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시대 도시를 걷다

조선통신사가 인식한 문화공간으로서의 일본 도시 : 오사카, 교토, 나고야, 에도
$24.84
SKU
97911590562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1/25
Pages/Weight/Size 152*223*30mm
ISBN 979115905620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임진왜란 종결 이후 재개된 사행길의 조선통신사가 본 당시의 일본은 에도 막부의 치세 아래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었고, 도시는 그 발전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었다. 왜란의 쓰라린 기억을 원형질처럼 지니고 있을 수밖에 없던 통신사들에게 오사카, 교토, 나고야, 에도의 도시들은 어떻게 보였을까. 이 책은 그 도시들에 대한 기록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물화(物貨)의 부고(府庫) 오사카

지리적 특징 및 거리
오사카항과 하구(河口)
강을 거슬러 가는 뱃길
나루에서 관소까지 가는 육로
관소
관소의 종류 및 특징
관소에 대한 감상
오사카의 역사와 문화
도요토미 부자(父子)에 대한 인식
오사카성의 소실과 재건
오사카의 문화

제2장 왜황(倭皇)과 불교의 공간 교토

교토의 위상과 지리적 특징
교토의 위상
지리적 특징
‘관광’하는 사람들과 피로인(被擄人)
관소
관소의 종류 및 특징
다이부츠덴(大佛殿) 연회 문제와 이총(耳塚)
교토의 역사와 왜황
후시미성(伏見城)에 대한 인식
왜황에 대한 인식

제3장 도쿠가와 종실(宗室)의 식읍(食邑) 나고야

지리적 특징 및 거리
하천 및 배다리(舟橋)
나고야에 이르러 관소 가는 길
관소
도쿠가와 가문과 인연 깊은 관소
도쿠가와 종실과 나고야 문화
나고야 도쿠가와 종실에 대한 인식
나고야의 문화
시문창화(詩文唱和)의 유래와 조선 문화재

제4장 관백(關白)의 공간 에도

지리적 특징 및 거리
에도에 대한 인식
에도 거리의 특징
관소
관소의 종류 및 특징
관백과 에도 문화
관백에 대한 인식
에도성의 건축과 문화

참고 자료 목록
Author
김경숙
고전문학이 좋아 국어국문학과에 들어와 오랜 세월 문학을 벗 삼아 걸어왔다.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삶이 한시와 산문을 통해 혹은 기쁘게 혹은 슬프게 이 길을 안내했다. 쉽지만은 않은 길이었지만 연구자로서의 긍지와 보람이 있었다. 그동안 조선 후기 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두었고, 주로 서얼과 여성과 조선통신사에 대해 책과 논문을 썼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도 즐거웠으며, 한문과 한문학, 문화공간과 예술,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해 주로 강의하였다.

이화여대 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와 이화여대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가천대·한경대·한신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이화여대 연구원, 한신대 학술연구교수를 지냈다. 그동안 조선 후기 특히 18~19세기 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두었고, 주로 서얼과 여성과 조선통신사에 대해 책과 논문을 썼다. 논문으로 「조선후기 漢詩에 나타난 創新風 연구」 「紫霞 申緯와 그 시대 여성들 또는 女性像」 「여성 漢詩文에 나타난 ‘딸’의 형상화 고찰」 등이 있고, 저서로는 『조선 후기 서얼문학 연구』 『조선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일본으로 간 조선의 선비들』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공저) 『우리 한문학사의 해외체험』(공저) 등이 있다.
고전문학이 좋아 국어국문학과에 들어와 오랜 세월 문학을 벗 삼아 걸어왔다.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삶이 한시와 산문을 통해 혹은 기쁘게 혹은 슬프게 이 길을 안내했다. 쉽지만은 않은 길이었지만 연구자로서의 긍지와 보람이 있었다. 그동안 조선 후기 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두었고, 주로 서얼과 여성과 조선통신사에 대해 책과 논문을 썼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도 즐거웠으며, 한문과 한문학, 문화공간과 예술,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해 주로 강의하였다.

이화여대 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와 이화여대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가천대·한경대·한신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으며 이화여대 연구원, 한신대 학술연구교수를 지냈다. 그동안 조선 후기 특히 18~19세기 문학과 문화에 관심을 두었고, 주로 서얼과 여성과 조선통신사에 대해 책과 논문을 썼다. 논문으로 「조선후기 漢詩에 나타난 創新風 연구」 「紫霞 申緯와 그 시대 여성들 또는 女性像」 「여성 漢詩文에 나타난 ‘딸’의 형상화 고찰」 등이 있고, 저서로는 『조선 후기 서얼문학 연구』 『조선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일본으로 간 조선의 선비들』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공저) 『우리 한문학사의 해외체험』(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