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간 주도권 쟁탈전이 끊이지 않는 불안한 시대,
국가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안보와 무기체계에 관한 종합 해설서
이 책은 국가안보의 핵심인 군사력 관련 정책과 무기체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해주는 군사학 개론서이다. 안보학의 관점에서 무기체계를 바라볼 수 있도록 군사력 건설정책과 연계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각 무기체계별 특성과 원리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무기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이 책은 개별 무기체계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보다 무기체계 간의 상호 비교나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전장기능의 분야별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매스컴을 통해 접하는 북한의 핵미사일과 미국의 사드(THAAD) 배치 문제 등에서 보듯이, 무기와 군사에 관한 내용들은 우리 국민의 삶에 생각보다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거침없이 진행되는 북한의 핵 개발과 중국 군사력의 급부상 등 급변하는 한반도 주변 정세 속에서 미국과 러시아, 일본과 중국 등 강대국 간의 견제와 충돌이 계속되면서 우리나라도 국가의 안전 보장을 위해 군사력을 키우는 데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책은 국가의 안전을 위해 군사력을 증강시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며 그 방법과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각 무기체계의 특징은 무엇인지 심도 있게 다룸으로써 일반인들이 무기를 방산비리와 연결시키거나 단순히 살상도구로 생각하는 선입관에서 벗어나 군사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책에서는 군사력 건설의 기반이 되는 국방과학기술의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일반적인 무기체계 서적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 전력기획과 획득의 과정도 제시한다. 또한 전쟁의 변천과정과 군사혁신에 따른 무기체계의 발전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진화되어온 무기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가안보 이론이자 국방정책으로서의 군사혁신 추세를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미래전 양상을 예측하고, 감시정찰 무기체계, 지휘통제 무기체계, 화력 및 항공 무기체계 등 각 종류별 무기체계를 자세히 소개한다. 특히 다른 나라의 공격에 대해 억제전략을 구사하는 무기체계를 우선적으로 고찰하고 강대국들의 군사전략을 살펴보면서, 과학의 발달과 함께 시작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나라 국방의 미래를 진지하게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무기체계라는 것이 우리의 삶과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국가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국가의 안보가 어떤 요소들로 인해 유지되는지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군사력 건설
제1장 국가안보와 무기체계
1. 무기체계에 대한 일반적 인식
2. 국가안보와 군사력
3. 군사력과 무기체계
제2장 군사력 건설과 전력정책
1. 군사력 건설
2. 미국의 군사력 건설정책의 변화
3. 전력정책
4. 전력소요 기획 및 획득체계
5. 국방과학기술과 연구개발
제3장 전쟁양상의 변천과 군사혁신에 따른 미래전 무기체계
1. 전쟁양상의 변천
2. 전쟁양상을 변화시킨 무기체계
3. 군사혁신에 따른 미래전 양상
4. 주요 국가의 군사혁신 추세
5. 미래전 양상과 무기체계
제4장 군사력 건설과 무기체계의 이론적 연계
1. 군사력 건설에 대한 학술적 접근
2. 군사적 능력과 무기체계 성능의 계층구조적 관계
3. 전장기능과 무기체계의 분류
4. 무기체계의 작업분할구조(WBS)
제2부 무기체계론
제5장 감시정찰 무기체계
1. 전장기능
2. 주요 특성과 원리
3. 주요 감시정찰 무기체계
4. 감시정찰 무기체계 발전추세
제6장 지휘통제·통신무기체계
1. 전장기능
2. 주요 특성
3. 주요 지휘통제·통신무기체계
4. 지휘통제·통신무기체계 발전추세
제7장 미사일 및 유도무기체계
1. 군사력에서의 위상
2. 분류
3. 미사일 체계구성과 특성
4. 정밀유도무기체계
5. 주요 핵 보유 및 개발국의 핵미사일 능력
제8장 화력무기체계
1. 전장기능과 특성
2. 화력무기체계의 구분 및 분류
3. 화력무기체계 운용개념
4. 주요 특성과 원리
5. 주요 화력무기체계
6. 화력무기체계 발전추세
제9장 기동무기체계
1. 전장기능
2. 기동무기체계의 분류
3. 전차체계 운용개념
4. 전차체계의 특성과 작전운용성능
5. 전차에 대한 위협과 대응
6. 전차체계 구성
7. 주요 특성 비교 및 발전추세
제10장 방호무기체계
1. 전장기능과 특성
2. 방호무기체계의 분류
3. 대량살상무기란?
4. 화학작용제와 방호체계
5. 생물학작용제와 방호체계
6. 핵 및 방사능과 방호체계
7. 화생방 방호무기체계
제11장 함정무기체계
1. 운용개념
2. 함정무기체계의 발전
3. 주요 특성과 원리
4. 함정무기체계의 분류
5. 항공모함
6. 잠수함
7. 수상함정체계
제12장 항공무기체계
1. 전장에서의 역할
2. 운용개념
3. 항공무기체계의 분류
4. 체계구성
5. 주요 특성
6. 주요 항공무기체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박진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국방대학교에서 무기체계학 석사, 아주대학교에서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군 재직 시에는 호크유도무기체계 및 미사일을 운용하는 부대와 기계화 부대에서 지휘관직 등을 수행했다. 이후 합동참모본부와 국방부 등에서 무기체계 소요기획, 시험평가 및 분석평가, 획득체계개선, 정보화사업평가 등 군사력 건설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충남대학교에서 연구교수를 거친 후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호크마교양대학의 안보학 초빙교수로 무기체계론, 국가안보론, 전쟁사를 강의하고 있다.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선행연구과제 평가위원과 방위사업청 분석평가 자문위원, 한국국가전략연구원(KRINS)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각종 무기체계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국방대학교에서 무기체계학 석사, 아주대학교에서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군 재직 시에는 호크유도무기체계 및 미사일을 운용하는 부대와 기계화 부대에서 지휘관직 등을 수행했다. 이후 합동참모본부와 국방부 등에서 무기체계 소요기획, 시험평가 및 분석평가, 획득체계개선, 정보화사업평가 등 군사력 건설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충남대학교에서 연구교수를 거친 후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호크마교양대학의 안보학 초빙교수로 무기체계론, 국가안보론, 전쟁사를 강의하고 있다.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선행연구과제 평가위원과 방위사업청 분석평가 자문위원, 한국국가전략연구원(KRINS)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각종 무기체계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