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와 도자기

한국 도자기 문명사
$39.96
SKU
979115925726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28
Pages/Weight/Size 160*225*30mm
ISBN 979115925726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국의 토기 및 도자기 제작이 갖는
역사적 위치와 의의에 대한 비교사적 검토


한국의 토기와 도자기문화의 발전 과정을 기존과는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성형기법, 산지 추정, 사회적 기능 및 역할과 고유의 미감을 포착하는 것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문명사적 관점에서 토기 및 도자기 제작기술이 여타 다른 분야의 제작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주목한다. 아울러 동아시아 전체의 맥락에서 한국의 토기 및 도자기 제작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치와 의의에 대해 비교사적 검토를 시도할 것이다.

토기와 도자기는 각각의 시대를 대표하며 해당 사회의 기술적 수준과 이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견인해왔고, 당시의 중요한 정보 교류 수단이자 당대인들이 생각하는 세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거나 구현했다. 토기 및 도자기의 제작은 단순히 실용적인 사용의 목적만을 위해 어떠한 대상을 만들어내는 결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제작자 자신이 자신을 만들어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또한 토기와 도자기 제작은 기존의 전통적인 제작방식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기술혁신이 일어나는 과정이기도 했다. 이러한 기술혁신은 성형기법 혹은 소성기법을 도입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요소들이 기존의 요소들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가능한 것이기도 했다.

토기와 도자기의 제작과 사용 그리고 이에 따른 사회적 변화는 선사시대에서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지금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또한 선사시대로부터 지속된 토기 및 도자기 제작 전통의 흐름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고, 그렇게 지속되어온 기술문명의 혜택을 끊임없이 누리고 있다는 점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머리말: 흙과 불의 만남

2장 토기의 등장과 도자기로의 전환


1절 인류 최초의 신소재: 토기의 탄생
2절 토기의 등장과 그 배경
3절 선사 토기의 제작과 발전: 토기의 등장과 불의 사용
4절 또 하나의 혁신, 유약의 개발: 토기에서 자기로

3장 토기의 시대: 선사 및 고대 토기의 제작기술 발달사

1절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과 사회 변화
1. 토기 제작기술과 작업 연쇄
2. 토기 제작기술의 변화와 장인
3. 토기 제작기술의 복원과 민족지 고고학
4. 한국 선사시대 토기 제작과 공방 ?가마 구조를 중심으로?
2절 선사 및 고대 토기를 통해 본 문명사
1. 한국 선사시대 토기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2. 한국 고대 토기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3. 종류와 기능에 따른 토기의 의미
4. 토기의 생산과 유통
5. 토기가 알려 주는 것

4장 자기의 시대 I: 청자의 발달과 제작기술의 성숙

1절 고려시대 청자의 도입과 새로운 도자기문화의 전개
1. 차문화와 중국 자기의 유입
2. 초기 청자가마의 구조와 제작기술의 원류
2절 청자 제작기술의 발달과 질의 분화
1. 고려비색의 구현
2. 번조기술의 분화와 품질의 다변화
3절 상감청자를 통해 본 공예재료 간 장식기법의 공유
1. 고려청자의 독보적 성취, 상감기법
2. 공예기법의 공유와 청자의 특수성
4절 도량형기로 사용된 고려의 도기
1. 양기로 활용된 고대 토기의 사례
2. 고려 선박 마도선 인양 도기 항아리에 반영된 측정과학

5장 자기의 시대 Ⅱ: 조선 도자의 완성과 장식기법에 따른 의미

1절 고려 전통의 계승, 분청사기
1. 분청사기의 시작과 인화기법의 발전
2. 분청사기의 지역성
2절 새로운 왕조의 이상과 경질백자의 완성
1. 관요제도의 성립과 조선 왕실의 백자 사용
2. 왕실백자 제작의 체계적 운영과 관리
3. 왕실백자의 제작 공정과 공방
3절 장식기법에 따른 조선백자의 위계
1. 백자의 다양한 장식기법
2. 장식기법과 문양에 따른 백자의 위계

6장 기와와 전돌

1절 기와
1. 기와의 발생과 발전 과정
2. 기와의 용도
3. 기와가 말하는 것
2절 전돌
1. 개념과 기원
2. 전돌의 보급과 발전
3. 중세사회에서 전돌의 사용

7장 맺음말

■ 부첨1: 토기 양식과 정체성
■ 부첨2: 토기의 확산과 사회적 구분 ㅡ유럽 Bell Beaker Pottery를 중심으로ㅡ
■ 부첨3: 제주도 고산리식 토기와 한반도
■ 부첨4: 대표적인 초기 청자요지 황해도 배천 원산리 요지
■ 부첨5: 바닷길을 이용한 고려청자의 유통
■ 부첨6: 고려시대 생활사 자료의 보물창고, 태안 마도선
■ 부첨7: 조선 초 공납제도의 단상을 보여주는 분청사기 명문(銘文)
■ 부첨8: 조선 후기 백자에 나타난 대외 교류의 양상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Author
김종일,권오영,장남원,한혜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고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수학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물질문화와 개인과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고고학적 경관 연구, 고고학 이론(현상학, 해석학, 기호론 등), 고고유전학 등이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가발라시 살비르 유적과 러시아 투바 공화국 스키타이 아르잔 고분군 발굴 조사에 참여하고 있다. 「유럽 선사 및 고대 시기의 민족과 민족적 경계에 대한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의 검토」(2018), 「고고학적 설명에서의 시간 축과 시간성」(2016), 「유럽 선사 시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독일 남부 지역 출토 무덤을 중심으로」 등을 포함해 유럽 선사 시대와 한국 청동기 시대 및 고고학 이론과 고고학사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 번역서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고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수학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물질문화와 개인과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고고학적 경관 연구, 고고학 이론(현상학, 해석학, 기호론 등), 고고유전학 등이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가발라시 살비르 유적과 러시아 투바 공화국 스키타이 아르잔 고분군 발굴 조사에 참여하고 있다. 「유럽 선사 및 고대 시기의 민족과 민족적 경계에 대한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의 검토」(2018), 「고고학적 설명에서의 시간 축과 시간성」(2016), 「유럽 선사 시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독일 남부 지역 출토 무덤을 중심으로」 등을 포함해 유럽 선사 시대와 한국 청동기 시대 및 고고학 이론과 고고학사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 번역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