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의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토대로 분석 정리한 연구보고서다. 전 세계 바이러스 감염병 발생현황과 역학적 특징, 예방관리 정책/산업동향, 예측/진단/백신/치료제 연구개발 동향, 감염병 대응/관리동향, 항생제 내성관리 연구동향 등을 다루었다.
Contents
제 1장 국내외 감염병 예방관리 정책·산업 동향
1. 감염병 예방·치료 관련 동향분석
1) 감염병의 개념 및 현황
(1) 감염병의 정의
(2) 감염병의 분류
2) 감염병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1) 국외 정책동향
가. 세계보건기구(WHO)
나. 미국
다. 유럽
(2) 국내 정책동향
가. 제2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
A) 수립 배경
B) 환경 분석
C) 정책 동향
D) 비전 및 목표
E) 중점과제 1: 감염병 대응?대비 체계 강화
F) 중점과제 2: 원헬스(one health) 협력체계 구축
G) 중점과제 3: 감염병 예방관리 대책 강화
H) 중점과제 4: 감염병 대응기술 혁신플랫폼 구축
I) 중점과제 5: 감염병 대응?대비 인프라 강화
3) 미래감염병에 대한 세계동향
(1) 미래(신종)감염병의 발생요인
(2) 미래(신종)감염병의 우선순위 선정 및 대응
4) 미래질병 대응을 위한 과제
(1) 미래 질병 대응에 대한 국제 동향
(2) 미래 질병과 관련해 주목할 만한 우리나라의 주요 여건 변화
(3) 미래 질병 대응을 위한 보건정책의 방향
2. 감염병 관련 산업 동향
1) 백신 분야
2) 진단 분야
3) 치료제 분야
3. 국내 감염병 연구개발 투자현황 및 이슈
1) 감염병 관련 사업
(1) 감염병 관련 사업 개요
(2) 국내 감염병 연구개발 투자 추이(최근 3년간)
2) 감염병 관련 투자 현황
(1) 투자 현황
(2) 연구개발 이슈
가. 대상 질환별
나. 연구 분야별
3)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적 방안
제 2장 국내외 감염병 역학적 특징과 발생현황
1. 국내외 감염병 발생현황과 연구개발 현황
1) 코로나19(COVID-19) 유행과 연구현황
(1) 발생 개요
(2)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
가. 신종 폐렴의 발단
나. 신종 바이러스 명명법
(3) SARS-CoV-2의 병인론
가. SARS-CoV-2의 계통학적 특성
나. SARS-CoV-2 의 생활사 및 구조적 특징
다. ACE2 수용체와 S 단백질 활성화 효소
라. SARS-CoV-2 의 중간숙주
(4) 역학 (Epidemiology)
가. COVID-19의 전 세계 발생 현황
나. 유전체 역학(Genome Epidemiology)
(5) COVID-19 임상 양상
가. 일반적인 임상 양상
나. 소아, 청소년 환자
다. 임신부 감염
(6) 진단법
가. 분자 진단법
나. 혈청학적 진단
(7) 전염 경로
(8) 예방 및 치료법
가. 일반적인 예방법
나. 백신
다. 치료제
A) 혈장치료와 단클론 항체
B) 렘데시비르(Remdesivir, GS-5734)
C) 클로로퀸(Chloroquine)
D) 칼레트라(Kaletra)
E) 아비간(Avigan, Favipiravir, T-705)
F) 그 외의 항바이러스제
라. 동물 모델
(9)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가. 논문 발표
나. 특허 현황
다. 국내 투자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시결과 및 감염차단 융합기술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가. 인플루엔자 대유행
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구조
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기전
(2) 2018-2019절기 국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시결과
가. 분석방법
A)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호흡기 검체 확보
B) 유전자 검출검사
C)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특성분석
나. 연구결과
A) 20018-2019절기 국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출 양상
B) 20018-2019절기 국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특성
(3) 인플루엔자 감염 차단 기술의 필요성
가. 새로운 기전을 가진 인플루엔자 감염 차단제의 필요성
A)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플루엔자 백신과 치료제의 문제점
B) 헤마글루티닌을 타겟으로 한 인플루엔자 차단 기술의 필요성
(4) 인플루엔자 감염 차단 기술 개발 동향
가. 인플루엔자 감염 차단제 개발 현황
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침입 차단 기술 동향
A) 바이러스 구조 기반 감염 차단 기술 개발
(5) 인플루엔자 감염 차단 바이오나노 기술의 최신 연구 동향
가. 당리간드결합 나노구조체 연구
나. 펩타이드결합 나노구조체 연구
3) 에볼라 유행현황
(1) 에볼라 바이러스
(2)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유행 현황
4) 메르스 바이러스 발생동향 및 유전자정보 분석
(1)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메르스 바이러스 인체감염 발생 동향
(3) 메르스 바이러스 유전자 정보 분석
(4) 2018년 국내 메르스 의심환자 감시 및 대응 결과
가. 방법 및 대상
나. 의심환자 신고 및 대응현황
다. 의심환자의 일반적, 역학적 및 임상적 특성
라. 의심환자의 실험실검사 결과
(5) 2018년 국내 메르스 대응지침 개정 소개
5) 국내외 결핵현황 및 결핵균 유전형 특성
(1) 결핵
(2) 국내외 결핵 현황
가. 국제 결핵 현황
나. 국가별 결핵 현황 및 우리나라 결핵 동향
(3) 국내 외국인 결핵환자의 결핵균 유전형 특성 분석(2017~2018년)
6) 국내 홍역 발생 및 대응현황
(1) 홍역 바이러스
(2) 전반적인 우리나라 홍역 발생 양상
(3) 최근 홍역 환자 발생 현황
(4) 주별 홍역 발생 현황 및 환자 발생지역 특성 분석
(5) 연령 및 성별 특성 분석
(6) 임상증상 분석
(7) 예방접종력 분석
(8) 집단발생 분석
(9) 개별사례 분석
(10) 홍역 대응 현황
7) 성홍열균의 유전형 분포 현황
(1) 성홍열
(2) 연도별 감시망 운영현황 및 GAS 양성률
(3) 국내 emm type 분포 현황
(4) 시기별 emm type 유행 현황
8) 황열병(Yellow fever) 연구개발 현황
(1) 개요
(2) 질병 특성
(3) 발생국가 현황
(4) 진단과 치료 및 예방
(5)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6) 논문발표 현황
(7) 특허발표 현황
(8) 임상개발 현황
9) 뎅기열 감시현황과 역학적 특성
(1) 뎅기열
(2) 뎅기열 일반적 특성
(3) 뎅기열 역학적 특성
10) 세계 말라리아 관리 현황
(1) 말라리아
(2) 말라리아 사례(Malaria Cases)
(3) 말라리아 사망(Malaria Deaths)
(4) 말라리아 통제 및 퇴치를 위한 투자
(5) 신속진단키트(Rapid Diagnostic Tests, RDTs)
가. 아르테미시닌 기반 복합 요법(Artemisinin-based Combination Therapy, ACT)
(6) 매개체 관리(Vector Control)
(7) 진료의 접근성(Accessing Care)
(8) 말라리아 감시 시스템(Malaria Surveillance Systems)
(9) 말라리아 퇴치(Malaria Elimination)
(10) 약물 내성(Drug Resistance)
11) 국내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현황
(1) 엔테로바이러스
(2) 염기서열 분석
(3) 주요 증상
(4)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사업
2.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발생률 동향
1) AIDS와 HIV
2) HIV 발생 현황
3) 글로벌 감시 현황
4) 국내 HIV 최근 감염률
3.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감시 현황 및 검사용 표준물질 분석
1) 2016-2018년 국내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원인세균 병원체 감시 현황
(1)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2)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 감시사업
(3) 원인 세균의 분리 현황 및 특성
2) 수인성 식품매개 바이러스 검사용 표준물질
(1) 국제 표준 물질
(2) 국내 표준 물질개발
4,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 발생동향 및 전망
1) 국내 지정 인수공통감염병
2) 진드기 매개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
(1) 병원체
(2) 역학
(3) 국내 동향
(4) 해외 동향
(5) 향후 전망
3) 모기 매개 - 뎅기, 지카 및 일본뇌염
(1) 병원체
(2) 역학
(3) 국내 동향
(4) 해외 동향
(5) 향후 전망
4) 야생동물 매개 - 신증후출혈열(HFRS) 및 공수병
(1) 병원체
가. 한타바이러스
나. 공수병바이러스
(2) 역학
가. 한타바이러스
나. 공수병
(3) 국내 동향
가. 한타바이러스
나. 공수병
(4) 해외 동향
가. 한타바이러스
나. 공수병
(5) 향후 전망
가. 한타바이러스
나. 공수병
5) 가축 인수공통감염병 -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1) 병원체
(2) 역학
(3) 국내 동향
(4) 해외 동향
(5) 향후 전망
6) 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
(1) 병원체
(2) 역학
(3) 국내 동향
(4) 해외 동향
(5) 향후 전망
7) 브루셀라증(Brucellosis)
(1) 개요
가. 정의 및 유래
나. 발병 기전
다. 감염원
라. 감염 경로
A) 주요 감염 경로
B) 기타 감염 경로
마. 고위험군
(2) 병원체
가. 학명
나. 특성
A) 특징
B) 생존
다. 종류
(3) 발생현황 및 역학적 특성
가. 국외
A) 발생 현황
B) 역학적 특성
나. 국내
A) 발생 현황
B) 역학적 특성(2009~2018)
(4) 임상적 특성
가. 잠복기
나. 임상 증상
다. 재발 및 합병증
A) 재발
B) 합병증
(5) 치료
가. 원칙
나. WHO 권고 치료법
(6) 진단 및 실험실 검사
8) 큐열(Q Fever)
(1) 개요
가. 정의
나. 발병 기전
다. 감염원
라. 감염 경로
A) 흡입 전파(airbone transmission)
B) 식품매개 전파
C) 기타 감염 경로
(2) 병원체
가. 학명
나. 특징
(3) 발생현황 및 역학적 특성
가. 국외
나. 국내
A) 발생 현황
B) 역학적 특성(2009~2018)
(4) 임상적 특성
가. 잠복기
나. 임상 증상
다. 급성 큐열
A) 예후
B) 임신 중 감염
라. 만성 큐열
A) 정의
B) 고위험군
C) 합병증 및 사망
(5) 치료
가. 급성 큐열
A) 선택 치료제
B) 임산부
C) 소아
나. 무증상 큐열
다. 만성 큐열
(6) 진단 및 실험실 검사
제 3장 감염병 예측·백신·치료제 연구개발 동향
1. 감염병 예측기술 및 AI 융합 감염병 연구동향
1) 바이오인포매틱스를 기반한 감염병예측기술
(1)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2) 국내외 연구동향
가. 국외 연구동향
나. 국내 연구동향
(3) 전망 및 시사점
2) AI 융합 감염병 연구동향과 전망
(1) 배경
(2) 국내외 연구동향
가. 해외 연구동향
나. 국내 연구동향
(3) 전망 및 시사점
2. 국내 감염병별 연구동향 및 전망
1) 만성감염바이러스질환 연구 및 코호트 연구
(1) 개요
(2) 추진실적
가. 생물정보 분석 방법을 이용한 국내 HIV의 계통 및 유전적 특성분석
나. 국내 C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Direct acting antiviral agents, DAA) 내성 연구
다. HIV 잠복감염 관련 후보 유전자 분석 연구
라. HIV 신치료제 발굴 연구
마. B형 간염 치료제 개발 연구
바. 만성감염질환 코호트 연구
(3) 향후 추진계획
2) 인플루엔자 등 급성바이러스질환 연구
(1) 개요
(2) 추진실적
가. 인플루엔자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연구
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감염 위해도 평가에 요구되는 바이러스학적 요소평가법 개발
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치료 항체 개발을 위한 항원 프로브 개발
(3) 향후 추진계획
3) 신변종 및 매개체전파바이러스질환 연구
(1) 개요
(2) 추진실적
가. 메르스 바이러스 치료항체 개발 연구
나. 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회피변이주 분석
다. 신변종 호흡기바이러스 진단자원 연구
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의 T7 RNA 중합효소 기반 minigenome rescue 시스템
마. SFTSV에 대한 치료표적으로서의 세포 인자의 동정
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치료물질 탐색 및 효능조사
사. 웨스트나일바이러스 백신 후보물질 개발 및 효능평가 시스템 구축
아. 신증후군출혈열 진단기술 고도화 및 유효성 검증
자. 바이러스성 출혈열 및 매개체전파 감염병 국제협력 공동연구
(3) 향후 추진계획
4) 결핵 및 세균성 질환 연구
(1) 개요
(2) 추진실적
가. 결핵 연구
A) 잠복 결핵 진단제 국산화를 위한 결핵균 항원펩타이드의 개발
B) 비결 핵항산균 기반 결핵백신 개발을 위한 방어능 평가 연구
C) 치료 과정 중 결핵균이 획득하는 항결핵제 저항성 기전 규명
나. 수인성 세균감염 질환 연구
다. 인수공통 감염 질환 연구
A) 라임병 국내 분리균주 특성 및 실험실 검사법 개선을 위한 실용화 연구
B) 오리엔시아 쯔쯔가무시 감염환자의 대사체 분석을 통한 인체감염 병인기전 규명
C) 아나플라즈마증 국내 분리주를 활용한 전장 유전체 분석 및 동물 면역반응 연구 진행
D)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실험실 진단검사법 개선 연구
E) 국내 분리 레 지오넬라균 특이 병원성 인자 탐색 및 병인기전 연구
(3) 향후 추진계획
5) 항생제 내성균 연구
(1) 개요
(2) 추진실적
가. 국가 항생제 내성균 조사
나. 원헬스(One Health) 개념의 항생제 내성균 조사연구
다. 항생제 내성균 진단법 개발 연구
(3) 향후 추진계획
6) 감염병 대응 백신개발 연구
(1) 개요
(2) 추진실적
가. 차세대 결핵백신 개발
나. 지카바이러스 백신 개발 연구
다.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범용항원 물질 개발
라.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
(3) 향후 추진계획
3. 감염병 백신·치료제 산업 주요동향
1) 백신 개발동향
(1) 바이러스성 감염병 백신개발 필요성
(2) mRNA 백신 기술 최근 발전동향
가. mRNA 백신
나. mRNA 백신의 기초 약리학
다. mRNA백신 기술의 최근 발전
A) mRNA 번역 및 안정성의 최적화
B) 면역원성의 조절
라. mRNA백신 전달의 발전
A)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의 생체 외(Ex vivo) 전달
B) 생체 내 벌거벗은 mRNA 주입
C) 생체 내 물리적인 전달 방법
D) 프로타민
E) 양이온성 지질 및 폴리머 기반 전달
마. 감염성 질병에 대한 mRNA 백신
A) 자가 증폭형 mRNA 백신
B) 수지상 세포 mRNA 백신
C) 비복제 mRNA백신의 직접 주입
(3) 데이터 분석을 통한 백신 후보물질 발굴
2) 감염병 백신개발 연구동향
(1) 페스트 백신개발 연구동향
가. 페스트(Plague)
나. KWC(Killed Whole Cell) 및 LWC(Live Whole Cell) 기반 페스트 백신
다. 단백질(Subunit) 기반 페스트 백신
라. 기타 페스트 백신
마. 페스트 백신의 미래전망
(2) 에볼라 예방백신 EU/FDA 승인 현황
(3) 보툴리눔독소증 백신개발 연구동향
가. 보툴리눔 독소증(Botulism)
나. 플라스미드 및 단백질 기반의 보툴리눔 백신
다. 단백질 기반 보툴리눔 백신
라. 바이러스 벡터 기반 백신
마. 나노입자 기반 백신
(4) 결핵 백신 효능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현황
가. 결핼 발생 현황
나. 결핵백신 개발에 있어 바이오마커의 역할
다. 바이오마커 : 면역인자 및 면역세포
라.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새로운 전략
(5) 지카 백신 개발동향
가. 지카바이러스 백신 연구 개발 개요
A) 불활화 바이러스 플랫폼
B) 재조합 서브유닛 백신 플랫폼
C) 약독화 생바이러스 백신 플랫폼
D)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플랫폼
E) 핵산(mRNA/DNA)백신 플랫폼
나. 지카바이러스 백신 연구 개발 현황
A)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지카 백신 후보물질
B) 2017년 임상시험 후보물질(2017년 기준)
3) 백신 시장현황 및 전망
(1) 정의 및 범위
(2) 시장 특성
(3)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전체 시장현황 및 전망
나. 분류별 시장현황 및 전망
A) 타입별
B) 질환별
C) 투여 경로별
D) 지역별
(4) 영향요인 및 환경분석
가. 성장요인
나. 저해요인
다. 기회요인
라. 주요 환경분석
(5) 주요 플레이어
4) 감염병 치료제 개발동향
(1) 신종바이러스성 감염병 치료제 개발현황과 한계점
가. 인플루엔자
나. 에볼라
(2) 바이러스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현황
가. 유전자 치료제
나. 바이러스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현황
A) 렌티바이러스 벡터의 연구개발동향
B) 제1형 단순포진바이러스(HSV-1)의 연구 개발 동향
다. 비바이러스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현황
A) 국내 비바이러스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현황
B) 국외 비바이러스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현황
5) 감염병 치료제개발 연구동향
(1)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및 백신 개발동향
(2) 내성 결핵 치료제 개발동향
가. 줄기세포를 활용한 내성결핵에 효과적인 신약후보물질 발굴
나. 논문 주요 내용
다. 항결핵신약 후보물질
(3) HIV/AIDS 치료제 개발 현황
가. 개요
나. 역전사효소 저해제(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RTIs)
A) 뉴클레오시드 계열 역전사효소 저해제(NRTIs)
B)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NRTIs)
다. 단백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s, PIs)
라. 막융합 억제제(Membrane fusion inhibitor)
마. CCR5 길항제(Antagonist)
바. 통합효소 DNA가닥 전달 저해제(Integrase strand transfer inhibitors, INSTIs)
사. 최근 개발되고 있는 HIV/AIDS 신약
A) 장시간 작용약물 : Cabotegravir(CAB) + Ripivirine(RPV)
B) Bictegravir(BIC)
C) Doravirine(MK-1439)
D) Fostemsavir(BMS-663068)
E) Ibalizumab(Trogarzo)
(4) 헨니파 바이러스 백신, 치료제 및 진단개발 연구동향
가. 헨니파 바이러스(Henipavirus)
나. 진단법
다. 백신
라. 치료제
마. 역학 연구
(5) 메르스바이러스 항체 치료제 개발 동향
4. 바이오의약 분야 특허전략 분석
1) ICT 산업의 기술 체계
2) 바이오의약 분야 특허출원 분석
(1) 중분류별 구간별 출원 현황
(2) 중분류별 특허청별 최근년도 출원 현황
(3) 중분류별 출원인 국적별 출원 점유율(TOP5)
(4) 중분류별 피인용 지수
(5) 시장확보 증가율(TOP5 국적)
(6) 국내출원인의 해외 특허출원 현황
(7) 해외 출원인의 한국 특허청 출원 현황
(8) TOP10 출원인의 출원 점유율
가. 감염성질병대응기술
나. 바이오약물전달
다. 차세대 백신
라. 항체의약품
마. 유전자치료기술
바. 진단마커
(9) TOP10 출원인의 특허청별 출원 현황
가. 감염성질병대응기술
나. 바이오약물전달
다. 차세대 백신
라. 항체의약품
마. 유전자치료기술
바. 진단마커
(10) TOP10 출원인의 출원 점유율 변화(3→4구간)
(11) 출원년도별 소송 특허건수 추이
(12) NPE의 특허 보유 현황
(13) 특허 거래 분석
제 4장 감염병 진단검사 분야별 주요동향
1. 차세대 체외진단기기 산업동향
1) 차세대 체외진단기기 개요
(1) 개념
(2) 체외진단 기술 분야
(3) 기술 분야별 시장 점유율
2) 체외진단기기 관련 국내외 정책
(1) 국외
(2) 국내
3) 체외진단(IVD) 시장동향 및 전망
(1) 개요
(2) 시장 현황
(3) 시장 특성
가. 시장 원동력
나. 산업 환경 분석-5 Forces 분석
(4) 시장동향
가. 글로벌 전체 시장 규모
나. 세부기술별 시장 규모
A) 제품&서비스
B) 기술
C) 용도
D) 최종사용자
다. 지역별 시장 규모
라. 우리나라의 시장 규모
(5) 기업 동향
가. 경쟁 환경
A) 주요 기업 현황
B) 개발 동향 분석
나. 주요 기업 동향
A) Roche Diagnostics
B) Abbott Laboratories
C) Danaher Corporation
D) Siemens Healthineers
E) Thermo Fischer Scientific
2. 질병 진단 기술개발 및 연구현황
1) 디지털 진단 기술 및 동향
(1) 디지털 분자진단 기술
가. 기술 개요
나. 기술의 현황
다. 분자진단 PCR/NGS 방식
라. 동반진단
(2) 디지털 면역진단 기술
가. 기존 면역진단 기술
나. 디지털 면역진단 기술
A) 디지털 ELISA 분석법
B) 광산화증폭 기반의 디지털 진단 기술
다. 디지털 면역진단 기술의 현황
2) 압타머를 이용한 감염병 검사법 개발 연구동향
(1) 배경
(2) 압타머 개발 SELEX 프로세스
(3) 압타머를 활용한 감염병 병원체 검출법
가. 샌드위치(Sandwich) 효소결합면역침강분석법(ELASA)
나. 하이브리드(Hybrid) ELASA
다. 직접(Direct) ELASA
라. 형광(Fluorescent) 압타센서(Aptasensor) 분석법
마. 측방유동 분석법(Lateral Flow Assay, LFA)
바. 실시간 정량 중합효 소연쇄반응(Real -Time quantitative PCR, RT-qPCR) 분석법
사. 유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 Assay)
아. 전기화학 바이오센서(Electrochemical Biosensor) 분석법
자. 미세유동 분석법(Microfluidic Assay)
차. 광섬유 바이오센서(Fibre-optic Biosensor) 분석법
카. 비색 검출법(Colorimetric Detection)
타.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분석법
파. 단백질 칩-기반 분석법(Protein Chip-based Assay)
3) 마버그열과 진단 검사법 개발동향
(1) 마버그열
(2) 마버그열의 발생 사례
(3) 마버그열의 증상, 증후 및 치료
(4) 마버그바이러스의 진단 검사법
(5) 분자생물학적 진단법
(6) 혈청학적 진단법
(7) 신속진단법(RDTs)
(8) 기타 진단법
4) 두창 감별진단법 개발동향
(1) 개요
(2) 두창과 바리올라 바이러스(Variola virus)
(3)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4) 우두 바이러스(Cowpox virus)
(5) 백시니아 바이러스(Vaccinia virus)
(6)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Chickenpox virus or Varicella-zoster virus)
5) 10대 감염병 진단기술 특허현황
(1) 코로나바이러스 및 인플루엔자 진단기술 특허출원 현황
6) 국내외 바이오진단 업체별 개발동향
(1) 해외업체 동향
가. 스위스- Roche
나. 미국- Abbott
다. 독일- Siemens
라. 미국- Affymetrix
마. 미국-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바. 미국- Danaher
(2) 국내업체 동향
가. 지노믹트리
나. 나노엔텍
다. ㈜파나진
라. 엑세스바이오
마. (주)씨젠
바. 랩지노믹스
사. 마크로젠
아. GC녹십자
자. LG화학
차. 셀트리온
카. 메디프론디비티
(3) 진단기술 분야별 차세대 체외진단기기의 개발 현황
제 5장 감염병 대응·안전관리 연구동향
1. 감염병 대응지침 및 체계
1) 인플루엔자 대유행(pandemic influenza) 대비·대응 계획
2)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심 신고ㆍ대응 특성 및 대응지침
(1) 바이러스성출혈열
(2) 국내 바이러스성출혈열 발생감시 및 대응
가. 대상 및 방법
A) 분석대상
B) 자료수집
C) 자료분석
D) 신고사례에 대한 대응조치
나. 감시 및 대응 결과
A) 신고사례 일반적 특성
B) 신고사례 역학적 특성
C) 신고사례 임상적 특성
D) 신고사례 실험실 검사
E) 신고기준 충족성
F) 대응 소요시간
(3)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지침
가. 사례분류
나. 병상배정
3) 원인 불명 질병 집단감염 대응 절차
(1) 개요
(2) 원인 불명 질병 집단감염 대응
4) 해외유입 가능 주요 감염병 16종의 진단 및 관리·대응체계 구축 연구
(1) 개요
(2) 연구 방법
(3) 감염병 기본 특성 분석
(4) 진단 및 신고기준의 제시
(5) 국내 진단체계 현황에 대한 점검
(6) 해외유입감염병에 대한 대응체계
2. 의료기관 감염관리 현황 및 기술기준
1) 국내 의료기관 종별 감염관리 기반 및 활동 현황조사(2018)
(1) 의료관련 감염
(2) 분석방법
가. 연구대상
나. 자료 수집 방법
다. 조사자료 분석
(3) 연구결과
가.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나. 감염관리 체계 및 인프라
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활동
라. 감염관리체계 보유 여부에 따른 감염관리 활동 차이
2) 음압시설(격리병상) 기술 기준
(1) 개요
가. 목적과 필요성
나. 용어의 정의
(2) 적용대상 시설 및 규격
가. 입원실
나. 중환자실
(3) 기술 기준
가. 일반사항
나. 건축계획
다. 장비
라. 기계 설비
마. 소방 설비
바. 의료 가스설비
사. 전기통신 설비
아. 멸균 설비
3. 국내외 코호트 운영·연구현황
1) 국내외 HIV/AIDS 코호트 연구
(1) HIV/AIDS 극복을 위한 최근 해외 코호트 연구
가. Multicenter AIDS Cohort Study (MACS)
나. Swiss HIV Cohort Study (SHCS)
다. Concerted Action on Seroconversion to AIDS and Death in Europe (CASCADE)
(2) 한국 HIV/AIDS 코호트 연구 구축·운영
가. 연구 방법
A) 연구대상
B) 참여병원 및 역할
C) 조사방법
나. 코호트 운영성과
A) 자료 관리
B) 주요 성과
2) B형간염 코호트 해외 연구동향
(1) B형 간염
(2) B형간염 코호트의 특성과 연구 성과
가. 대만의 REVEAL-HBV
나. 대만의 SEARCH-B
다. 대만의 ERADICATE-B
라. 그리스의 HEPNET-GREECE
마. 미국의 HBRN
제 6장 항생제 개발 및 내성관리 연구동향
1. 국내외 항생제 사용 현황
1) 2000~2015년 글로벌 항생제 사용 현황
2) 국내 항생제 사용량 현황
(1) 국내 항생제 사용량 현황 연구
(2) 국내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 연구
2. 항생제 개발동향
1) WHO, 신규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세균 12종 발표
2) 항생제 개발 현황
(1) 항생제 개발 및 승인
(2) 신규 저분자 항생제 개발 추세
3) 전임상 단계의 세계적인 항생 물질 파이프라인
(1) 기관들
(2) 전임상 단계의 항생제 파이프라인
가. 박테리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항생 물질
나. 강화제(potentiator)
다. 용도 변경 약물(repurposed drugs)
라. 파지 및 파지로부터 파생된 펩타이드(phage-derived peptides)
마. 마이크로바이오타-조절 치료법(microbiota-modulating therapies)
바. 항독성 치료법
사. 항체 및 항체-약물 복합체
아. 백신
자. 기타
3. 항생제 내성균 현황 및 대응기술
1) 항생제 내성균 발생현황 및 유전자 분석
(1) 국내 병원획득 폐렴 원인균의 경험적 항균제에 대한 내성 현황
가. 연구방법
A) 대상환자 및 조사항목
B) 자료수집 및 평가
C) 통계분석
나. 연구결과
A) 대상 환자 특성
B) 경험적 항균요법의 약물구성 및 사용 빈도
C) 진단된 원인균의 경험적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및 내성
다. 고찰
(2) 국내 분리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의 내성 경향 분석
가.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나. CRE 균종
다. 내성 유전자형의 분포현황
(3)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검출현황 및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나.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에 의한 감염 여부
다.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내성에 대한 현황
(4)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유전형 및 표현형 분석을 통한 치료제 내성주 확인
가. Neuraminidase inhibitors(NAIs)
나. NAIs 치료제 내성 스크리닝을 위한 유전자 분석
다. 표현형 분석을 위한 phenotyping assay (Neuraminidase inhibition assay)
(5) 의료관련 감염병(항생제내성균 6종) 발생 현황
가. 연구 대상
나. 분석 방법
다. 총 건수 및 연도별 분석 결과
라. 표본감시기관의 병상규모별 신고현황
마. 의료관련감염병 균종별 지역별 신고현황
바. 균종별 내성률 분석
2) 항생제 내성균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 동향
(1) 항생제 내성균 대응 기술 개발
(2) 항생제 내성균에 관한 국내외 대응책 마련 동향
(3) 새로운 항생제 개발 시장동향
(4) 항생제 개발 외 항생제 내성균 제어를 위한 제품 개발 국내외 동향
가. 항생제 내성균의 진단제 개발 동향 및 유용성
나. 항생제 내성균의 항체 치료제 개발 동향 및 유용성
3)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항독성제 개발동향
(1) 신규 감염 치료제 개발 연구 동향
(2) 항독성제 연구 동향
4) 파지요법(Phage Therapy)으로 항생제 내성 극복기술
5)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출현과 슈퍼 항생물질 발견
(1) 항생제 내성 기전과 슈퍼박테리아 출현의 문제점
(2) 슈퍼 항생물질 '할리신(Halicin)' 발견
(3)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약 후보물질 개발
4. 적절한 항균제 선택의 원칙과 지침
1) 일반적인 고려사항
(1) 숙주 인자
가. 숙주의 방어기전
나. 감염부위
다. 임신
라. 신장애와 간장애
(2) 미생물(병원체) 인자
(3) 항균제 측 요인
가. 살균 항균제와 정균 항균제
나. 병합요법
다. 항균제의 약동학과 약력학
라. 투여경로와 혈중농도 측정
2) 감염질환별 적절한 항균제 사용지침
(1) 성인 급성 상기도 감염 항균제 사용지침 권고안
(2)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항균제 사용지침
(3) 요로감염 항균제 사용지침
(4) 피부·연조직 감염 항균제 사용지침
(5) 소화기계 감염
(6) 기타
3) 항균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