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42.12
SKU
97911592548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1/30
Pages/Weight/Size 160*225*35mm
ISBN 979115925487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선사 및 고대 과학기술의
문명사적 의의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하다

이 책은 한국 과학문명의 변화와 발전과정을 도구와 기술의 혁신 및 변화 그리고 발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 시도의 결과물이다. 역사적으로 드러나는 기술과 도구의 변화 발전은 단순히 인간 지능의 진보의 산물이거나 더 효율적이고 더 좋은 것으로의 단선적이고 일방향적인 발전이 아니라, 다양한 인간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악되어야 하는 매우 복잡한 사회적 행위의 산물이다. 따라서 기술과 도구의 변화 과정은 사회적 변화라는 보다 커다란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기술과 도구의 발달은 인간의 노력에 의해 가능하며, 인간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장이다. 그러나 인간에 의해 일단 등장하거나 완성된 기술과 도구는 일종의 에이전시로서 인간 행위와 사회를 특징짓거나 조건을 짓기도 한다. 이는 마치 인간이 동물과 식물을 길들였으나 그렇게 길들여진 동물과 식물이 인간을 길들이거나 인간의 행위를 조건 짓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인간이 기술과 도구의 발전을 통해 문명을 만들고 변화 발전시켜왔듯이, 역으로 기술과 도구의 발전이 어떻게 인간으로 하여금 문명을 만들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매개하거나 조건 지었는지를 통찰한다. 기술과 도구 그리고 과학이 인간에 의해 일방적으로 지배되는 수동적인 존재, 혹은 인간을 일방적으로 지배·종속시키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과 대등한 관계에서 그 나름의 역할을 하는 능동적인 존재임을 파악한다.
Contents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제1장 서론 _김종일 성춘택

제2장 돌을 다듬다: 문명의 시작 _성춘택


머리말: 석기와 기술 변화를 보는 시각
- 상자글 2-1. 최초의 돌로 만든 도구: 석기의 출현

1절 한국 선사시대 석기기술 연구사

2절 석기의 종류와 제작기술
1. 석기 제작기술의 이해
1) 석기의 종류
2) 석기 제작과 사용의 과정
2. 신석기, 청동기시대 석기의 제작과 분류

3절 석기기술의 다양성과 변화
1. 구석기시대 석기기술
1) 주먹도끼와 이른 구석기시대
2) “인류혁명”과 돌날기술
3) 돌감 사용과 석기기술의 진화
2.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석기기술
1) 돌화살촉의 제작과 사용
2) 농구와 공구: 돌괭이와 돌칼, 갈판과 갈돌
3) 석제 장신구와 옥
4) 간돌검과 청동기시대 사회의 위계
5) 석기 조성과 신석기·청동기시대 생업경제의 변화

4절 동아시아의 맥락과 사회 속에서 석기기술의 의의
1. 석기기술의 사회적 맥락
1) 석기와 선사시대 사회적 기술의 이해
2) 흑요석과 잔석기가 말하는 후기 구석기시대 사회네트워크
2. 동아시아 석기기술과 한국 선사시대의 석기

맺음말: 석기기술과 금속문명

제3장 금속을 녹이다: 금속문명의 도입과 청동기 _김종일

머리말

1절 동의 발견과 금속문명의 시작

2절 한국 청동기문화 연구에 대한 연구사

3절 청동 제작과 장인
1. 동광 산지 추정 및 동괴(copper ingot) 혹은 청동괴(bronze ingot)의 생산과 교역
2. 납 동위원소 분석과 산지 추정
3. 청동기 제작기술: 거푸집의 사용과 생산 제작기술 · 작업연쇄의 관점에서
4. 청동 제작장인의 신분과 생산조직
5. 청동기의 주조와 공방
6. 한국 청동기 제작기술과 생산 과정의 기술사적, 사회사적 의미 · 비교사적 관점에서

4절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청동기
1.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발전
2. 한반도 출토 청동기의 종류와 분포
1) 무기류: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동모, 동과, 동촉
2) 생산 공구류: 동부, 동착, 동사
3) 장신구류: 동포 등

5절 한국 청동기문화와 동아시아 문명
1. 한국 청동기문화와 중국 동북 지역
2. 한국 청동기문화와 일본 출토 한국계 청동기의 관계: 세형동검의 일본지역 내 확산과 초기 정치체의 형성

맺음말
- 상자글 3-1. 한국의 이형청동기와 지배자
- 상자글 3-2. 일본 요시노가리 유적과 한국식 세형동검

제4장 쇠를 두드리다: 우리 역사를 바꾼 혁신적인 이기, 철 _성정용

머리말: 철의 탄생과 그 중요성

1절 철 생산과 철기 제작기술: 사회를 변혁시킨 신기술
1. 철 생산 공정
1) 원료 획득
2) 제련 공정: 본격적인 철 생산
2. 철기 제작 공정
1) 주조 공정: 용해 및 주조
2) 단야 공정: 제강 및 성형단야
- 상자글 4-1. 철기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도구는 무엇이 있을까?
- 상자글 4-2. 옛날 철 생산에는 얼마나 많은 작업 인원이 필요하였을까?

2절 우리나라 제철 문화의 발달 과정
1. 신기술, 언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까?
2. 고대의 제철 양상
3. 중세의 제철 양상
1) 고고학 자료에 보이는 고려·조선시대의 제철
2) 문헌에 보이는 고려·조선시대의 제철
- 상자글 4-3. 조선시대의 철 종류와 장인

3절 다양한 철기의 종류
1. 무기
2. 농구
3. 마구

4절 철의 사회적·기술사적 의의: 철, 과연 우리 세상을 바꾼 이기였는가?

맺음말

제5장 금과 은을 구부리고 펴다 _이한상

머리말

1절 문명의 진전과 귀금속

2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귀금속의 채광과 정련
2.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주조
2) 단조
3) 투조와 색채대비
4) 누금세공
5) 상감
6) 도금

3절 장인과 귀금속 공방
1. 고대 장인의 사회적 신분
2. 귀금속 공방과 물품 제작

4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사회사: 권력의 표상, 귀금속
1. 금은공예품의 독점과 사여
2. 금은공예품 활용방식
1) 백제
2) 신라
3) 가야

5절 고대 금은공예문화의 확산: 양식의 창출과 확산
1. 고구려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1. 부여의 귀걸이
2. 신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2. 황남대총 금은제 그릇
- 상자글 5-3. 천마총 금은제 그릇
3. 백제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4. 무령왕기 금속용기
4. 가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5. 통일신라의 금은공예품

맺음말

제6장 결론 _김종일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Author
김종일,성정용,성춘택,이한상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고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수학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물질문화와 개인과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고고학적 경관 연구, 고고학 이론(현상학, 해석학, 기호론 등), 고고유전학 등이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가발라시 살비르 유적과 러시아 투바 공화국 스키타이 아르잔 고분군 발굴 조사에 참여하고 있다. 「유럽 선사 및 고대 시기의 민족과 민족적 경계에 대한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의 검토」(2018), 「고고학적 설명에서의 시간 축과 시간성」(2016), 「유럽 선사 시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독일 남부 지역 출토 무덤을 중심으로」 등을 포함해 유럽 선사 시대와 한국 청동기 시대 및 고고학 이론과 고고학사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 번역서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고고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수학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물질문화와 개인과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고고학적 경관 연구, 고고학 이론(현상학, 해석학, 기호론 등), 고고유전학 등이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가발라시 살비르 유적과 러시아 투바 공화국 스키타이 아르잔 고분군 발굴 조사에 참여하고 있다. 「유럽 선사 및 고대 시기의 민족과 민족적 경계에 대한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의 검토」(2018), 「고고학적 설명에서의 시간 축과 시간성」(2016), 「유럽 선사 시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젠더-독일 남부 지역 출토 무덤을 중심으로」 등을 포함해 유럽 선사 시대와 한국 청동기 시대 및 고고학 이론과 고고학사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 번역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