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핵심기술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미래 국가 주요핵심기술 동향분석 -시스템반도체/5G/우주산업/자동차-』이 발간되었다. 이 책에서는 국가핵심기술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시스템반도체/5G/우주/미래자동차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이 수록되였다. 이 책이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제1장 시스템반도체 산업 기술개발 현황
1. 반도체 산업과 기술개발 동향
1) 반도체산업 주요현안 및 경쟁력 강화방안
(1) 현황 및 중요성
가. 산업생태계
나. 시장 점유율
다. 산업기술 경쟁력
라. 산업의 중요성
(2) 주요현안
가. 장비·소재·부품의 높은 해외 의존도
나. 테스트베드 부재
다. 정부 R&D 예산 부족
라. 전문 인력 부족
(3) 경쟁력 강화방안
가. 테스트베드 신설
나. 대중소 상생 생태계 구축
다. 신성장 품목과 부품·소재·장비 중심 R&D 투자 및 M&A
라. 전문 인재 육성과 확보
2) 주요국 반도체산업 정책 동향 및 시사점
(1) 반도체시장 및 전망
(2) 주요국 반도체 산업 현황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대만
마. 중국
(3) 최근 미국의 對중국 반도체 규제 현황
(4) 주요국 반도체 산업 정책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대만
마. 중국
(5) 한국의 반도체산업 현황 및 정책제언
3) 차세대 반도체 기술과 R&D 투자동향
(1) 반도체 기술개발 동향
가. 배경 및 필요성
나. 기술의 정의 및 범위
다. 기술 분석
(2) R&D 투자동향
(3) 산업동향
가. 시장 동향
나. 기업 동향
다. 산업 주요 이슈
(4) 정책동향
가. 국외 정책동향
나. 국내 정책동향
2. 시스템반도체 산업과 정책 현황
1) 시스템반도체 산업 분석
(1) 시스템반도체 산업 개요
가. 시스템반도체의 분류 및 특성
나. 시스템반도체의 중요성
(2) 시스템반도체 산업 현황 및 전망
가. 시장 규모 및 트렌드
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상한 AI반도체
(3) 한국의 시스템반도체 산업 현황 진단
가. 한국의 시스템반도체 산업 현황 및 경쟁력
나. 성장전략
2) 시스템반도체 국내외 시장 동향
(1)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시스템 반도체 시장의 특성
나. 시스템 반도체 세계시장의 구조
다. 반도체 공정장비 세계시장 규모 및 성장률
(2) 국내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 규모
나. 국내 시스템 반도체 시장 현황
다. 반도체 공장정비 시장 동향
(3) 국내외 주요기업 기술 및 제품 현황
3) 시스템반도체 환경과 정책 동향
(1) 시스템반도체는 디지털 시대의 ‘두뇌’ 역할
(2) 시스템반도체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3) 시스템반도체 산업 육성
(4) 시스템반도체 산업 정책 수요와 시사점
가. 정책 수요
나. 시사점
4)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중국
마. 대만
(2) 국내 정책 동향
가. (팹리스) 글로벌 수준 성장 촉진
⒜ 5대 전략분야(자동차, 바이오 등) 중심 수요연계 강화
⒝ 공공수요(에너지, 안전, 국방, 교통 등) 발굴 및 시장 창출
⒞ 5G+핵심 산업·서비스와 국내 시스템반도체 기업 연계
⒟ 팹리스 원스톱(One-stop) 지원 체계 구축
⒠ 팹리스 전용펀드, 사업화, R&D 등 수요별 맞춤형 지원
나. (파운드리) 첨단시장 및 틈새시장 동시 공략으로 세계 1위 도약
다. (상생협력)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 국내 팹리스 - 파운드리 상생협력을 위한 파운드리 적극 개방
⒝ 팹리스 - 파운드리 간 가교 구축을 위한 디자인하우스 육성
⒞ 민·관 합동 상생발전위원회 확대
라. (인력) 민·관합동 대규모 인력 양성 (’30년까지 약 1.7만명 규모)
⒜ (학사) 채용조건형 반도체 계약학과 및 전공트랙 신설 (3,400명)
⒝ (석·박사) 기업수요 맞춤형 고급 ? 전문인력 양성 (4,700명)
⒞ (실무 교육) 설계, 실제 칩제작 등 실무교육 강화 (8,700명)
마. (기술)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차세대반도체 핵심기술 확보
⒜ AI 반도체 등 미래 반도체시장을 좌우할 Next-Generation 반도체 개발
⒝ 고효율·고성능 전력반도체 핵심기술확보 및 기반 구축
⒞ 산?학?연 공동의 혁신적 연구거점 구축 통합연구 추진
⒟ 특허 빅데이터 활용, 미래 유망 반도체기술 발굴
⒠ 핵심기술의 해외유출 방지 시스템 정비
3. 시스템반도체 기술개발 현황
1) 시스템반도체 기술혁신 지원
(1) 팹리스 성장 지원 R&D
가. 글로벌 K-팹리스 육성을 위한 챌린지형 R&D 신설
나. 수요 연계 공동 R&D 강화
다. 중소 팹리스의 창업·스케일업 촉진
(2) 유망시장 선점 R&D
가. 미래 전력 반도체 역량강화 및 기술선점
나. 차세대 센서 R&D 신설 및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3) 新시장 도전 R&D
가. AI 반도체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나. 세계 최고 메모리 기반 신개념 PIM 반도체 개발
다. 기술·사업화 장벽 해소 및 실증 지원
2) 시스템반도체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동향
가. 파운드리(위탁 제조 전문기업)
나.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다. 중국과 대만 주요 반도체 업체 협력 관계 구축
라. 해외 주요 업체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가. 국내 시스템 반도체 산업 특징
나. 주요 업체 동향
3) 시스템반도체 표준 동향
(1) 국제 표준화 동향
가. 반도체 소자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하는 IEC의 TC47
나. 새로운 분야에 대한 표준화 수용 위한 TC47의 노력
(2) IEC TC47 SC 및 WG별 주요 활동 현황
가. 차세대 반도체에 대응하기 위한 WG6
나. 유연메모리 반도체 소자
다. WG6에서 분리되어 최근에 설립된 WG7
라.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활용처와 에너지 전달 기술
마. 차량용 반도체에 관한 관심 급증
바. 3개의 WG로 이루어진 SC47A
(3) 우리나라의 국제 표준화 활동 동향
제2장 5G산업 정책 기술개발 현황
1. 5G 산업 생태계와 기술경쟁 현황
1) 5G 산업 생태계 변화
(1) 5G 기술의 특징과 분야별 파급력
가. 글로벌 화두로 부상한 5G
나. 5G 기술의 특징
⒜ 5G 기술의 특징 :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 5G 구현에 요구되는 기술 요소
다. 5G 기술이 미칠 파급력
라. 기존 플레이어(통신, 장비, 단말)의 5G 추진 동향
⒜ 5G 서비스 준비로 신규 시장 기회 포착에 나선 통신사
⒝ 네트워크 인프라 영역의 기회 : 광섬유 통신망, 스몰셀, MEC
⒞ 네트워크 장비 업체의 5G 비즈니스 기회
⒟ 5G 시장을 겨냥한 스마트폰 단말 및 칩셋 벤더
(2) 5G로 부상할 유망분야
가. 5G로 창조적 파괴를 거듭할 산업 생태계
나. 5G로 창출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3) 5G의 초고속 기반 유망분야
가. 초고화질 영상으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 콘텐츠 소비 측면
⒝ 콘텐츠 제작 측면
⒞ 5G가 촉진할 초고화질 영상 활성화와 제작 환경의 변화
나. 실감형 콘텐츠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 VR(가상현실)ㆍAR(증강현실)ㆍMR(혼합현실) 등 실감형 콘텐츠의 활성화
⒝ 5G 도입으로 부상하는 유망 실감형 콘텐츠
다. FWA(Fixed Wireless Access)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 기존 유선 초고속인터넷을 대체하는 FWA 서비스 등장
⒝ FWA 서비스로 새롭게 형성될 통신 장비 및 인프라 시장
(4) 5G의 초저지연 기반 유망분야
가. 자율주행으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 미래의 캐시카우로 주목받는 주문형(On-Demand) 자율주행 서비스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부상
나. 스마트팩토리로 인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
⒜ 현실과 가상이 병존하는 디지털 트윈을 통한 제조혁신
⒝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통한 모니터링
⒞ VRㆍAR, 인공지능을 활용한 원격 제어
⒟ 공장을 넘어 전 가치사슬을 연결한 디지털 트윈으로 전환
다. 디지털 헬스케어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 의료사물인터넷(IoMT)을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 의료와 정보통신 기술의 결합으로 실현되는 원격의료 서비스
(5) 5G의 초연결 기반 유망분야
가. 스마트홈ㆍ오피스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 스마트홈 시장에서 코피티션(Coopetition)을 통한 신사업 발굴
⒝ 홀로그램 회의를 통한 스마트 오피스 환경 구축
⒞ BMS를 통한 스마트 빌딩 관리
⒟ 스마트홈·오피스 구축을 위한 센서 기술
나. 스마트시티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 IoT로 연결된 도시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신사업 기회 창출
⒝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통해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스케일업
다. 스마트 에너지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 스마트 그리드 구축 및 운영에 요구되는 5G의 역할
⒝ 스마트미터, 스마트 전력관리 단말, 에너지관리시스템의 부상
(6) 시사점 및 기업 대응 전략
가. 리포지셔닝 및 자원 재배분(Repositioning & Reallocation)
나. 국내외 주요 통신사 5G 관련 M&A 현황
다. 부상 섹터의 수익화(Monetizing Emerging Sectors)
라. 고객 중심적(Customer Centricity) 가치 극대화
마. 시장 선점 및 글로벌화(Pioneer & Globalization)
2) 코로나19와 5G 기술패권경쟁
(1) 5G 기술패권경쟁
가. 5G 기술 배경
나. 기술요소
다. 5G 기술 우위 확보를 위한 미ㆍ중의 신경전
라. 5G 기술표준 선점을 위한 경쟁
마. 미국의 화웨이 때리기와 중국의 확산 전략
(2) 코로나19에 의한 5G 기술패권경쟁 변화
가. 유럽에서의 중국 5G 도입 제동
나. 미국의 5G 공세
다. 향후 전망
2. 5G+ 산업 분석
1) 5G+ 산업 개요
(1) 정의
(2) 필요성
(3) 구축 범위
가. 가치사슬
나. 대표적 분류 방법
다. 기술로드맵 전략분야의 범위
2) 5G+ 세계 시장 분석
(1) 세계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5G+전체시장 전망
나. 관련 산업 동향
다. 5G+산업 주요 동향
(2) 세계시장 핵심플레이어 동향
가. 통신서비스 플레이어 동향
나. 통신장비 플레이어 동향
다. 단말기 플레이어 동향
3) 5G+ 국내 시장 분석
(1)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국내 시장 전망
나. 5G+현황
다. 5G+관련 서비스 동향 및 전망
(2) 국내 생태계 현황
(3) 생태계 핵심플레이어 동향
가. 통신 서비스
나. 통신 장비
4) 5G+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동향
가. 주요 기술 동향
⒜ 5G 네트워크 장비
⒝ 5G 칩셋
⒞ 엣지 컴퓨팅
⒟ 표준화 동향
나. 해외 기업 기술 현황
⒜ 통신 장비
⒝ 타산업 융합
(2) 국내 기술 동향
가. 5G 관련 기술 동향
⒜ 통신기술
⒝ 5G 융합 기술
나. 주요 업체 동향
5) 5G+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동향
가. 중국
나. EU
다. 미국
라. 일본
(2) 국내 정책 동향
가. 2019년 4월 발표한 정부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5G+전략
나. 2019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5G+스펙트럼 플랜
다. 2019년 12월 발표한 전략 ’20년 추진계획(안)
3. 5G 기술개발 분석
1) 트래픽과 통신 미래 동향
(1) 5G 트래픽 급증
(2) 트래픽이 왜?
(3) 동영상 트래픽 중심
(4) 유니콘 기업과 트래픽
2) 28GHz 기술 동향 및 이슈사항
(1) 5G 이동통신 개요
(2) 5G 에서의 28GHz 대역 (FR2) 주파수 도입 및 특징
(3) 5G 스몰셀 장비 특징
(4) 28GHz 대역의 국내외 현황
(5) 28GHz 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이슈사항
(6) 시사점
4. 5G 이동통신 기술개발과 장비 업종 현황
1) 5G 시대 국내 네트워크 장비 산업의 전략 방향
(1) 5G 시대 개막, 초반 격전지로 네트워크 장비 부상
(2) 네트워크 장비 산업 특성과 현황
가. 산업 특성
나. 산업 현황
다. 경쟁력 평가
(3) 5G가 네트워크 장비 산업에 미치는 영향
(4) 5G 시대 네트워크 장비 산업 전략 방향
가. SWOT 분석
나. 전략방향
2) 2020년 국내 통신장비 업종 전망
(1) 모든 투자는 표준에 기반
가. 소비자 공략이 우선이었던 ‘Release-15’
나. 기업 대상 서비스 확대가 목표인 ‘Release-16’
다. 미래를 엿볼 수 있는 ‘Release-17’
(2) 주요 국가별 액세스(Access)망 투자 현황
가. 한국의 5G 투자 현황
나. 중국의 5G 투자 현황
다. 미국의 5G 투자 현황
라. 일본의 5G 투자 현황
(3) 5G 코어(Core)망 투자 전략
(4)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이 커지는 삼성전자
(5) 사설 통신망의 진화
5. 5G 스몰셀 기술개발과 표준화 동향
1) 5G 스몰셀 표준 기술 동향
(1) 5G 스몰셀 관련 구조 (NSA, SA등)
(2) 5G NR에서의 Functional Split
(3) 5G NR 프로토콜 스택 기술
(4) 5G NR 스몰셀 관련 표준 이슈
가. 5G NR 시스템 표준화 일정
나. 5G NR 시스템 규격 보완
⒜ 비독립형 (NSA) NR 시스템의 규격 보완
⒝ 독립형(SA) NR 시스템의 규격 보완
다. 5G NR Rel.16 SI 이슈 논의
라. 5G NR-U (Unlicensed) 표준
2) 스몰셀 관련 협의체 기술 동향
(1) Small Cell Forum
가. Small Cell Forum 활동범위
⒜ SCF Global technology alignment
⒝ Pro-densification policy
⒞ Enterprise engagement
나. SCF의 Release 프로그램
⒜ 스몰셀포럼의 릴리즈 프로그램
⒝ 10 Trends SCF has drived in the last decade since 2007
⒞ Small Cell Forum Workplan 2018-2019
⒟ Vision for densification
⒠ 5G Era business models and stakeholder engagement
⒡ Operational aspects of densification into the 5G era
⒢ URLLC and network slicing in 5G enterprise small cell networks
⒣ mmWave 5G -eMBB use cases and small cell based HyperDense networks
(2) CBRS Alliance
가. CBRS 기술 개요
나. CBRS 상용화 일정
다. 워킹 그룹 활동
(3) MulteFire
3) 스몰셀 관련 기술
(1) 스몰셀 백홀/프론트홀 기술
가. NGFI (Next Generation Fronthaul Interface)
나. eCPRI (evolved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2) 스몰셀 SYNC 기술
(3) 스몰셀 시험 장비 기술
제3장 우주산업 정책 기술개발 현황
1. 우주산업과 정책 지원 방안
1) 우주산업 현황과 스타트업 지원방안
(1) 우주경제 시대의 도래
(2) 우리나라 우주산업 현황
(3) 외국의 우주산업 진흥 사례
가. 호주(Australia)
나. 영국(United Kingdom)
다. 캐나다(Canada)
라. 룩셈부르크(Luxembourg)
(4) 시사점 및 스타트업 지원 방안
2) 우주탐사 기술과 정책 분석
(1) 기술동향
가. 글로벌 기술동향
⒜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
⒠ 인도
⒡ 기타
⒢ 참고-국제우주정거장
나. 국내 기술동향
(2) 산업동향
가. 글로벌 산업동향
나. 국내 산업동향
(3) 정책동향
가. 글로벌 정책 동향
⒜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
나. 국내 정책 동향
(4) R&D 투자동향
가. 글로벌 R&D 투자동향
나. 국내 R&D 투자동향
3) 뉴스페이스의 등장과 우주산업 동향
(1) 우주개발의 상업화와 뉴스페이스의 등장
가. 뉴스페이스(New Space)의 정의
나. 뉴스페이스 등장의 역사적 배경
다. 올드 스페이스(Old Space)와 뉴스페이스(New Space)
(2) 우주산업 생태계의 변화와 주요국의 대응
가. 우주기술의 진보와 산업생태계의 변화
⒜ 재사용 로켓 개발에 따른 발사 비용의 감소
⒝ 소형위성군을 활용한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확대
⒞ ICT 기술과 우주 산업의 융합 가속
⒟ 뉴스페이스의 등장과 기회의 확대
⒠ 뉴스페이스로의 투자 활발
나. 주요국의 뉴스페이스 관련 대응
⒜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
(3) 정책적 시사점
가. 뉴스페이스로의 진입을 위한 정책적 노력 필요
나. 뉴스페이스 기업 및 뉴스페이스 시장 창출 필요
다. 산업체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지원과 글로벌 우주산업 도전 기회 제공 강화
2. 우주기술 산업과 기술 동향
1) 세계 우주기술 산업시장
(1) 우주기술산업 구조
가. 우주기술산업의 정의
나. 우주기술산업 구조
(2) 우주기술산업 시장동향
가. 우주분야 정부예산
나. 위성산업
(3) 우주기술 주요 기업
2) 국내 우주기술 산업시장
(1) 시장 동향
가. 시장규모
나. 우주분야 기업체
다. 국내 우주산업의 내수 및 수출입현황
(2) 국내 우주기술동향
가. 우주산업 기술수준
나. 국내 우주기술개발 체계
3) 우주기술 정책동향
(1) 해외 우주기술 정책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ESA)
라. 러시아
마. 중국
바. 프랑스
사. 영국
(2) 국내 우주기술 정책 동향
(3) 우주기술 발전을 위한 시사점
3. 해외 우주개발 동향
1) 세계 우주경제 규모
(1) 상업용 우주시장
가. 우주기기 제작
⒜ 위성체 제작
⒝ 발사체 제작 및 발사 서비스
⒞ 지상장비
나. 위성활용 서비스
⒜ 위성방송통신(Consumer Services)
⒝ 원격탐사(Remote sensing, 지구관측)
(2) 국가별 정부 우주예산
가. 미국
나. 중국
다. 유럽우주국 (ESA)
라. 유럽연합(EU)
마. 프랑스
바. 독일
사. 인도
아. 이탈리아
자. 일본
차. 러시아
2) 우주분야별 연구개발 현황
(1) 우주기기 제작
가. 위성체 제작
나. 발사체 제작 및 발사서비스
(2)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가. 위성방송통신
나. 위성항법
⒜ BeiDou(중국)
⒝ Galileo(유럽)
⒞ NavIC(Navigation with Indian Costellation, 인도)
⒟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일본)
⒠ GLONASS(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러시아)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미국)
다. 지구관측(원격탐사)
3) 우주 인력 현황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인도
4. 국내 우주개발 동향
1) 우리나라 우주개발 예산
2) 국내 연구 개발 및 정책 동향
(1) 위성체 제작
가. 정지궤도복합위성(GEO-KOMSAT)
나. 다목적실용위성(KOMPSAT)
다. 차세대중형위성(CAS500)
라. 차세대소형위성
마. 초소형위성
(2) 발사체 제작
가. 한국형발사체(KSLV-2)
나. 소형발사체
(3)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4) 우주탐사
가. 달 탐사
나. 우주감시
다. 우주탐사?과학연구
(5) 우주 생태계 조성
(6) 우주산업 육성
5. 항공우주 산업과 기술 분석
1) 항공우주 산업 현황
(1) 산업 개요
가. 정의
나. 범위
다. 분류
(2) 산업이슈 및 동향
가. 산업이슈
⒜ 새 키워드 ‘전략적 제휴확대’
⒝ 새롭게 부각되는 무인기와 드론
⒞ 새 키워드 ‘뉴스페이스’ 및 ‘우주벤처’
나. 핵심플레이어 동향
⒜ 해외 업체 동향
⒝ 국내 업체 동향
2) 항공우주 시장동향과 전망
(1) 세계시장
가. 세계 항공우주 산업 시장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나. 민항기 중심의 항공우주 산업 시장
다. 미국, 유럽의 독과점 및 성장하는 중국시장
라. 아시아 MRO 시장 지속적인 성장세
마. 인공위성 중심의 우주 산업 시장
(2) 국내시장
가. 국내 우주 산업 시장은 빠른 성장세
나. 국외 대비 군수 의존도가 높은 항공우주 산업
3) 국내외 항공우주 정책동향
(1) 국내 정책동향
가. 항공정책
나. 국내 우주개발 정책
(2) 국외 정책동향
가. 항공기 개발 정책
나. 우주 개발 정책
4) 항공우주 기술이슈와 동향
(1) 기술동향
가. 해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 업체 동향
나. 국내 업체 동향
(3) 기술 인프라 현황
제4장 미래자동차 산업 기술개발 현황
1. 미래 자동차 산업 생태계 분석
1) 자동차 산업환경
(1) 국내 자동차 산업 동향
(2) 글로벌 자동차 판매동향
(3)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2) 자율주행 자동차 현황
(1) 자율주행 정의 및 주요 기술
(2)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전망
(3) 국가별 자율주행 정책
(4) 자율주행 자동차 기업 동향 및 경쟁력 분석
3)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 주요 기술 분석
(1) 전기자동차
가. 전기자동차 개요
나.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다. 리튬이차전지 시장 전망
라. 주요 기업 동향 및 산업경쟁력 분석
(2) 수소자동차
가. 수소자동차 개요 및 특징
나. 주요국 수소자동차 지원정책
다. 수소자동차 시장전망
4) 글로벌 수요 충격과 한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1) Covid-19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수요 충격
(2) 신용등급 강등과 유동성 리스크
(3) 미국 및 유럽 시장 익스포져
(4) 글로벌 재고 현황
2. 미래차시장의 대내외 경쟁과 정책동향
1) 세계시장에서 미래차 산업동향
(1) 자동차산업의 경계가 무한 확장되는 기술전환체계
(2) 미래차시장의 전망
2) 국내외 미래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
(1) 주요국의 정책 동향
(2) 주요 완성차업체간 경쟁
(3) 우리 정부의 미래차 정책
가. 우리 정부의 미래차 정책 동향
나. 우리나라 미래차산업 비전과 정책방향
3) 국내 산업 동향 및 전망
(1) 국내 자동차 산업 현황
가. 현황
나. 사업체 수
다. 종사자 수
라. 출하액
마. 부가가치
바. 지역 내 총생산(GRDP) 비중
사. 국내 자동차산업 생산은 지속적으로 증가 전망
(2) 국내 전기자동차 산업 현황
가. 현황
나. 배터리 전기차 수요는 신모델 출시로 인한 대기 수요로 둔화
다.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2019.10월)
(3) 국내 자동차 전장부품 산업 동향
가. 전동화로 인한 국내 자동차부품산업 구조 개편 가속화
나. 국내 전장부품 생산 업체 수는 증가세 시현
(4) 국내 자율주행자동차 산업 동향
가. 정부는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중장기 육성 계획 수립
나. 현대자동차 등은 글로벌 선도기업과 같이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
다. 부품·솔루션 기업의 기술개발 활발
라. 산업발전을 위한 과제
4)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과 정책 현황
(1) 미래차 산업의 전망 및 우리의 상황
가. 세계 미래차 산업 동향과 전망
나. 글로벌 자동차산업 및 주요국 동향
다. 우리 자동차 산업의 성과 및 현주소
⒜ 민간·정부의 위기극복 노력과 함께, 친환경차 보급성과도 가시화
⒝ 미래차경쟁력: 통신인프라, 우수한 친환경차 성능 등 탄탄한 기반 확보
(2) 시사점 및 대응방향
(3) 미래차산업 비전과 정책과제
가. 친환경차 세계시장 선도
⒜ 친환경차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친환경차 국내 보급 확대
나.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 핵심 인프라
⒝ 제도 기반
⒞ 완전자율주행차 개발 방향
다. 미래차 서비스 시대 준비
⒜ 추진 기본방향
⒝ 커넥티드 서비스
⒞ 3대 자율주행 선도서비스
⒟ 9대 공공서비스 추진
⒠ 신교통 수단
⒡ 스마트시티
라. 산업생태계의 미래차 대전환
⒜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가속화
⒝ 개방형 협력 생태계 구축으로 新사업 창출
⒞ 핵심소재?부품의 자립도 제고
(4) 추진체계 및 향후계획
가. 추진체계
나. 향후계획
3. 미래자동차 부품·시스템 산업과 기술분석
1) 자동차 부품산업 구조개편 방향
(1) 자동차산업이 직면한 복합위기
(2) 미래차산업 전망과 경쟁력 비교
(3) 자동차부품산업 현황과 구조적 취약점
가.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산업 현황
나. 자동차 부품산업의 구조적 취약점
⒜ 높은 중국 의존도와 글로벌 기업화 부진
⒝ 낮은 수출기업 비중
⒞ 취약한 전장부품 생산 기반
⒟ 혁신역량의 상대적 저하
(4) 내연차와 미래차 부품구조
가. 내연차와 미래차 부품구조
나. 국내 자동차부품산업의 구조개편 방향
(5) 시사점
2) 엔진 주변 부품 기술개발 동향
(1) 체인텐셔너
가. 연구 동향
나. 기술 개발 이슈
다. 생태계 기술 동향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2) 점화플러그
가. 연구 동향
나. 기술 개발 이슈
다. 생태계 기술 동향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차량용 제너레이터
가. 연구 동향
나. 기술 개발 이슈
다. 생태계 기술 동향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조향부품 기술개발 분석
(1) 유량제어밸브(FCV)
가. 연구 동향
나. 기술 개발 이슈
다. 생태계 기술 동향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2) 유압샤프트
가. 연구 동향
나. 기술 개발 이슈
다. 생태계 기술 동향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하우징부품
가. 연구 동향
나. 기술 개발 이슈
다. 생태계 기술 동향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4) 미래자동차 주요 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1) 자율주행 인지 및 판단 시스템
가. 기술개발 이슈
⒜ 최신 센서 개발 동향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융합 기술 적용
⒞ 차량용 레이더 개발 동향
나. 생태계 기술 동향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 국내 주요 중소기업 사례
(2) 전장 및 제어·열관리 시스템
가. 스마트 정션 박스(Smart Junction Box)
⒜ 연구 동향
⒝ 기술 개발 이슈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나. 차량용 전자제어 장치
⒜ 연구 동향
⒝ 기술 개발 이슈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다. ESP Control Unit
⒜ 기술 개발 이슈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라. 인버터
⒜ 연구 동향
⒝ 기술 개발 이슈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 국내 주요 중소기업 사례
(3) 구동/제어 시스템
가. 자동유압부품(제동시스템)
⒜ 연구 동향
⒝ 기술개발 이슈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
나. 전기차전동기(모터)
⒜ 연구 동향
⒝ 기술 개발 이슈
⒞ 해외 플레이어 동향
⒟ 국내 플레이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