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들이 소비하는 문화, 그 알려지지 않은 이면 이해하기
지금은 소녀와 소녀문화를 다시 이야기할 때입니다!
모든 여성은 한때 소녀였다. 하지만 ‘소녀’라는 단어를 생각할 때 우리는 그 안에 단순히 ‘여자아이’ 이상의 함의가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스스로를 가리켜 소녀라 지칭하는 여자아이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것은 그 때문일지 모른다. 우리는 소녀라 불리며 자라서 소녀들을 위한 것이라 여겨지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 일명 ‘소녀문화’를 소비하며 자랐다. 그 안에는 백설공주·신데렐라 등 디즈니 프린세스와 요술공주 샐리·세일러 문 같은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등이 포함되었으나, 게임·액션 피규어 등 소녀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권장되지 않았던 것들도 있었다. 이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소녀들에게도 적용된다. 그들 대다수는 소녀가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채 소녀라 지칭되고, 소녀를 위한 것이라 여겨지는 문화를 소비하며 자라게 된다.
이 책은 아동·청소년기에 소녀문화를 열정적으로 소비하며 자란 어른이 소녀문화를 다시 마주하게 되었을 때 양가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평범한 소녀가 마법전사가 되어 악의 세력을 물리치고 세상을 구한다는 서사의 애니메이션은 소녀에게 용기와 자신감을 북돋아주는 것일까, 아니면 미니스커트를 입고 하이힐을 신은 모습을 통해 성역할을 세뇌하는 것일까?
성인의 입장에서 소녀문화를 단정 짓기는 쉽다. 그 과정에서 어떤 문화적 요소는 어린이에게 이롭다는 이유로 장려되는 반면, 어떤 것은 해롭다는 이유로 탈락한다. 그 모든 과정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성인의 판단이다. 하지만 소녀문화에는 단순히 여자 어린이들에게 권장할 만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이라는 이분법적 프레임 그 이상의 복잡한 맥락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소녀와 소녀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바라볼 것인가? 이 책은 소녀문화에 대한 약 반세기 동안의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논의들을 톺아보며 ‘소녀란 누구인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고 소녀문화의 여러 맥락들을 짚어나간다.
Contents
저자의 말: 발명된 소녀, 발견된 어린이
디즈니는 어떻게 프린세스 브랜드를 되살렸을까?
팀 디즈니의 심폐소생 메르헨 | 엘사의 강림, 제자리를 찾은 권능 | 공주 원정대, 왕자는 필요 없어
바깥은 위험하니 디즈니 곁을 떠나지 마
딸을 키우는 내가 디즈니에 충성하는 이유 | 여성 주인공, 1/3과 1/10 사이 | 3차원의 위협을 2차원의 공주로 막을 수 있나
스타 없는 스타워즈, 레이 없는 팀 레이
소녀들에게 판매할 액션 피규어는 없습니다 | 하이힐을 신은 바비에서 제트기를 탄 원더우먼으로 | 아이들과 사회 간의 연결고리, 장난감
어린이로 하여금 마음껏 놀게 하라!
앙팡 루덴스, 놀이가 낳은 인간 | 어린이를 따돌리는 사회, 어린이를 탓하는 성인 | 빼앗긴 운동장에도 소녀들은 오는가 | 어린이에게도 등번호가 필요합니다
게임 업계, ‘노답’인 줄 알았는데 오답이었습니다
오락실, 전자상가, 소녀들의 여행유의지역 | 게임 업계의 ‘분홍색’ 호객행위 | ( ) 이즈 더 뉴 핑크 | 심즈?메이플?마비노기?쿠키런 | 방향키가 되어줄 30년간의 플레이 로그
역설의 요술공주 샐리가 찾아왔어요
소년 만화가가 최초의 마법소녀를? | 성별로 분단된 시장, 두 동강 난 애니메이션 | 이상과 현실을 모두 담은 마법소녀
성인 인증을 필요로 하는 ‘마법소녀’ 검색 결과
내 손 안의 마법 세계 | 저희가 ‘오스칼’과 ‘세이코짱’을 어떻게 이깁니까? |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에서 ‘소녀’가 사라졌다 | 소녀를 배제한 마법소녀, 마법소녀를 외면한 소녀들
세일러 문은 왜 세상을 구하지 못했을까?
거품 괴물 vs 문 파워 액션 | 다이아몬드는 소녀들의 단짝친구 | 예쁘고 친근하며 매력적인 여성주의, 시장 페미니즘
30분짜리 장난감 광고가 된 어린이 애니메이션
유통기한 1년짜리 소모품 마법소녀들 | 프리큐어 전사들도 빠져나갈 수 없었던 자본의 덫 | 그 시절 우리의 단짝이었던 마법소녀들을 생각하며
모든 문학은 소녀로부터 시작되었다
소녀소설이라는 프로파간다 | 소녀소설은 보편문학이다 | 여성 작가만이 만들 수 있는 괴물
나다울 수 없는 세상에서 ‘어린이책’으로 살아남기
그 시절 우리가 사랑했던 소녀소설 이야기 | 세월의 파도와 시장의 부침에 표류하는 아동문학 | 청소년은 공감할 수 없는 청소년소설이라니 | 문화적 경향으로 자리 잡은 소녀문학 | 아동문학이 자생할 수 있는 터전을 꿈꾸다
소녀 영웅 뒤에 가려진 성차별의 그늘
남자 주인공이 더 편했어요 | 구조적 성차별이 증발한 판타지 세계 | 눈떠보니 유성애 세계관에 갇힌 나 | 모르는 게 약이라는 달콤한 유혹 아래
내 맘에 아이돌빠순이팬픽홈마케이팝 꾹 삼킨 채
아이돌과 소녀팬, 경멸로 시작된 역사 | H.O.T. 두 컵에 동방신기 | 세 스푼, 빅뱅 한 꼬집 | 험난한 ‘돌판’에서 ‘여돌여덕’으로 살아남기 | 솔직히 K-POP 우리가 키웠다
고백합니다, 여성 아이돌을 볼 때마다 죄스러운 이유를
Born skinny, b**** 암만 살쪄도 난 마름 | 혹독한 트레이닝의 끝엔 | ‘인간 구찌’ ‘인간 샤넬’이 | ‘국민 여동생’의 삶에서 틀린 그림 찾기 | 덫을 팝니다, 아이돌 음반이랑 1+1!
소녀, 피그말리온의 조각상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少女, 어린 여자아이와 작은 여성 그 사이 | 삼촌팬의 문화적 퇴행 | 불가능을 목표로 하는 존재 | 수동적 피해자인가, 능동적 행위자인가 | 너로 채운 Mirror, 신비로운 미로
주석
참고문헌
Author
백설희,홍수민
어느새 7년 차 출판 편집자. 지금까지의 나를 구성했던, 그리고 앞으로의 여아들을 구성할 소녀문화에 대해 관심이 많다. 인문학공동체 ‘이음’에서 발간하는 웹진 《CONNECT》의 저널위원이다. ‘박복숭아’라는 필명으로 소설을 쓰고 있으며 《아이즈》, 웹진 《비유》 등에 여러 글을 기고했다.
어느새 7년 차 출판 편집자. 지금까지의 나를 구성했던, 그리고 앞으로의 여아들을 구성할 소녀문화에 대해 관심이 많다. 인문학공동체 ‘이음’에서 발간하는 웹진 《CONNECT》의 저널위원이다. ‘박복숭아’라는 필명으로 소설을 쓰고 있으며 《아이즈》, 웹진 《비유》 등에 여러 글을 기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