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년 동안의 진보

$55.20
SKU
97911590500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10/05
Pages/Weight/Size 153*223*40mm
ISBN 9791159050077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이 책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한반도의 20세기를 지배했던 '진보' 서사의 담론적 의의와 그 실천양태를 점검하려는 의도 아래 기획된 책이다. 진보는 한국의 근대사에서 현재적 문제요, 역사적 현실이다. 이 지점에서 지난 백 년간의 한국 근대사를 '진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읽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필자들은 보았다. 그렇지만 진보에 관련하여 한 목소리를 내는 대신 다양한 문제적 지점들을 보여줌으로써 20세기 한반도에서의 진보 개념의 문제성을 드러내는 것을 전략으로 택했다. 이 책은 근대 계몽기로부터 90년대에 대한 기억서사에 이르는, 100년이 넘는 시간대를 대상으로 설정했다.
Contents
책머리에 박헌호
이끄는 글_ 백 년 동안의 진보, 또 하나의 매듭 박헌호

1부 근대의 ‘발견’ 또는 모더니티와 진보
1장 문명적 이상의 굴절과 진보하는 시간 송민호
1. 서론-진보하는 시간에 대한 확신은 어떻게 가능한가
2. 진보에서 개화로, 다시 진보로-문명적 이상의 절합과 굴절
3. 근대적인 시간성의 발견과 진보하는 시간의 도래
4. 문명적 이상의 충돌과 진보의 시간축
5. 결론

2장 진화?후진성?1차 세계대전-[학지광]을 중심으로 김동식
1. 후진성에 대한 고찰-?헤겔 법철학 비판을 위하여-서설?과 관련하여
2. 전면적 결핍의 상황과 진화라는 초월적 기호
3. 후진성 또는 비동시적인 것의 동시성에 대한 감각들
4. 후진성과 진화론 사이에 마련된 자아의 장소들 -생명의 새로운 역사성
5. 후진성에 의해 요청된 기원 또는 문예부흥-서구의 역사를 어디서부터 전유할 것인가의 문제
6. 실재에 대한 열정과 1차 세계대전-세계사적 사건에의 공속과 진화론의 상대화
7. 1차 세계대전과 인류의 재/구성-세계사적 동시성의 잠정적?형식적 확보

3장 1910년대의 혁명-3?1운동 전야의 개념과 용법을 중심으로 권보드래
1. “민중이 회집하여 혁명을”
2. 1900년대, 정치혁명과 정신혁명
3. ‘혁명’의 당대화-신해혁명과 다이쇼데모크라시
4. [학지광]에 나타난 ‘혁명’
5. 3?1운동과 ‘혁명’

4장 1960년대 경제 엘리트의 진보와 주체 인식-생산성본부 미국시찰단을 중심으로 황병주
1. 머리말-진보와 발전 그리고 주체
2. 생산성본부 해외 시찰단 사업의 개요
3. 시찰의 시공간적 위상학
4. 시찰단의 미국 표상과 진보
5. 경제적 주체 형식들-개인과 국가 그리고 기업
6. 맺음말-만민 자본주의와 聖戰의 戰士

2부 이데올로기들의 거소-민족, 종교, 젠더
5장 영성과 모더니티-생명, 씨ㅇㆍㄹ, 율려로 본 한국적 진보의 궤적 이철호
1. 두 개의 진보-‘생존경쟁’과 ‘생명진화’
2. 탈서구화의 욕망, 보편주의의 재주술화 -이돈화의 ‘생명’
3. 민족의 성화, 세계주의라는 상상 -함석헌의 ‘씨ㅇㆍㄹ’
4. 동북아공생으로서의 근본주의-김지하의 ‘율려’
5. 생명과 진보

6장 1950년대 ‘진보’개념의 변화와 반공주의 내면화의 문제 김준현
1. 서론
2. ‘진보’의 주체 문제, 그리고 그 지향의 상대성
3. ‘진보’의 전유와 재전유, 그리고 외연의 확장
4. 진보당 사건과 ‘진보’의 외연 축소
5. 결론

7장 한국 현대지성사에서 ‘한신’이 가지는 의미 김건우
1. 들어가며
2. 또 하나의 ‘나라 만들기’ 기획
3. 제3세계 탈식민주의가 결과한 것들
4. 민중신학과 민중사회학
5. 남은 문제들-한신 노선의 기원

8장 1960년과 김구-추모?진상규명?통일론의 다이어그램 공임순
1. ‘김구’라는 문제계, 그를 둘러싼 기억 투쟁과 경합
2. 김구의 11주기 추도식과 쫓는 자/쫓기는 자의 진상규명‘투쟁’
3. 5?16에 의한 김구의 체제(국가)화와 억압되는 남북교류(협상)론
4. 장준하와 최인훈, 한일회담의 국면과 대항적 기억서사
5. 김구는 왜 진보와 보수 모두를 점할 수 있었는가-결론을 대신하며

9장 신여성과 일본군위안부라는 문지방들
-가적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를 돌아보며 이혜령
1. 신자유주의 한국의 1990년대 노스탤지어와 성 정치
2. 근대성의 총아로서의 신여성 연구와 딜레마
3. 일본군 ‘위안부’와 그 증언을 둘러싼 해석의 임계
4.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에 대한 제언

10장 북한의 주체 사회주의와 계몽의 기획-진보와 두 얼굴의 민족주의 강진웅
1. 들어가며
2. 역사적 진보와 야누스적 민족주의
3. 항일무장투쟁과 진보를 향한 역사
4. 유격대국가의 제도화와 주체사상의 규율화
5. 복고적 사회와 민족주의의 뒤안길
6. 나오며

3부 문학‘으로’ 진보
11장 시는 어떻게 진보에 기여하는가?-후진성?진보?새로움?시 강웅식
1.상황1-파국
2.상황2-한반도의 시간과 세계의 시간 그리고 ‘후진성’
3.진보와 새로움
4.김수영의 ‘순간을 다투는 윤리’와 시인 그리고 시
5.진실로 새로운 것의 출현-?눈?과 ?풀?
6.시의 진보와 세계의 진보

12장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대중화-또는 문학운동과 외부성의 문제 차승기
1. 사막과 화원 사이에서
2. “대중의 움직임을 파악하라”-문학의 대중성과 형식
3. 두 가지 위기와 대중의 조직화-볼셰비키적 대중화
4. 문학과 직접성
5. 보편적 외부성-맺음말을 대신하여

13장 ‘생활’하는 ‘주의자’들-[‘김병화’傳]으로 읽는 [삼대] 박헌호
1. 시작하며
2. 생활-보여지는 것과 말해지는 것
3. 지향-행복에의 요청과 ‘역사’
4. 맺음말

14장 무대 위의 러시아, 번역된 고리키-고리키의 [나 드네]에서 함대훈의 [밤酒幕]까지 문경연
1. 한국 근대문학과 러시아문학의 조우
2. [나 드네](1902), [夜の宿](1910), [밤酒幕](1933/1949)
3. [밤酒幕]과 무대의 진보 혹은 조선적 반향들
4. 나오며

15장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통해본 1970년대식 진보의 한 양상 손유경
1. 기원의 기원
2.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3. 번역과 대역, 혹은 유비의 메커니즘
4. 보편의 수행적 번역이라는 미완의 과제
5. 맺음말

4부 실천의 감성과 기억서사
16장 자생적인 실천적 이론, 그 성공의 시대
-1980년대 류해정의 촌극론?대동놀이론과 실천 이영미
1. 왜 류해정인가?
2. 이론의 핵심, 촌극과 대동놀이
3. 이론의 실천적 검증, 그 성과와 영향
4. 맺음을 대신하여-류해정 이론?실천의 의의와 그 후

17장 1980년대 운동사회의 감성-애도의 정치와 멜랑콜리 주체 김정한
1. 1980년대는 어떤 시대인가?
2. 감성의 좌표들
3. 정치 주체의 감성-열사의 유서
4. 애도의 정치와 멜랑콜리 주체

18장 1980년대 운동권에 대한 기억과 진보의 감성
-김영현, 박일문, 공지영의 9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조윤정
1. 10년 주기의 역사와 문학에 대하여
2. 혁명의 에너지로서의 슬픔과 공분
3. 배신(감)의 불가능성, 수치심과 죄책감
4. 상실감과 그리움, 애도의 (불)가능성
5. 결론

19장 ‘90년대’를 돌아보기-세대의 기억 상품과 자기 서사 이화진
1. 백 투 더 ‘90년대’
2. 시간의 난비, 재핑, 그리고 향수
3. 재활용되는 ‘90년대’의 문화와 세대의 자기 서사화
4. 유동하는 과거, 기억하려는 의지
5. ‘90년대’의 ‘청춘’을 기념하기

초출일람
필자 소개
Author
박헌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