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문학사에서 다양한 양태로 현상한 보편주의의 양상을 살펴보고 문학이 인력과 척력을 발휘하면서 보편주의의 다양한 양태들과 교섭해온 방식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려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한국문학사에서 보편주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도래했다. 무엇보다도 근대라는 참조항이 서구에서 발원하여 보편을 일러주는 별자리로 기능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작업은 언제나 보편에 대한 동경과 특수자로서의 소명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고투였다.
Contents
간행사
서문
제1부 | 보편주의와 심미적 가상 그리고 실재에의 열망
도착적 보편과 마주선 특수자의 요청
- 김기림의 경우
1. 애도 작업(Trauerarbeit)과 로고스의 문제
2. ‘근대’라는 대문자 타자(Autre, the Other)
3. 근대의 결산
4. 지연되는 요청으로서의 보편
해방기 김기림의 의식 전회 연구보편주의와 특수주의를 중심으로
1. 근대의 결산 혹은 지연된 요청으로서의 보편
2. 근대의 청산과 실재의 정화작업
3. 근대의 재결산과 이중구속
4. 실재의 공제
5. 결론을 대신하여
해방기 시론의 보편주의 연구‘실재에의 열망’을 중심으로
1. 복수의 보편주의와 실재를 향한 열망
2. 실재의 정화작업과 보편의 구제-김기림의 경우
3. 실재의 정화와 심미적 보편주의-조지훈의 경우
4. 생활의 귀납과 감산적 보편주의-김동석의 경우
5. 결론을 대신하여
보편성과 심미적 가상 그리고 공동체
- 백석과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사랑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1. 보편성 없는 공동체 혹은 부재하는 공동체
2. 심미적 공동체
3. 소통(교통, communication)의 실패와 사랑의 현상학
4. 공동체를 향한 정념
5. 무위와 미완의 공동체, 그리고 사랑의 변주와 시의 영구혁명
6. 민주주의와 공동체의 ‘토대 없음’과 문학-결론을 대신하여
이상의 「오감도」 연작에 개진된 알레고리적 태도와 방법 연구
1. 파토스의 영점(零點)과 슬픈 투시벽
2. 「오감도」 연작의 시사적 맥락
3. 알레고리에서 가치의 탈취와 상승
4. 「오감도」 연작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태도와 방법
5. 결론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1. 문학사가로서의 김춘수와 전범(典範)으로서의 이상
2. 절망과 기교의 두 가지 교섭 방식
3. 「꽃나무」로부터 「절벽」으로-절망의 재귀적 운동
4. 억압된 ‘방심상태’의 회귀와 무의미시
5. 무의미시와 「처용단장」 사이의 긴장
6. 결론
김수영과 시각(視覺)의 문제
1. 근대성과 시각
2. ‘속지 않고 보기’와 시선의 재정향(再定向)
3. ‘응시(the gaze)’, 그리고 불안과 저항
4. 근대적 시각장의 균열과 ‘바로 봄’
제3부 |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문학적 교환
1960년대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교환
1. ‘일반의지’의 왜곡과 불복종의 간극
2. ‘정동’이라는 렌즈
3. 1960년대의 이항대립과 정동-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간극
4. 당위와 현실 그리고 간극의 이행
5. 결론을 대신하여
신동엽 시의 민주주의 미학 연구
-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1. ‘민주주의라는 부유하는 기표’
2. 대의와 재현의 여백
3. 희망의 입법기관
4. 영원한 부정으로서의 민주주의와 시
5. 세 개의 하늘
6. 눈동자와 희망의 형상
제4부 | 문학·문화 연구의 동아시아적 지평
근대 초기 외국인 방문기에 나타난 세 가지 시선
1. 타자를 어떻게 표상할 것인가?
2. 진보적 작가의 유럽중심주의와 오리엔탈리즘
3. 복고풍의 심미적 오리엔탈리즘
4. 지리적 확산론과 근대적 시각 체계
5. 나가며
동아시아 문화연구의 성과와 새로운 조건
1.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의의
2.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성격
3. 생산과 조절로서의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성과와 한계
4.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새로운 대상 정립을 위하여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 그리고 문학 연구의 동아시아적 지평
1.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다중 지평 중 하나로서 중국이라는 참조항
2.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의 문제의식과 구성
3. 사실관계의 재정립과 중국 방문 체험의 변용
4. ‘언어횡단적 실천’으로서의 번역
5. 결론을 대신하여
관계론적 사유의 문학적 전개
- 『문심조룡』의 장르론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본론
3. 『문심조룡』의 체재와 원리
4. 『문심조룡』의 장르론적 이해
5.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