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한 권력과 낯선 타자

친밀사회에서의 문학과 정치
$43.70
SKU
979115905437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8/3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91159054372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저항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이 책은 20세기 중반에 창안된 친밀한 권력이 오늘날의 친밀사회에서 어떻게 발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친밀한 권력은 삶권력(푸코)보다 친밀한 동시에 생명정치(아감벤)보다 무서운 권력이다. 그런 친밀한 권력에 대응하려면 이제까지와는 다른 특별한 문학과 정치가 필요하다. 이 책은 친밀사회의 인격의 식민화에 대응하기 위해 ‘저항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가 필요함을 논의하고 있다. 그 구체적 방법은 촛불집회와 미투 운동, 그리고 새로운 문학에서 발견되는 존재론적 저항과 은유로서의 정치이다.

오늘날은 유례없는 양극화에 시달리면서도 그에 대응하는 문학과 정치는 더없이 약화된 시대이다. ‘역사의 종언’(후쿠야마)이나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월러스틴)은 모두 이에 대한 논의들이다. 이 책은 그런 오늘날의 무력감이 ‘역사의 종언’이 아니라 친밀한 권력에 의한 ‘역사의 미로’ 때문임을 논의한다. 역사의 미로란 역사가 끝난 것이 아니라 해방의 공간을 소망하면서도 끝없이 미로를 헤매는 상태를 뜻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_친밀한 권력과 다수 체계성
1. 친밀한 권력의 아이러니
2. 근대적 경계선의 딜레마와 친밀한 권력의 탄생
3. 식민지적 불안과 친밀한 제국의 친밀성
4. 친밀한 권력과 성적 페티시즘의 은유
5. 친밀사회와 결혼의 정치학-「낭만적 사랑과 사회」
6. 민족적 결연을 위한 번역의 정치학-『춘향전』과 제국의 페티시즘
7. 친밀한 권력의 동일성과 다수 체계성-임화의 번역 불가능성과 특이성
8. 다수 체계성의 횡단과 낯선 타자의 회생-신체제의 친밀한 권력과 김남천의 다성적 소설
9. 삶권력과 친밀한 권력의 결합-여성이라는 인격의 식민지와 낯선 두려움의 역습

제2장_낯선 두려움의 미학과 은유로서의 정치
1. 존재론적 회생의 시도-낯선 두려움과 은유적 정치, 다수 체계성
2. 친밀한 권력과 낯선 두려움
3. 신자유주의적 친밀사회와 다수 체계성-복수 코드적 환상을 통한 낯선 타자의 회생
4. 벌거벗은 생명은 어떻게 구원을 얻는가-다수 체계성의 역습
5. 비식별성의 시대의 수용소와 미학적 정치의 구원
6. 종말론과 구원의 정치
7. 증언과 기억, 그리고 은유적 정치-저항의 이중주

제3장_내선일체와 친밀한 권력
1. 내선일체의 페티시즘과 친밀한 제국-네이션을 넘어선 결연의 환상
2. 대동아공영과 세계화의 틈새로서의 트랜스내셔널
3. 내선일체의 비식별성의 어둠에서 트랜스내셔널한 은유의 빛으로-「빛 속으로」, 「광명」
4. 사상적 전향과 숨은 영혼의 구원의 미학-「향수」
5. 비식별성 속에서의 해탈과 에로스의 연대-「천마」, 「천사」

제4장_젠더 영역과 신식민지에서의 친밀한 권력
1. 남성중심적 권력과 거세된 타자의 낯선 두려움
2. 신식민지의 친밀한 권력과 기지촌 성 노동자의 위치
3. 친밀한 권력에서의 경계선상의 존재들
4. 젠더 영역의 우울한 일상과 낯선 두려움의 미학-「지렁이 울음소리」, 「닮은 방들」
5. 버려진 여성들의 비식별성의 비극과 애도의 미학-「그 가을의 사흘 동안」
6. 신식민지의 비식별성을 비추는 기지촌의 군대 성 노동자
7. 군대 성 노동자들은 누구를 사랑했는가-『뺏벌』과 은유로서의 정치

제5장_신자유주의와 친밀한 권력이라는 유령의 출몰
1. 친밀사회에서 매장되는 사람들과 반격의 이중주
2. 저항의 새로운 형식-비식별성을 비추는 은유의 이중주
3. 친밀한 제국의 발명과 친밀사회의 탄생-전쟁의 동원에서 상품의 동원으로
4. 친밀한 권력의 유령의 출몰-최명익과 배수아 소설의 판타스마고리아
5. 보이는 환상과 보이지 않는 죽음정치-배수아의 「바람인형」과 이창동의 〈버닝〉
6. 앱젝트에서 생명성의 증거로-‘막’ 뒤에서의 낯선 두려움과 사랑의 회생
7. 앱젝트와 대상 a-비천한 ‘엄마들’
8. 보이지 않는 죽음정치와 비식별성의 역습
9. 세월호 사건과 은유로서의 정치

제6장_친밀사회의 불평등성과 실재계적 윤리
1. 기울어진 평형수와 구조화된 불평등성
2. 친밀한 금수저와 낯선 흙수저-신데렐라의 유령
3. 중간층의 환상과 거세공포-김애란의 「벌레들」
4. 친밀사회의 청소부와 앱젝트 되기-「하루의 축」
5. 죽음정치의 폐허와 생명적 존재의 유성우-「물속 골리앗」, 「폐허를 보다」
6. 신자유주의의 의자놀이와 21세기의 산책자-조해진의 「산책자의 행복」
7. 상상적 고착화의 신화에서 실재계적 윤리로

제7장_친밀사회의 예외상태와 젠더 영역의 비식별성
1. 친밀사회와 젠더 영역의 예외상태
2. 젠더 영역의 비식별성과 정체성의 난제-신여성의 예외상태
3. 친밀사회에서의 여성의 예외상태-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
4. 두 가지 비밀과 두 개의 미결정성-김이설의 「비밀들」
5. 비밀의 연대를 통한 여성성의 귀환-미투운동의 비식별성의 반격
6. 일상의 촛불로서 미투운동

제8장_친밀사회의 감성권력과 은유로서의 정치
1. 이성을 흐리는 감성권력과 을들끼리의 전쟁
2. 감성권력의 미학과 정동투쟁
3. 확장된 삶권력과 죽음정치에 대항하는 은유적 투쟁-송경동의 시
4. 미결정적 정체성과 새로운 변혁운동
5. 친밀한 권력의 수출-「나는 한국인이 아니다」
6. 새로운 변혁의 비빕밥-자아의 빈곤화와 주체 위치의 분산을 함께 넘어서는 방법
7. ‘촛불시즌 2’와 은유로서의 정치
8. 감성의 분할에서 은유적 정치로-코페르니쿠스적 전회
9. 건축에의 의지에서 물위의 도시와 다수 체계성으로

찾아보기
Author
나병철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원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소설이란 무엇인가』(공저), 『문학의 이해』, 『전환기의 근대문학』, 『근대성과 근대문학』,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소설의 이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근대서사와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소설과 서사문화』,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문학교육론』(제임스 그리블), 『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영화』(테드 휴즈), 『서비스 이코노미』(이진경), 『문화의 위치』(호미 바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마이클 라이언), 『해체론과 변증법』(마이클 라이언), 『중국문화 중국정신』C. A. S. 윌리엄스), 주요 논문으로는 「환상소설의 전개와 성장소설의 새로운 양상」, 「탈식민주의 시각에서의 정전 재구성」, 「탈식민주의와 환상」, 「청소년 환상소설의 문학교육적 의미와 '가치의 세계'」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원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소설이란 무엇인가』(공저), 『문학의 이해』, 『전환기의 근대문학』, 『근대성과 근대문학』,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소설의 이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근대서사와 탈식민주의』,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소설과 서사문화』,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문학교육론』(제임스 그리블), 『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영화』(테드 휴즈), 『서비스 이코노미』(이진경), 『문화의 위치』(호미 바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마이클 라이언), 『해체론과 변증법』(마이클 라이언), 『중국문화 중국정신』C. A. S. 윌리엄스), 주요 논문으로는 「환상소설의 전개와 성장소설의 새로운 양상」, 「탈식민주의 시각에서의 정전 재구성」, 「탈식민주의와 환상」, 「청소년 환상소설의 문학교육적 의미와 '가치의 세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