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진의 『한국 근대극의 동역학』(소명출판, 2020)은 우리 근대극의 형성과 전개의 과정을 창작극과 번역극, 미디어연극 등을 키워드로 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는 우리 근대연극의 형성과정을 공공극장과 상업적인 대중극(신파극)의 등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던 저자의 『한국 근대연극의 형성』(푸른사상, 2011)과 기본적인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연구의 대상을 당대의 사회와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연극(희곡) 작품으로 확장한 것이다.
그동안 우리 연극사에서 근대극은 이러한 신파극을 극복하고 무엇보다도 사실주의적으로 쓰여진 창작 희곡이었다. 하지만 신파극과 근대극의 이항대립적 구분은 사실이 아니며 심지어 부당하기까지 하다. 우리의 근대극은 특정한 개인이나 단체 또는 세력의 성취나 전유가 아니라, 신파극과 학생 소인극, 번안/번역극과 창작극, 여배우 등과 같은 여러 동인(動因)들이 제각기 분투하고 서로 교섭했던 실질적인 과정이자 이를 통해 추구되었던 이념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 근대극의 동역학』은 그러한 과정의 역학(力學)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 살펴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제1장 신파극 개량과 근대극운동-서구 번역극과 창작극, 그리고 여배우 77
1. 근대극의 증후들 77
2. 일본의 근대극 순회공연과 그 영향 82
3. 이기세와 윤백남의 신파극 개량과 근대극의 시도 91
제2장 무대에 선 「카츄샤」와 번역극의 등장 104
1. 이제, 번안극에서 번역극으로 104
2. 예성좌의 번안극 「코르시카의 형제」, 그 절반의 성공 109
3. 「부활」의 번역 공연과 경로-런던에서 동경, 그리고 경성으로 116
4. 「카츄샤」의 멜로드라마적 근대성 132
제3장 카츄샤 이야기-「부활」의 대중서사와 그 문화변용 136
1. 「부활」의 대중서사, ‘카츄샤 이야기’ 136
2. 무대에 선 카츄샤-남성 욕망의 대상 142
3. 노래하는 카츄샤-애처로운 이별의 정한 150
4. 이야기되는 카츄샤-낭만적인 사랑의 여주인공 159
5. 대중서사, 그 해체와 재생의 오시리스Osiris 167
제4장 「애사」에서 「희무정」으로-식민지기 ??레미제라블??의 연극적 수용과 변용 170
1. 식민지 조선과 ??레미제라블?? 170
2. 변사연극 「애사」와 ‘동정’의 멜로드라마 176
3. 활동사진 「희무정」과 ‘사회’ 비판 183
4. 윤백남의 ‘사회’의식-?연극과 사회?와 「희무정」의 각색 공연 188
제5장 입센극의 수용과 근대적 연극 언어의 형성 195
1. 근대적 연극 언어의 계기들 195
2. 입센극의 번역과 ‘토론’의 언어 201
3. 1910년대 창작희곡의 언어적 근대성 209
제3부 고학생 드라마와 사회극의 등장
제4장 재담과 만담, ‘비의미’와 ‘진실’의 형식-박춘재와 신불출을 중심으로 414
1. 재담과 만담, ‘소리’의 예술과 ‘말’의 예술 414
2. 명창 박춘재, 조선가곡의 대표자 421
3. 「병신재담」과 ‘비非의미’의 언어 426
4. 신파 연극인 신불출, 만담의 천재 434
5. 「관대한 남편」과 근대적 삶의 ‘진실성’ 443
참고문헌 453
색인 460
간행사 464
Author
우수진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의 근대연극사에 대해 연구하면서 연극평론과 드라마투르그 등 현장활동을 겸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연극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근대연극의 형성』(푸른사상, 2011), 역서로는 『서양 연극사 이야기』(평민사, 2005(2016))가 있다.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의 근대연극사에 대해 연구하면서 연극평론과 드라마투르그 등 현장활동을 겸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에서 연극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근대연극의 형성』(푸른사상, 2011), 역서로는 『서양 연극사 이야기』(평민사, 2005(2016))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