국가주의 사상의 교육적 반영 89
Ⅲ. 신민교육과 국민교육의 내용 및 방법 98
Ⅳ. 국가주의 교육의 스펙트럼 104
제4장 학제개혁 논쟁: 1890년대 전반 107
Ⅰ. 근대적 학제개혁의 역사 110
Ⅱ. 1890년대 이노우에 고와시의 학제개혁안 122
Ⅲ. 교육 구상과 현실 정치의 괴리 136
제5장 교육칙어와 기독교의 충돌 논쟁: 1890년대 이후 143
Ⅰ. 교육칙어의 발포와 보급 실태 146
Ⅱ. 1891년 불경 사건의 전모 155
Ⅲ. ‘교육과 종교의 충돌’ 논쟁의 진상 168
Ⅳ. 불경 사건, 그 이후 180
제6장 교육의 중립성 논쟁: 1890년대 후반 187
Ⅰ. 기독교의 보급과 기독교계 학교의 성립 190
Ⅱ. 교육과 종교의 분리 정책의 전개 204
Ⅲ. 교육의 중립성 논쟁과 기독교계 학교의 선택 215
제7장 교육칙어 수정 논쟁: 1900년 이후 221
Ⅰ. 교육칙어 수정 의견의 대두 224
Ⅱ. 교육칙어 수정 의견의 양상 228
Ⅲ. 교육칙어 수정 불가의 논리 243
맺음말 247
보론 1 | 메이지 시기 일본의 여자교육 251
보론 2 | 메이지 시기 일본의 부락학교 277
참고 문헌 302
찾아보기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